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우의 제주풍토록 살펴보기] ① 머리말, 기후, 지형…유배인 눈에 비친 제주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말이 있다.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널리 알려진 주류 역사 반대쪽에는 미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이 존재한다. 생활사, 구술사 같은 학문의 중요성이 커지는 이유도 이런 문제 인식의 연장선상이 아닐까. 제주의 역사학자 김일우가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학술지 '사총' 올해 5월호에서 김정(1486~1521)이 남긴 '제주풍토록'를 재조명했다. '최초의 제주풍토지'라는 평가와 함께 오늘날 제주풍토록이 어떤 성격과 가치를 지니는지 분석한 것이다. '제주의소리'는 김일우 박사의 논문을 매주 한 차례 총 4회에 걸쳐 소개한다. / 편집자 주

조선전기 김정(金淨) 저(著) '제주풍토록(濟州風土錄)'의 수록내용 성격과 가치
(이 글은 2020년 10월 30일 사단법인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에서 주관한 '충암 김정 유배 500년 기념 학술 세미나'에서 주제발표했던 원고를 다시 다듬어 엮어,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학술지 '사총' 올해 5월호에도 게재됐다.) 

김일우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이사장

1. 머리말

2. 수록내용의 검토

1) 제주의 자연과 산물
(1) 기후 /(2) 지형 /
 (3) 토산·서식 동식물 / (4) 형승

2) 제주 사람의 삶
(1) 가옥 / (2) 신앙 / (3) 제주어 / (4) 풍속 / (5) 민정

3) 김정의 유배살이와 그 처지

3. 맺음말


1. 머리말

'제주풍토록'은 김정(金淨)의 시문을 모아 엮은 '충암선생집(冲庵先生集)' 권4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을 발췌·영인한 것이다.

김정(1486~1521)은 충청도 보은(報恩) 출신으로 조선시대 중종대(中宗代, 1506~1544) 학자이며 문신으로 활동했다._1) 본관은 경주, 자는 원충(元沖), 호는 충암(冲庵)·고봉(孤峰)이다. 충암은 10세의 어린 나이에 이미 사서(四書)에 통달했고, 14세 때 별시(別試)·초시(初試)에 수석합격했다. 관직 생활은 19세가 되는 1504년(연산군 10)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뒤, 22세가 되는 1507년(중종 2)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장원급제하여 성균관 전적(成均館 典籍)에 보임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김정은 여러 관직을 거치면서 승진해 나아가는 한편, 성리학 연구와 시문 및 글씨 배양에도 힘썼다. 또한 조광조(趙光祖) 등의 사림파(士林派)가 주도하는 개혁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 김일우, '제주풍토록(濟州風土錄) 해제(解題)' '譯註 濟州古記文集', 제주문화원, 2002, 11~14쪽.

이때 김정은 정국공신(靖國功臣), 즉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를 추진하기도 했다. 이것도 하나의 원인이 되어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났다. 이로써 김정은 충청도 금산(錦山)으로 유배되었다. 이때 늙은 어머니를 문병한 것이 문제가 되어 1520년 서울로 압송되어 국문을 받았고, 제주(濟州)로 옮겨 유배되기에 이르렀다. 김정이 진도(珍島)를 거쳐 제주에 도착한 것은 1520년(중종 15) 8월 21일이었다..

제주에서의 유배생활이 1년여 가 될 무렵, 조정의 일부 관료들이 재차 김정의 배소이탈 문제를 꺼내 극형에 처할 것을 왕에게 요구했고, 왕은 허락할 수밖에 없었다. 김정이 1521년 10월 사사(賜死)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제주풍토록'은 김정이 제주에 유배온 뒤, 누이의 아들, 즉 생질로부터 제주의 풍토와 물산에 대한 질문을 받고, 그 답장으로 써 보냈던 글이다. '제주풍토록'이 수록된 '충암선생집'은 1552년에 김정의 당질 김천우(金天宇) 등에 의해 처음으로 간행되었고, 이후에도 후손 등이 3차례에 걸쳐 간행한 바가  있다.

