일본 남서쪽 해상서 강도 '매우강' 유지 북상중...기상청, 6일 오후 9시 태풍특보 발효

제10호 태풍 '하이선' 위성영상. 사진=기상청
제10호 태풍 '하이선' 위성영상. 사진=기상청

제10호 태풍 '하이선(HAISHEN)'이 6일 일본 가고시마를 거쳐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고 있다. 제주는 7일 새벽이 고비다.

6일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하이선은 이날 오후 6시 기준 일본 가고시마 남서쪽 약 170km 부근 해상을 시속 32km의 속도로 북서진하고 있다.

중심기압 945hPA에 중심 최대풍속은 시속 162km(초속 45m)의 '매우 강'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당초 하이선은 제주 동쪽 해상을 지나 경남·부산으로 상륙해 내륙을 관통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현재는 우리나라 내륙 쪽으로 상륙하는 것보다 동해안 해안지역을 타고 북쪽으로 올라갈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태풍 하이선은 7일 오전 0시에는 서귀포 동남동쪽 약 320km 부근 해상까지 접근한 뒤 오전 6시에는 부산 남동쪽 약 100km 부근 해상까지 북상하겠다. 오후 6시에는 강른 북동쪽 약 190km 부근 해상까지 올라가며 36시간 이내에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우리나라 북쪽과 서쪽에서 발달한 차고 건조한 기류가 태풍 이동을 막는 일종의 벽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상청은 서쪽 상층에 있는 강한 바람이 기압골의 형태로 발달해 서진하던 태풍의 경로를 막아 동쪽으로 방향을 틀 것으로 관측했다.

제10호 태풍 하이선 예상 진로. 사진=기상청
제10호 태풍 하이선 예상 진로. 사진=기상청

제주에 가장 근접하는 시간은 7일 새벽 3시가 될 전망이다. 한 주를 시작하는 7일 출근길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항공기와 여객선 운항도 일부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는 태풍의 강도는 '강'으로 다소 꺾이겠으나, 여전히 중심 최대풍속은 시속 155km(초속 43)의 강풍을 동반하고, 강풍반경도 400km에 이르러 제주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태풍이 접근하면서 몰고온 강한 비구름대가 남쪽 해상으로 계속 유입되면서 7일 오후까지 많은 비가 내리겠다. 지형의 효과가 더해지는 산지를 중심으로 300mm 이상의 폭우가 쏟아지겠고, 그외 지역에도 100~200mm의 많은 비가 예상된다.

이로 인한 저지대 침수, 하수·하천 범람 등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각 지점별 만조 시간은 제주시 오전 1시1분과 오후 1시31분, 서귀포시 오전 0시3분과 낮 12시29분, 성산포 오후 11시57분과 낮 12시24분, 모슬포 오전 0시43분과 오후1시7분 등이다.

기상청은 제주도남쪽먼바다에 태풍경보를 발효한데 이어 6일 오후 9시를 기해 제주남부·동부앞바다에 태풍경보를, 제주도 전역과 제주북부·서부앞바다, 남해서부먼바다 등에 태풍주의보를 발효할 예정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재난안전대책본부는 태풍특보가 발효되는 6일 오후 9시부터 '비상근무체계 2단계'를 전환 가동한다.

비상 2단계 격상에 따라 13개 협업부서를 비롯해 제주지방항공청, 도교육청, 제주경찰청, 제주해양경찰청, 한국전력공사, 해병대 9여단 등과 함께 비상근무에 돌입한다. 재난문자서비스·지역방송·재난전광판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태풍 이동진로 등 기상상황에 대한 도민 홍보도 강화된다.

지역자율방재단 등 민간단체와 수방 자재 점검 외에 △도로 침수 방지를 위한 배수구 정비 △저지대 및 해안가, 하천 주변에 대한 예찰활동과 안전선을 설치하는 등 안전사고 대비가 이뤄진다.

제주도교육청은 학생 안전을 위해 7일 도내 모든 학교에 등교중지와 함께 원격수업 전환을 권고했다.

제주해경은 연안 안전사고 위험예보를 '관심' 단계에서 '주의보'로 격상 발령하고, 항포구와 해안가 순찰을 강화해 정박중인 선박의 피해예방에 주력하고 있다. 또 경비함정을 해역별로 배치해 조업선박의 피항을 유도하는 한편 통항하는 화물선 등 선박에 대한 안전항해를 유도하는 등 대응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산림청은 제주의 산사태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상향 발령했다. 남해안과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300mm 이상의 많은 비가 예상되고, 기존 산사태 발생지에 2차 피해가 우려되는 등 대규모 산사태 위험이 커진 데 따른 조치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