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통합방위협의회 장성급 2명 추가 투입...육상은 제9여단-해상은 제3함대 작전지휘

적의 침투나 도발 등에 대비해 가동하는 제주 통합방위협의회에 처음으로 해상작전을 수행할 소장급 군 장성이 합류한다. 이 경우 유사시 도내 군 서열 최고 자리에 오른다.

5일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특별자치도 통합방위협의회’ 위원에 해군 제3함대사령관을 선임하기 위한 국방부간 협의 절차가 이뤄졌다.

통합방위협의회는 통합방위법에 따라 적의 침투나 도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에 구성하는 지휘체계이자 각 지역 최고 심의 기구다.

제주의 경우 도지사가 의장, 도의회 의장이 부의장을 맡고 있다. 추가 참석 인사는 도교육감, 제주지방검찰청장, 국가정보원 제주지부장, 제주경찰청장, 제주지방해양경찰청장 등이다.

군부대는 해병대 제9여단장과 기무부대인 379군사안보지원부대장, 해군 제주기지전대장이 참여하고 있다. 이중 9여단장은 준장(★), 기무부대장은 중령(**), 기지전대장은 대령(***)이다.

전시 상황이 발생하면 9여단장이 제주 육상 작전을 지휘한다. 반면 해상은 작전 수행에 한계가 있다. 제주기지전대는 해상이 아닌 제주해군기지 부대 시설관리가 핵심 임무이기 때문이다.

이에 제주도는 제주기지전대장을 통합방위협의회 위원에서 제외하고 해군 제7기동전단장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제7기동전단장은 준장(★)으로 기지전대장보다 계급이 높다.

제주해군기지에 주둔하는 제7기동전단의 주요임무는 제주해역이 아닌 동중국해상 등 해외에서 수행한다.

제주도는 유사시 즉각적인 해상작전 대응을 위해 제3함대사령관의 동의를 얻어 새롭게 통합방위협의회 위원에 선임하기로 했다. 제3함대사령관 계급은 소장(★★)이다.

제3함대사령부는 해상전투에 대응하는 제1,2함대와 달리 대침투작전에 특화된 조직이다. 과거 부산에 주둔하다 2007년 목포해역방어사령부가 있던 전남 영암으로 자리를 옮겼다.

제3함대사령관이 통합방위협의회 위원으로 합류하면 육상 작전 지휘권을 가진 9연단장 보다 계급이 더 높아진다. 통합방위협의회 장성급 지휘관도 1명에서 단번에 3명으로 늘어난다.

제주도는 작전체계를 현실화 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주특별자치도통합방위협의회 등에 관한 조례’를 손질하고 연말까지 개정안을 도의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