본 글이 인용하는 '제주풍토록'의 원문은 두 번째 간행, 곧 중간본에 해당하는 '충암선생집'에 실린 것이다. 중간본은 김정의 증손 김성발(金聲發)이 엮었다. 그는 금산수령(錦山守令)으로 부임하자 초간본 외집의 편차가 일정하지 못한 점을 바로잡아 외집의 시문을 창작 시기에 따라 본집에 편찬함과 아울러, 잘못 수록된 한충(韓忠)의 사직소(辭職疏)를 빼고 간행하였던 것이다. 이 책은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서울대학교 규장각·성균관대학교, 또한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는 한국고전번역원이 홈페이지( http://www.itkc.or.kr )를 통해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본 글도 한국고전번역원의 홈페이지를 통해 '제주풍토록'의 원문을 다운 받은 뒤, 옮겨 실었다.

제주풍토록 첫 장. 사진=김일우.
제주풍토록 첫 장. 사진=김일우.

'제주풍토록'의 내용은 제주의 풍토·풍속·민정(民情)·형승(形勝)·토산과 더불어, 그의 유배생활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들 내용은 유배지에서 쓴 것으로 유배생활의 정서 및 제약성과 아울러, 성리학적 소양이 깊고, 그 사상에 투철한 김정의 주관성이 반영된 점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한편, '제주풍토록'은 일전에도 홍정표(洪貞杓)에 의해 번역되어 여러 사서의 번역과 함께 '탐라문헌집(耽羅文獻集)'이라는 제명으로 출간된 바가 있었다._2) 2000년도에 들어와서는 '남명소승(南溟小乘)', '제주풍토기(濟州風土記)', '탐라록(耽羅錄)'과 함께 역주본이 나오기도 하였다._3) 본 글의 '제주풍토록' 번역도 앞서의 연구물 내용을 참고・대조하면서 이루어졌다.

2) 제주도 교육위원회, '제주풍토록' '탐라문헌집', 1976, 5~16쪽. 
3) 김익수 외 2인, '譯註 濟州古記文集', 제주문화원, 2007, 11~29쪽.

특히, '제주풍토록'은 그 내용이 실 체험과 견문을 바탕으로 16세기 전반 제주 지역의 풍토·풍습·민정 등의 상황을 생생하게 그려낸 것이다. 더욱이, 최초의 제주풍토지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하겠다._4) 그런 만큼, 본서의 수록내용을 망라해 검토하는 한편, 그것이 조선시대 이후 제주 지역의 인식에 큰 영향을 미쳤거니와, 김정의 주관성을 엿볼 수 있음도 얘기해보고자 한다.

4) 김봉옥, '제주풍토록 해제' '탐라문헌집', 1976, 5~7쪽 ; 고창석, '해제: '都近川水精寺重修勸文・濟州風土錄'' '제주사자료총서Ⅰ', 제주도, 1998, 17~26쪽.

2. 수록내용의 검토

'제주풍토록'의 내용은 제주의 기후·가옥·신앙·제주어·풍속·민정·지형·토산과 서식 동식물·형승, 그리고 유배생활 등으로 꾸며졌다. 이들 내용은 21개 항목으로 나누어진다. 이들은 내용별로 묶어볼 수도 있다. 여기에는 16세기 전반 제주의 상황을 알려주는 한편, 후대 널리 받아들여졌던 사실도 적지 않은 편이다.

1) 제주의 자연과 산물

(1) 기후

此邑風土. 別是一區. 事事殊異. 動可吁駭. 一無可觀. 氣候冬或溫夏或涼. 變錯無恒. 風氣似暄而着人甚尖利. 人衣食難節. 故易於生疾. 加以雲霧恒陰翳少開霽. 盲風怪雨. 發作無時. 蒸濕沸鬱. 又地多蟲類. 蠅蚊尤甚. 與凡蜈蚣蟻蚓等諸雜蠢䗜之物. 皆經冬不死. 甚爲難堪. 想北邊寒洌. 必少此害也. 

