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여섯 번째 수필의 향연 ‘2020 vol. 16’

제주수필문학회가 펴낸 '다시 읽고 싶은 수필'. ⓒ제주의소리
제주수필문학회가 펴낸 '다시 읽고 싶은 수필'. ⓒ제주의소리

제주수필문학회가 코로나19로 ‘집콕’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생겨난 추운 겨울, 안방을 훈훈하게 만들 제주인의 이야기가 담긴 수필 문학 모음집 ‘다시 읽고 싶은 수필’을 펴냈다.

새 책의 주제는 ‘다시 읽고 싶은 수필’로 제주수필문학회원들이 발표한 43편의 작품이 수록됐다. 작가당 한 작품을 뽑아 다시 읽고 싶은 수필로 정해 문학집으로 모아낸 것이다.

작가들은 작품을 통해 진솔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펼쳐놓았고, 담백한 삶의 성찰을 이어갔다. 살고 있는 동네의 역사를 풀어헤치며 제주4.3의 아픔을 써 내리거나 ‘궤’를 통해 친정어머니를 향한 가슴 저린 감정을 내보이기도 했다.

등단 이후 수많은 내공을 쌓아온 작가들의 작품은 언제든 술술 읽어갈 수 있을 정도로 내공이 묻어난다.

친정어머니가 돌아가시고 그 며칠 후, 어머니의 머리말에 놓였던 궤 속엔 생전에 당신이 썼던 흰색 모시 저고리며, 노란색 베치마, 광목천을 하얗게 햇빛에 바래어 만들어 놓은 버선과 그걸 만들 때 썼던, 누런색 기름종이로 된 버선 본 등이 들어 있었다. 그 유년의 끝자락 언저리쯤에서 뒤척이다 듣는 허밍으로 나지막이 부르던 어머니의 고운 음색이 가슴 속 깊이 잠들어 있다가 팔랑거리며 감정을 싸하니 뒤흔들어 놓는다. 딸한테만 4대째 대물림되는 물건이다.
- 이애현 ‘궤櫃’ 중에서 -

쾌청한 날이면 바다는 호수가 되어 햇빛에 반짝인다. 그런 날 밤이면 달과 별들이 바다를 희롱한다. 그러나 바람이 거세지면 바다는 표변한다. 천군만마가 밀려오듯 파도가 날을 세워 거품을 물고 달려드는 것이다. 그러나 사라봉은 사시사철 소나무를 품어 키우니 늘 푸르다. 바람이 불어도 산은 그저 그렇게 있을 뿐이다. 자연의 동動과 정靜을 보면서 내 마음속의 동정을 살핀다. 

지는 해를 응시한다. 하늘과 바다를 수놓았던 저녁 노을, 아름다움의 극치인 하늘그림을 서서히 거두며 바다로 지는 해의 선홍빛 미소, 할 일을 다 하고 유유히 이승을 떠나는 노인의 모습이다. 하루를 마감함이 저리도 고을 수 있으랴!
- 조명철 ‘지는 해를 보며’ 중에서 -

정수현 제주수필문학회장은 책머리에서 “이번 호는 제주수필문학의 향연 제16호로 제호를 다시 읽고 싶은 수필로 정하고 문우들의 옥고를 모아 한 편의 뜻 있는 문학집을 만들어 낸 것이다”라고 소개했다.

이어 “회고해보면 인생의 뒤안길에서 우리는 많은 추억을 만들고 있다. 그러나 장래 남는 것은 돈도 명예도 아니고 이 한 편의 문학향연일 것”이라며 “그런 면에서 우리는 작품을 후세에 남기고 있으니 보람 있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할 것이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수필의 향연 편집위원들은 책 끝에서 “2020년은 코로나19로 달라진 일상을 마주해야만 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집콕 생활이 문학을 만나는 시간으로 승화시켜 지혜롭게 코로나를 뛰어넘으면 좋겠다”고 편집후기를 남겼다.

도서출판 열림문화, 219쪽, 1만 원.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