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명환 의원, 제주도 하수처리시설 자료분석 운영결과 보고서 분석 결과

제주시 도두동 주민들이 정화되지 않은 하수를 바다로 무단방류한 데 대해 대책마련을 촉구하며 제주도 당국에 항의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시 도두동 주민들이 정화되지 않은 하수를 바다로 무단방류한 데 대해 대책마련을 촉구하며 제주도 당국에 항의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도내에서 발생하는 하수 가운데 60%를 처리하고 있는 제주시 도두하수처리장에서 6년째 정화되지 않은 하수가 바다로 흘러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정이 이런대도 제주도는 과태료나 벌금 부과 없이 개선 명령만 반복, 하수대란이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제주도의회 홍명환 의원(이도2동갑, 더불어민주당)이 제주도로부터 제출받은 하수처리시설 운영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4월 실시한 방류수 기준초과 점검에서 연속 3회 이상, 주 10회 이상 기준을 초과한 하수를 방류하다 ‘개선 명령’ 처분을 받았다.

이후 제주도 상하수도본부는 생물반응조 증설 및 송풍설비를 교체했지만, 이듬해에도 COD(화학적 산소요구량)과 SS(부유물질) 등이 기준을 초과해 또 다시 개선 명령을 받았다.

상하수도본부가 연차적으로 슬러지 수집기 교체, 교반기둥 교체, 내부 반송펌프 증설 등 시설·설비 개선에 나섰지만, 올해까지도 COD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등 6년 연속 ‘개선 명령’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시설·설비 개선에도 6년째 기준치를 초과한 하수를 방류하고 있는데도, 근본적으로 시설용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공공하수처리시설이 처리용량에 한계를 보인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2010년대 초부터 제주 유입인구 및 관광객 증가와 대규모 개발사업 추진 등으로 하수발생량이 급격하게 늘면서 ‘하수대란’이 현실화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상하수도본부는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따라 2015년부터 2025년까지 총사업비 7167억원을 투자해 도내 8곳의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처리용량을 1일 24만톤에서 2020년 34만8000톤, 2025년 42만8000톤으로 증설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국비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으며 사업추진에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하수대란’은 매년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 공공하수처리시설(도두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 조감도.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 공공하수처리시설(도두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 조감도.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도내 하수발생량의 60% 정도를 처리하고 있는 도두하수처리장의 경우 최근에야 기획재정부 예산조정 등을 거쳐 현대화 사업비 3927억원이 확정됐다. 제주도는 7월 중 설계와 시공 일괄 입찰방식으로 입찰공고를 진행할 계획이다.

2025년까지 현대화사업이 마무리되면 1일 하수처리용량이 13만톤에서 22만톤으로 늘어난다. 제주도는 기존 처리시설은 무중단공법으로 완전 지하화하고, 지상은 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홍명환 의원은 “하수처리와 관련해서는 도시 전체에 대한 거시적인 진단이 필요하다”며 “도두하수처리장의 경우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제대로 된 진단과 함께 가장 효율적인 개선대책이 무엇인지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