이 고을의 풍토는 또 하나의 유별한 곳으로 하나하나 매우 달라서 까딱하면 탄식하고 놀라만하나 모두가 볼만한 것이 없다. 기후가 겨울철에도 때로는 따뜻하고 여름철은 간혹 서늘하나 변화가 무쌍하고, 바람과 공기는 따뜻한 것 같으나, 몸에 와 닿기는 살을 에는 듯하고, 의복과 음식을 조절하기 어려워 병이 나기 쉽다. 더욱이 구름과 안개가 항상 음침하게 덮어 가려 맑게 갠 날이 적고, 거센 바람과 궂은비가 시도 때도 없이 몰아닥쳐 매우 습하며 답답하다. 또 땅에는 벌레가 많다. 파리와  모기는 더욱 많고, 무릇 지네와 개미 및 지렁이 등과 같이 꿈틀거리는 벌레의 부류가 모두 겨울을 지내는데도 죽지 않으니 매우 견디기가 어렵다. 생각건대, 북쪽 지방은 차갑고 춥기 때문에 반드시 이 해가 적을 것이다.

위의 ㈀ 부분은 김정이 제주에 유배오자마자 갖게 된 정서가 크게 작용했다고 하겠다. 그는 '제주풍토록' 가운데 형승을 몇 군데 거론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제주에 살면서 점차 곳곳을 돌아본 점과 아울러, 유배 올 당시의 정서도 가라앉은 점이 작용했다고 하겠다.

㈁ 부분, 곧, “무릇 지네와 개미 및 지렁이 등과 같이 꿈틀거리는 벌레의 부류가 모두 겨울을 지내는데도 죽지 않으니”라는 논의는 1653년(효종 4) 간행의 '耽羅志'에도 “초목과 곤충은 겨울이 지나도 죽지 않는다”라고 하듯이, 투영되고 있다. 이뿐만 아니고, 후대의 각종 사서 가운데 '제주풍토록'의 내용을 인용·발췌해 수록했거나, 혹은 그 일정 부분의 전체를 실었던 사실도 상당수 확인된다.

(2) 지형

三邑地皆漢挐山之麓. 崎嶇磽确. 平土無半畝耕者. 如挑剔魚腹. 地似平曠而難遠望. 以凹隆 故也. 雖有阜陵而雜亂難辨. 勢如網目. 或如亂塚. 雖多積石就中最高者皆積石也. 而不怪不雅不整. 皆頑礦黑惡. 見之可憎. 雖或有丘巒. 而皆孤擲隆頹孤而不聳. 隆而又頹. 無廻擁之勢. 唯見巨岳㝫然當中. 礙睢而已. 其視君言. 多骨少肉. 有皆骨之風者. 大相遼絶. 回思前昔所賤土山如全義淸州者. 何可得耶. 又山峯之頂. 必凹如鑊. 陷成泥潦. 峯峯皆然. 故謂之頭無岳. 此尤可怪. 然若登漢挐絶頂. 四顧滄溟. 俯觀南極老人老人星. 大如明星. 在天南極之軸. 不出地上. 若現則仁壽之祥. 唯登漢挐及中原南嶽則可見此星. 指點月出無等諸山. 可盪奇胸. 如太白所云雲垂大鵬翻. 波動巨鼇沒者. 唯此可以當之. 惜吾羈囚. 勢不能耳. 然男兒落地. 橫截巨溟. 足踏此異區. 見此異俗. 亦世間奇壯事. 蓋有欲來不得. 欲止不免者. 似亦冥數前定. 何足與焉. 

