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제주에서 농수축산 부문 온실가스 감축 방안에 대한 토론회가 열렸다.
8일 제주에서 농수축산 부문 온실가스 감축 방안에 대한 토론회가 열렸다. ⓒ제주의소리

우리나라 농업이 화석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의견이 나왔다.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김자경 학술연구교수는 8일 제주도농어업인회관에서 열린 ‘탄소중립 시대의 제주, 친환경 농업으로 가는 길’ 제3차 지역토론회(제주도)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친환경농업 정책의 쟁점’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이 말했다. 

최근 정부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탄소중립은 한 국가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하는 체계를 구축, 실제 배출량을 ‘0(제로)’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2018년 기준 농추수산 분야에서 배출된 온실가스는 2470만톤 규모로, 우리나라 전체 배출량 7억2760만톤의 3.4% 정도를 차지한다. 

정부는 2050년 농축수산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1540만톤까지 줄이는 계획을 세웠다. 

김 교수는 농축수산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농민 개별의 문제로 취급하면 안된다고 말했다. 

8일 제주에서 농수축산 부문 온실가스 감축 방안에 대한 토론회가 열렸다.
김자경 교수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친환경농업 정책의 쟁점에 대해 주제 발표하고 있다. 

김 교수는 “종자와 비료, 농약, 농기계, 사료 등 수입자재와 수입농산물이 많은데, 사실상 다른 나라에서 배출한 탄소를 가져오는 것과 다름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친환경농업 인증에 탄소감축이 포함돼야 한다. 현재 정책은 비에너지 생산과정에 집중돼 있다. 논과 농경지, 분뇨처리 등에서 메탄과 이산화질소 등이 다량 배출되고 있다. 전기 예초기의 경우 효율성이 나빠 농민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다. 친환경농업을 포함해 우리나라 농업은 화석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1차산업에서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면세유나 면세전기 문제 등도 함께 논의해야 한다. 이에 대한 논의 없이 개별 농가가 책임지게 하면 안된다. 이제야 공론의 장이 열린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현장토론회는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가 주최하고, 지역에너지전환전국네트워크와 제주여성농민회, (사)제주도친환경농업협회, 한살림생산자제주도연합회가 주관했다. 

김 교수 발표에 앞서 이유진 농어업·농어촌탄소중립위원회 위원이 ‘기후위기 대응 농업전환의 과제’에 대해 주제 발표했으며, 모든 발표가 끝난 뒤 김현권 농어업·농어촌탄소중립위원장이 좌장을 맡아 토론이 이어졌다. 

토론회는 코로나19 상태에 따라 현장 참석이 제한돼 유튜브 등으로 생중계됐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