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농수축위, '김치시스템 조사 및 자급률 제고' 용역 보고

중국산 '알몸김치' 등의 충격으로 안전한 먹거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제주지역에서 김치를 주요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위원장 현길호)는 7일 '제주지역 김치푸드시스템 조사 및 자급률 제고 방안' 용역결과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 연구는 제주지역 김치 소비량과 푸드시스템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 관리제도를 검토하는 등 김치 자급률을 늘리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됐다.

연구를 맡은 제주연구원 안경아 박사는 "2015년 한중 FTA 발효 이후, 국산대비 가격이 20∼30% 수준에 불과한 중국산 김치의 수입이 증가하면서, 김치 원료가 되는 국내 농산물의 가격이 폭락과 폭등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 김치 소비시장의 경우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수입산 김치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2018년에는 수입산 비중이 전체 공급물량의 40.5%에 달했다. 공급량 연평균 증감률도 국내산보다 수입산이 높게 나타났다.

실제 2019년의 경우 김치의 수입 물량은 30만6049톤에 달해 수출 물량 2만9628톤에 비해 10배 이상 높았다. 

이 같은 시장 환경 속에서 제주지역 김치 생산량을 늘리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 연구진의 제언이다.

안 박사는 "제주지역에 김치산업의 생산유발효과 149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61억원 등 지역경제에서 고용 창출과 농업분야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는만큼 자급률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현재 제주지역 김치 자급률 16%를 100%로 확대할 경우 현재 기준 대비 373.1%의 산업 성장을 예상했다. 지역경제 직간접적인 생산유발효과는 704억7300만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292만9300만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실적인 시나리오로 자급률 16%를 54.5%까지 늘릴 경우 생산유발효과는 403억4900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67억71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현길호 위원장은 "김치와 같은 주요 식재료의 대외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 농산물 수급 불안과 수입 식품 안전성에 대한 불안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제주지역 김치 산업화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연구 취지를 설명했다.

현 위원장은 "김치에 대한 생산과 원료조달에서부터 저장과 가공, 유통 및 소비까지 지역먹거리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품목을 확대해 간다면 안전한 소비자 식탁과 안정적 농업생산 여건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로컬푸드시스템 구축의 첫 단추로 김치를 고려할 필요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