삼읍의 땅이 모두 한라산 기슭에 있는지라, 길이 험악하고 돌이 많으며 메마르고 평토가 절반도 못돼 밭가는 자는 생선 배의 뼈를 발라내는 것과 같고, 땅은 평평하고 넓은 것 같으나 멀리 바라보기가 어려우니 오목하고 튀어나온 곳이 있기 때문이다. 비록 낮고 큰 언덕이 있더라도 번잡하게 어지럽혀져 있어 분별하기가 어렵고 형세가 그물눈, 혹은 무덤을 어지럽혀 놓은 것 같다. 비록 쌓아놓은 돌이 많더라도그 중 가장 높은 것도 모두 쌓아놓은 돌임. 이상하게 여기지 않으며, 바르지 않고 정리되지도 않았다. 모두 무딘 쇳돌이라 검고 거칠어 보기에 거슬린다 하겠다. 비록 혹 구릉이 있더라도 모두 홀로 떨어져 높으나 기울어져 있다고립되어 있고 우뚝하지 못하며 높으나 기울어져 있다. 둘러 휘감는 형세는 없고 오직 거대한 산이 활모양처럼 가운데 솟아있어 눈에 거슬릴 따름이다. 그대〔생질을 일컬음〕의 말을 비추어보자면 뼈대가 많고 살점은 적어 기암괴석의 산체가 뼈처럼 드러나는 풍모가 있다 하나 크게 서로 느슨하게 끊어져 있다. 돌이켜 생각건대, 과거에 천하게 여기는 흙산〔土山〕인지라 全義와 淸州와 같은 경우를 어찌 얻을 수 있겠는가. 또 산봉우리 정상은 반드시 오목하여 가마솥 같고 진흙탕물이 고여 있는데, 봉우리마다 모두 그러하다. 때문에 無頭岳이라 일컫는다. 이것도 더욱 이상스러울만하다. 그러나 만약 한라산 절정에 올라 사방으로 푸른 바다를 둘러보고, 남극 노인성_5)을 굽어보고 노인성은 크기가 샛별〔明星; 金星〕같고 하늘 남극의 중심축에 있어 표면 위에 나오지 않으니, 만약 보게 되면 어질어 장수한다는 상서이다. 다만 한라산과 중국 중원(中原)의 남악(男岳)에 올라가야만 이 별을 볼 수 있다. 월출산과 무등산 등의 여러 산을 가리키며 쳐다보면 기이함이 가슴 속에 울렁거릴 만할 것이다. 이태백이 이른 바, “구름이 드리웠으니 대봉(大鳳)이 날아감인가, 파도가 흔들거리니 큰 자라가 빠짐인가” 한 것과 같이, 오직 이것이 그에 상당하다고 할 수 있거늘. 애석하도다! 나는 귀양 온 죄인의 몸으로 그럴 처지가 못 된다. 그러나 남아로서 세상에 태어나 큰 바다를 가로질러 이 색다른 지역을 밟아 유별난 풍속을 보는 것도 또한 세상살이에 있어 기이하고 장한 일이다. 대개 오고자 하여도 그럴 수 없고, 그치고자 하여도 면할 수 없는 것으로, 또한 하늘의 운수가 미리 정해져있는 듯하니, 어찌 족하지 않겠는가.

5) 老人星은 남극성이라고 하는 canopus로 아르고자리 2성, 용골좌(龍骨座)의 2성인데 1등성이다. 위치는 6H24m, 적위 -52˚ 41´이다. 제주도 서귀포 쪽에는 오리온과 시리우스의 아래쪽 수평선 바로 위로 붉게 보이는데 계절적으로 9월초에는 새벽, 10월말에는 새벽 4~5시, 11월말에는 새벽 2~3시 반, 1월말에는 밤 10~11시 반, 2월말에는 초저녁 8~9시, 3월에는 초저녁에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934년(고려 태조 17년)에 노인성의 기록이 나온다. 중국에서도 노인성이라 부르며, 이 별을 보면 장수한다고 전해 왔다. 衡山에서 보인다고 했다.

