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평화교육 중장기계획 "전문해석 포함된 2차 가공 콘텐츠 필요"

제주4.3교육이 일상화되고, 더 나아가 전국화·세계화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쉽게 4.3관련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아카이브'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주특별자치도도교육청은 30일 오후 3시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2호관 진양현석관에서 '4.3평화‧인권교육 중장기 계획 연구 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도교육청은 4.3평화‧인권교육의 현황 및 한계점을 분석하면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제주대학교 평화연구소(책임연구원 양정필 교수)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17일부터 올해 11월 30일까지 4.3평화교육 중장기 연구 용역을 진행했다.

이날 보고회는 연구 책임자인 양정필 제주대 교수가 '4.3평화‧인권교육의 원칙과 지침, 중장기 계획 등'을, 고동민 제주중앙여고 교사가 '4.3평화‧인권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학습자료'를 주제로 발표한데 이어 박찬식, 김창후 전 제주4.3연구소장과 송시우 제주고등학교 교사의 토론 등으로 진행됐다.

연구진은 최종보고서를 통해 "현재 4.3관련 자료는 평화재단과 교육청 홈페이지 등 여러 곳에 분산돼 있다. 제공되는 자료들은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아 익숙치 않은 사람은 이용에 어려움이 크다"고 진단하며 온라인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이어 "온라인 아카이브는 4.3관련 사료 및 문화예술 자료, 증언자료 등에 대해 주제별, 유형별, 영역별로 접근이 가능하게 구성돼야 한다"며 "아카이브 구축은 꽤 오랜 시간과 적지 않은 예산을 요구하지만, 구축하면 오랫동안 활용할 수 있고 4.3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고, 4.3교육의 전국화‧세계화에도 도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카이브의 구성에 대해서는 "가장 기본적인 '4.3에 대한 Q&A'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4.3 평화기념관 상설 전시실 자료를 교육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4.3사료 및 문화예술 자료, 증언자료 등 1차 자료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이 포함된 2차 가공 콘텐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음악, 미술, 영화, 연극, 사진 등 각 분야의 문화예술자료와 경험자의 증언자료를 2차 가공하는 데는 전문인력과 예산이 투입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4.3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없는 일반 교사가 전문가 수준의 안목과 시간을 들여 1차 데이터를 가공해 교육자료로 활용한다는 것은 사실상 교육현장의 현실 속에서는 불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연구진은 "전문적인 지식 없이 일반적인 수준의 교사가 4.3교육을 할 때 쉽게 필요한 자료를 가져다 쓸 수 있을 정도로 4.3교육용 아카이브가 구축돼 있어야 4.3교육이 일상화 될 수 있다. 아카이브에서 찾을 수 있는 다양한 자료들은 전문가의 해제와 설명뿐만 아니라 초중고 각 학교급별 활용 수준에 대한 고려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4.3평화‧인권교육 자료를 민주시민교육, 인권교육, 다문화교육, 평화통일교육, 생태환경교육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4.3 기반 온라인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도 당부했다.

연구진은 "4.3은 오랜 시간에 걸쳐 전개됐다. 분단과 단독선거, 한국전쟁 같은 세계사적 사건들과 인과관계 속에서 긴밀하게 연결됐기 때문에 지방적‧국가적‧세계적 수준의 의미 발견과 부여에 유리하다"며 "4.3은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진행되는 민주시민교육, 인권교육, 다문화교육, 통일교육, 생태환경교육, 젠더교육과도 연계되는 측면이 매우 많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연구진은 △4.3교육 전담팀 조직 및 운영 △4.3교육 조례 개정 △4.3교수 역량 강화 △교육 자료 개발 △학생주도 4.3학습 △유관기관과 협력 강화 △교과서 서술 강화 등을 제안했다.

김용관 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장은 "4.3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연계 필요성, 4.3후세대에 대한 4.3기억 전승의 시급성 등을 반영해 4.3평화‧인권교육의 중장기 계획을 재수립할 필요가 있어 연구를 진행했다"며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교육 구성원들과 충실히 소통하면서, 미래 변화에 부응하는 지속 가능한 4.3평화‧인권교육 토대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