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개동 회천매립장 음식물쓰레기 반입 10월까지...동복리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운영권 갈등

1992년 준공된 제주회천매립장을 대신해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와 서귀포시 색달동에 광역쓰레기 처리시설이 잇따라 들어서고 있지만 사용기한과 주민 지역 협약 등을 두고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그래픽-김정호 기자]
1992년 준공된 제주회천매립장을 대신해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와 서귀포시 색달동에 광역쓰레기 처리시설이 잇따라 들어서고 있지만 사용기한과 주민 지역 협약 등을 두고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그래픽-김정호 기자]

-2017년 3월2일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이 덤프트럭을 동원해 광역 매립장과 소각장을 짓는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공사장 출입을 봉쇄했다.

-2019년 8월19일 제주시 봉개동 주민들이 회천동쓰레기 매립장 출입구를 봉쇄하면서 제주시 동지역 음식물쓰레기 반입 차량이 모두 멈춰섰다.

-2021년 8월18일 동복리 주민들이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내 매립장 진입로를 굴착기와 덤프트럭으로 막아서면서 불연성 폐기물 반입이 전면 중단됐다.

인구와 관광객 증가로 배출 쓰레기량도 덩달아 늘면서 도내 처리시설 곳곳에서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과거 제주에서 발생한 쓰레기 대부분은 봉개동에 위치한 회천매립장에서 처리했다. 1991년 공사를 시작해 이듬해 20만3320㎡ 부지에 쓰레기 213만㎥를 매립할 수 있는 규모로 지어졌다.

조성 당시 제주도는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고려해 운영 기한을 10년 후인 2001년으로 못 박았다. 대체부지를 확보하지 못한 제주도는 주민들과 갈등 끝에 2011년으로 기한을 연장했다.

주민들의 시설 이전 요구가 거세지자, 각종 시설과 자금 지원을 내세워 설득작업에 나섰다. 이마저 기한이 다다르자 2016년까지 다른 지역에 새로운 매립장을 조성하겠다며 2차 연장에 나섰다.

봉개동 주민들이 제주회천매립장 내 음식물쓰레기 반입을 금지하며 출입로를 봉쇄하자, 2019년 8월21일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직접 회천매립장을 찾아 주민들의 협조를 요청하는 모습.ⓒ제주의소리 자료사진
봉개동 주민들이 제주회천매립장 내 음식물쓰레기 반입을 금지하며 출입로를 봉쇄하자, 2019년 8월21일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직접 회천매립장을 찾아 주민들의 협조를 요청하는 모습.ⓒ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도는 2011년 입지선정위원회까지 구성했지만 후보지 선정에 실패하면서 2018년까지 매립장 사용기한을 늦추는 3차 연장에 나섰다. 이또한 지키지 못해 이듬해 4차 연장까지 했다.

2019년 12월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에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가 겨우 문을 열면서 매립장 논란은 수면 아래로 일단 가라앉았다. 이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 문제가 재차 발목을 잡았다.

제주회천매립장 내 음식물처리시설 중단에 맞춰 제주도는 광역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 조성 사업을 추진했다. 당초 회천매립장 내 음식물 처리시설 사용기한은 2021년 10월까지였다.
 
제주도는 2017년 서귀포시 색달동에 부지를 확보했지만 소송 등 각종 문제로 착공이 지연되면서 완공은 2021년 10월에서 2023년으로 2년 늦춰졌다. 봉개동 주민들은 즉각 반발했다.

2019년 8월 회천매립장 진입로 봉쇄 당시 원희룡 도지사가 직접 현장을 찾아 중재에 나섰다. 가까스로 반입은 재개됐지만 사용기한이 2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갈등의 불씨는 여전하다.

신규 광역 쓰레기 처리시설인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도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회천매립장 대체지가 시급했던 제주도는 2014년 동복리를 사업부지로 선정하면서 주민들과 협약서를 작성했다.

제주도가 제주회천매립장 이전 약속을 지키지 않자, 2014년 2월10일 봉개동 주민들이 현장을 방문한 우근민 제주도지사에 항의하는 모습.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도가 제주회천매립장 이전 약속을 지키지 않자, 2014년 2월10일 봉개동 주민들이 현장을 방문한 우근민 제주도지사에 항의하는 모습.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당시 제주도는 동복리에 350억원의 법정지원금과 215억원의 주민지원금, 쓰레기 규격봉투 판매량의 10%인 주민지원기금 조성 등 최소 560억원 이상의 금전적 지원을 약속했다.

지원금 외에도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내 신규 자원재활용 선별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그 운영권은 동복리 청년회에 위탁운영 할 수 있다’는 추가 지원에도 합의했다.

이 조항이 7년이 지난 현재 제주도의 발목을 잡았다. 주민들은 해당 조항을 근거로 준공 예정인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운영권을 요구하고 있다. 당시 협약서에는 우근민 전 지사가 서명했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옆 부지에 들어서는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는 하루 130톤의 재활용품을 선별해 압축하고 침대와 가구 등 10톤의 대형페기물을 처리하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동복리 주민들은 해당 시설에 대한 운영권을 요구하는 반면 제주도는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며 맞서왔다. 결국 양측은 위탁운영에 대한 용역을 진행해 재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급한 불은 껐지만 내년 상반기 용역 결과에 따라 동복리 주민들의 집단행동은 언제든 재개될 수 있다. 당장 10월 끝나는 봉개동 음식물쓰레기 사용기한 만료도 시한폭탄이다.

올해 6월 착공한 서귀포시 색달동 ‘광역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 조성사업’도 협약을 주도한 원희룡 전 도지사가 퇴임하면서 협약 이행 여부에 따라 언제든 갈등이 표면화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