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도민들의 식수와 하수처리 업무를 책임지는 제주상하수도본부가 정부의 경영평가에서 전국 꼴찌를 벗어나지 못하는 등 좀처럼 맥을 추지 못하고 있다. 알고보면 ‘이유 있는 꼴찌’다. 

29일 행정안전부가 전국 249개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19년 경영평가에 따르면 제주상하수도본부는 전국 14개 시설관리공단과 하수도시설을 통틀어 꼴찌를 기록했다.

이번 평가는 제주를 포함한 서울과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등 8개 광역자치단체 직영 광역 하수도시설과 6곳의 시설관리공단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2017년부터 상수도와 하수도를 격년제로 심사해 이번 평가 대상에는 하수도만 포함됐다. 평가 결과 제주상하수도본부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최하위인 ‘마등급’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하수도사업은 지난해에만 1050억원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했다. 처리량이 늘면서 시설투자 등 자본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요금현실화율은 낮아 손실을 줄이지 못했다.

2019년 영업비용 1567억2564만원과 자본비용 478억5489만원, 영업외비용 19억2227만원을 더한 금액에서 영업수익·영업외수익 23억5978만원을 뺀 총괄원가는 2041억4203만원이다.

이를 1톤으로 적용한 생산원가는 2929원이지만 실제 평균요금은 582원에 불과하다. 실제 징수액에서 총괄원가를 제외하면 연간 결손액만 1635억3100만원에 달한다.

생산원가 대비 징수액의 현실화율은 19.89%에 머무르고 있다. 이는 전국평균 48.78%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결손액을 없애려면 5배에 해당하는 402.66%의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생산원가를 낮추기 위한 상하수도본부의 노력이 우선돼야 한다. 상대적으로 낮은 하수도요금도 장기적으로 추가 인상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4개 시군이 통합되고 읍·면지역까지 더해지면서 생산원가가 높아졌다. 하수도요금 현실화율은 상대적으로 낮아 좋은 경영평가를 받을 수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상하수도본부는 최근 경영관리 효율화와 재정건전성 강화를 위해 하수도사업특별회계 중‧장기 경영관리계획(2020~2024년)을 수립하고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자체적인 원가 절감방안을 마련하고 비핵심 업무는 아웃소싱을 통해 조직 운영 효율성을 기하기로 했다. 투자재원 확보를 위해 요금 현실화율을 높이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주요 투자사업 계획과 재무 전망, 경영관리계획을 토대로 하수처리장 증설과 시설 현대화, 하수도관망 등 인프라 구축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