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산북지역에서는 옥돔을 ‘셍선’이라 부르는데 왜 산남지역에서는 ‘솔라니’라고 부를까요?”

“제주시에서는 ‘빙떡’이라 하는데 성읍에서는 ‘전기떡’, 대정에서는 ‘빈떡’이라고 하는 이유는 뭘까요?”

김순자 제주학연구센터장이 새 책 《제주도 방언의 언어지리》(도서출판 각)를 펴냈다.

이 책은 저자가 10년 전에 발표했던 박사학위 논문을 깁고 보태 엮은 것이다. 논문의 오류를 바로 잡고, 글을 쉽게 고쳐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손질했다.

이 연구를 위해 저자는 지난 2009~2010년 1년 동안 《제주어사전》(1995)을 꼼꼼하게 분석했다. 지역적인 분화가 뚜렷한 어휘 항목 310개를 추출해 21개의 소주제로 나눴다. 그리고 《제주도방언연구(자료집)》(1962)의 조사 지점인 읍면 지역에 부속도서 3개 지점을 더해 16개 지점에서 35명의 제보자를 대상으로 현지 조사했다. 

조사 어휘 중 분화상이 뚜렷한 155개의 어휘를 지도 위에 표시해 방언 구획을 하고, 제주도 방언 구획이 고려 말 행정 체제인 동서도현과 조선시대 삼읍체제가 주요 요인임을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농사, 음식, 의복, 집, 도구, 민속, 인체, 사람, 질병, 육아, 놀이, 친족, 자연, 동물, 식물, 동사, 형용사, 감탄사, 부사, 문법소 등 21개의 소제목 순으로 155개의 어휘 지도에 ‘제주도 행정구획도’ 등 6개의 지도를 더해 모두 161장의 언어지도를 작성했다. 논문 끝에 부록처럼 실었던 155개의 언어지도는 책으로 꾸미며 어휘 해설 분야에 녹여내 지역에 따른 방언차를 한 눈에 살필 수 있게 만들었다. 

저자는 책 설명에서 “조사를 다니다 보면 참으로 제주가 넓다는 생각을 할 때가 많다. 제주 동쪽 사람들은 시루떡을 ‘친떡’이라고 하고, 서쪽 사람들은 ‘침떡’이라고 한다. 밭이랑을 북쪽에서는 ‘고지’라고 하는데 남쪽으로 가면 ‘파니’라고 한다. 이처럼 제주도 방언은 제주시를 중심에 두고 동과 서, 남과 북이 다른 경우가 많다. 이런 지역적인 방언차를 규명하고자 한 연구 결과물이 바로 이 논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순자 제주학센터장

김순자 센터장은 제민일보 문화부장 직무대리를 지낸 언론인이다. 언론계를 떠나서는 제주대학교 강사와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 연구원 등을 지내며 제주도 방언 조사와 연구를 본격적으로 하였다. 현재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제주의 삶과 문화를 잇는 사람들-와치와 바치》, 《해녀·어부·민속주-제주도의 민족생활어》, 《제주도방언의 어휘 연구》, 《제주수산물 방언자료집》, 《제주사람들의 삶과 언어》 등 다수가 있다. 

440쪽, 도서출판 각, 2만4000원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