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평화포럼] 김지욱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전문위원 '핵심 주제+전 국민적 관심'

김지욱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전문위원이 22일 제주칼호텔에서 열린 제주4.3평화포럼에서 강연하고 있다.
김지욱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전문위원이 22일 제주칼호텔에서 열린 제주4.3평화포럼에서 강연하고 있다.

 

제주4.3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려면 보편타당한 핵심 주제를 잘 선정해야하고, 전 국민적인 관심이 있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주4.3평화재단은 22일 오전 10시 제주칼호텔에서 '제주4.3 기억과 기록의 연대'라는 주제로 제11회 제주4.3평화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기억의 기록화와 유네스코' 제1세션에서 김지욱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전문위원이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과정과 의미'로 주제 발표했다.

현재 유네스코에 등재된 한국의 기록유산은 1997년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을 시작으로 2017년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등 총 16건이 있다.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1월29일부터 시작된 국채 1300만원(현 1조원 상당)을 국민들의 힘으로 갚자며 일어난 민간운동이다.

대구를 시작으로 1910년까지 전국 318개 군이 동참해서 총 30만명이 참여했고, 약 18만원 상당을 의연금으로 모금했지만 일제의 탄압으로 중단됐다.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국채보상운동의 발단과 전개' 12건, '국채보상운동의 확산과 파급' 77건, '일제 정부 기록물' 122건, 신문 및 잡지의 언론 기록물 2267건 등  총 2475건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록됐다. 

국채보상운동은 한민족의 애국애족운동이자 항일 구국운동이며, 우리나라 최초의 전국적 시민운동이라고 할 수 있고, 이후 3.1운동, 물산장려운동, 국산품애용운동으로 이어졌고, 1997년 IMF 당시에는 '금모으기 운동'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김지욱 전문위원은 "국채보상운동이 유네스코 세계기록물유산에 등재된 것은 전 국민적 호응과 더불어서 일본의 반대를 회피하는 전략으로 운좋게 등재됐다"며 "위안부와 3.1운동, 동학운동의 경우 현재 일본의 반대하면서 기록물등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욱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전문위원이 22일 제주칼호텔에서 열린 제주4.3평화포럼에서 강연하고 있다.
김지욱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전문위원이 22일 제주칼호텔에서 열린 제주4.3평화포럼에서 강연하고 있다.

 

김 위원은 "유네스코 예산의 8%를 일본이 분담하고 있는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려면 이해관계에 있는 기록의 경우 국가간 합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며 "이 때문에 2019년 이후 등재된 기록물이 우리나라에선 아직 없다"고 밝혔다. 

제주4.3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려면 △보편타당하면서도 독특한 핵심 주제 △학술적으로 객관화 △국민적 관심 등 3가지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 위원은 '2015년 국내 심사 당시 지역사회 오피니언과 지도자를 모셨고, 발기인대회, 전시회, 학술세미나 등 전국적인 관심과 홍보를 다했다"며 "두 번째는 보편적으로 누구나 받아들일 수 있고, 독특한 핵심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국채보상운동의 주제는 서양의 귀족 중심의 노블리스 오블리제 권리장전이 아니라 시티즌 오블리제 즉 시민적 책임장전을 주제로 내세웠다"며 "1907년 국가의 부채를 국민의 힘으로 갚겠다는 것으로 심사위원을 설득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은 "당시 3.1운동과 동학운동 등과 경쟁했는데 주제를 잘 선택했고, 유네스코에 영향이 큰 일본을 피했다"며 "제주4.3도 자료를 잘 정리하고, 핵심적인 주제를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국제적인 분쟁꺼리가 있으면 아무래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어렵다"며 "제주4.3의 경우 일본과 엮일 가능성이 적으니 보편타당하고, 독특한 주제를 정하고, 전 국민적 관심사로 만든다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