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제주기록원 설립과 발전방안’ 토론회…“준공 1년 전에는 직제 설치돼야”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강성민(이도2동을)·강철남(연동을) 의원은 13일 오후 2시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제주기록원 설립과 발전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제주의소리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강성민(이도2동을)·강철남(연동을) 의원은 13일 오후 2시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제주기록원 설립과 발전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제주의소리

제주지역 공공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가칭 ‘제주기록물’ 건립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적어도 준공 1년 전에는 관련 직제 설치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또 도지사 또는 행정부지사 직속 설립준비단을 구성, 체계적인 사업추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강성민(이도2동을)·강철남(연동을) 의원은 13일 오후 2시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제주기록원 설립과 발전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제주도는 지난 2007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광역 시·도에 지방기록물관리 기관을 설치·운영해야 함에 따라 지난달 가칭 ‘제주기록원 건립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

현재까지 지방기록원이 설립된 곳은 서울과 경상남도 2곳뿐이다. 제주를 포함한 나머지 광역자치단체에서는 재원 마련의 어려움 등으로 아직까지 설립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대구와 경기 등 5곳은 최근 건립 타당성 용역을 완료,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날 토론회는 제주기록원 설립 운영방향과 선진모델, 제주지역 공공기록물 관리에 따른 문제점과 대안 등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심성보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객원교수는 ‘제주기록원 설립과 발전방안’ 주제발표를 통해 “기록을 영구 보존하는 것은 기억과 역사를 위한 것이며, 이는 공공기록물법과 아카이브가 추구하는 기본 기능”이라며 “제주기록원은 제주도민의 활동과 일상을 기록으로 보존하는 역사문화기관으로 조성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추진 주체’를 제때에, 바로 세울 것을 주문했다.

심 교수는 “기본계획 수립 후 최대한 빠르게 ‘제주기록원 건립준비단’을 적절한 성격과 규모로 구성·운영해야 한다”며 “최우선적으로는 제주기록원 건립 전담 직원부터 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늦어도 준공 1년 전에는 직제에 제주기록원을 설치할 것”도 함께 주문했다.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강성민(이도2동을)·강철남(연동을) 의원은 13일 오후 2시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제주기록원 설립과 발전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제주의소리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강성민(이도2동을)·강철남(연동을) 의원은 13일 오후 2시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제주기록원 설립과 발전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제주의소리

이어진 토론에서 김재순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장은 “국가기록원의 경우 물리적 보존시설이 없는 상태에서 1969년 정부기록보존소라는 직제부터 설치했다. 15년이 경과한 1984년에 부산에 보존시설을 설치했다”며 “제주도는 이 같은 사례를 참고해 영구기록물관리관의 기능수행을 위한 최소 필수인력을 확보해 직제부터 설치한 연후에 물리적 보존시설을 확보하는 순서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김 관장은 직제 마련과 관련해서는 “도지사 또는 행정부지사 직속으로 ‘제주도 기록원 설립준비 T/F부터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조영삼 서울기록원장도 “서울기록원의 성공은 2012년 하반기에 설치한 ‘정보공개정책과’가 결정적인 요인이었다”며 “기존의 기록관리 부서에 하나의 팀을 구성하는 정도로는 부족하다. 과(課) 단위 전담부서가 기록을 전담할 수 있어야 하고, 담당 부서장이 정기적으로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서울기록원의 ‘성공 팁’을 전했다.

박찬식 전 제주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장은 “제주기록원은 기본적으로 기록물 소장, 공개·공유를 넘어서서 시민정보센터, 기록물 열람관, 기록물 전시관 등의 복합공간으로 발전해야 한다”며 ‘제주도지 편찬위원회’ 등 제주역사 관련 편찬 기능까지 담보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제주기록원 건립 공간과 관련해 연동주민센터 신축과 연계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주민접근성 면에서는 유리할지 몰라도 기록물의 장기적 수장공간으로는 부적합다고 판단된다”며 부정적 의견을 제시했다.

연동이 지역구인 강철남 제주도의회 의원도 “가칭 제주기록원 건립 기본계획 수립용역 착수보고회 자료에 따르면 현재 계획 중인 연동 행정복합청사 내 도입 가능성을 우선 검토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지역주민들의 반대 여론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는지 미리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록원 입지와 관련해서는 지역 내 기록물 전담 관리시설에 중점을 둘 것인지, 아니면 복합문화시설(라키비움, 도서관+기록관+박물관)을 지향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먼저 이뤄진 후 기록원 설치 대상지, 비전, 기능 등이 설정되면 지역주민들과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