이 항목은 제주 지역의 땅 모양, 높낮이와 기복, 한라산, 비탈 등의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후대의 각종 사서에서도 위 내용을 인용·발췌해 수록했거나, 혹은 그 일정 부분의 전체를 실었음도 상당수 이른다. 그만큼, 위의 내용은 신빙성 있게 받아들여졌고, 제주의 지세를 인식함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하겠다. 

여기에는 한라산을 비롯해 제주의 각 지역에 산재한 오름의 존재와 그 특색, 곳곳에 산재한 현무암질 암석과 돌 등의 형상을 논의하는 한편, 김정의 평도 곁들여 놓고 있다. 그의 평이 한라산 정상에서의 조망과 관련해서는 긍정적이나, 대체적으로 부정적 인식을 드러냈다고 하겠다.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또 산봉우리 정상은 반드시 오목하여 가마솥 같고 진흙탕물이 고여 있는데, 봉우리마다 모두 그러하다. 사진은 한라산 백록담 전경.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는 화산활동을 통해 분출된 섬이었기에 현재의 지세를 갖추게 되었고, 그것이 가장 주요한 정체성의 하나로서 제주의 역사·문화·생태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또한 오늘날에 와서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유네스코 제주 세계자연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것도 제주가 화산활동을 통해 분출되었기에 가능했다고 하겠다. 한편 제주는 해발 1950m에 달하는 높은 한라산이 사방의 중심부 지역에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오름과 거무스름 현무암질 암석이 곳곳에 산재한 곳이다. 여기는 비행물을 타 높은 상공에서 보지 않고, 육지부에서 배를 타 제주로 들어오는 바다에서 바라보면 곳곳이 분절된 채 눈에 들어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사실, 제주의 면적은 수십여 년 걸쳐 널리 확대되어 온 현재의 서울보다 3배나 넓다. 그럼에도, “한라산에서 공을 차면 바다에 빠진다”는 애기가 널리 회자된 것은 한라산이 섬 중심부에 들어앉아 높이 솟아 있는 가운데 360여개 오름 및 현무암질 암석의 존재로 말미암아, 제주 섬의 절반만 눈에 들어옴과 함께, 곳곳이 분절된 채 보이는 경관, 곧 바닷길에서 본 제주의 형상이 크게 작용했다고 하겠다. 김정의 경우도 제주로 유배 올 때 바닷길에서 본 제주의 형상이 머리에 박힌지라 위와 같이, 얘기했을 듯싶다. (계속)

# 김일우

제주 출신으로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박사 과정을 마쳤다. 현재 사단법인 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 겸 이사장을 맡고 있다. 
역사연구자로 나선 후, 줄곧 지방사회와 국가권력과의 관계를 해명하는데 관심을 기울였다. 그에 따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냈다. 특히, 1995년부터 서울에서 다시 제주에 살기 시작한 뒤로는, 제주사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국가사 인식의 폭을 넓히는 한편, 국가사와 제주사의 유기적 통합을 모색하는 관점의 연구에 힘을 기울였다. 또한 전문적 역사연구자의 연구 성과물을 일반 대중과 공유화하는데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 결과, 도내 일간지에 1년간 실었던 연재물이 ‘고려시대 탐라사 연구’(신서원, 2000)로 이어져 문화관광부 ‘2001년도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됐다. 또한 ‘고려후기 제주·몽골의 만남과 제주사회의 변화’, ‘한국사학보15’(고려사학회, 2003)로 비롯된 연구물은 ‘제주역사 기행 제주, 몽골을 만나다’로 이어졌다. 이는 일부 개정을 거쳐 일본판 ‘韓國·濟州島と遊牧騎馬文化モンゴルを抱く濟州’(明石書店, 2015)로 출간됐다. 연구 성과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2014년 ‘연구물의 나눔’을 지향한다는 의미에서 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를 개설하고 소장·이사장을 맡은 뒤, ‘증보판 화산섬, 제주문화재 탐방’(제주특별자치도, 2016) 등을 내놨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