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전력 과잉생산에 2020년 77차례 셧다운...분산형 에너지 인프라 구축으로 돌파구

[제주의소리]가 2020년 9월9일 보도한 [태풍에도 돌렸는데 제주 풍력발전 45차례 강제 셧다운 왜?] 논란과 관련해 정부가 제주에서 분산에너지 정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3일 오후 3시 제주도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에서 열린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 발표 자리에서 에너지 분산 계획을 공개했다.

제주도는 2012년 ‘탄소없는 섬(CFI: Carbon Free Island)’ 비전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도내 전력수요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다.

2009년 도내 발전설비 비중의 9%를 차지하던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비중은 2013년 10%에서 2019년에는 49%로 치솟았다. 발전량 비중도 2009년 3%에서 2020년 16.2%로 상승했다.

반면 풍력발전기에서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거나 송출하지 못해 강제로 발전을 중단시키는 셧다운(shut down)이 속출했다.

도내 풍력발전기는 대부분 에너지저장시스템인 ESS(Energy Storage System) 능력이 낮아 발전과 동시에 전기를 소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때문에 전력 공급이 수요량보다 많으면 과부하를 막기 위해 출력 통제가 이뤄진다.

실제 연도별 셧다운 횟수와 제어량은 2015년 3회(152MWh), 2017년 14회(1300MWh), 2019년 46회(9223MWh)에서 2020년에는 77회(1만9449MWh)로 급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ESS시설을 확충해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남아도는 전기를 다른 지역으로 보내 과부하를 막는 안정적인 출력제어가 이뤄져야 한다.

성능이 좋은 ESS의 경우 설비 가격이 높아 일반 태양광 시설 투자자들이 이용을 꺼리고 있다. 다른 지역으로의 전기를 보내는 설비도 조성되지 않았다.

다급해진 정부는 풍력에 이어 태양광 시설에 대한 강제 셧다운까지 검토했다. 전력거래소가 한국전력공사에 요청하면 태양광 시설에 대한 출력 제어도 가능하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제주 방문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와 김창섭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 등이 총출동한 것도 사태의 심각성을 알려준다.

정부가 내세운 대책은 에너지 분산이다. 생산자와 소비자간 거래 허가와 잉여전력 전환 기술 실증, 잉여전력을 육지로 보내는 역송성능 확보가 이번 대책의 핵심이다.

1998년 구축된 제1연계선(제주 삼양동~전남 해남) 15만kW급과 2014년 설치된 제2연계선(제주 해안동~전남 진도) 25만kW급은 육지에서 제주로 전력을 공급하는 한 방향 공급체계다.

설비 개선 작업을 진행하면 제주에서 과잉생산되는 전력을 육지로 보낼 수 있다. 산자부는 역송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실제 전력을 육지로 보내는 시험을 진행 중이다.

양방향 전력공급이 자유로운 제3연계선 구축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한전은 총사업비 2300억원을 투입해 2022년까지 20kW급 연계선 조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산자부는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수소로 전환하거나 전기차를 ESS로 활용하는 실증사업도 제주에서 추진하기로 했다. 

전력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태양열과 풍력발전 사업자가 직접 전기를 소비자에 판매하는 전력거래 특례도 허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을 검토중이다.

산자부는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하기 위해 제주에서 협의회를 구성하겠다”며 “상반기 중에 이와 관련해 로드맵도 수립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