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예술칼럼 Peace Art Column] (72) 리춘펑

제주도는 평화의 섬입니다. 항쟁과 학살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은 더욱 간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주4.3이 그렇듯이 비극적 전쟁을 겪은 오키나와, 2.28 이래 40년간 독재체제를 겪어온 타이완도, 우산혁명으로 알려진 홍콩도 예술을 통해 평화를 갈구하는 ‘평화예술’이 역사와 함께 현실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들 네 지역 예술가들이 연대해 평화예술운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들의 평화예술운동에 대한 창작과 비평, 이론과 실천의 공진화(共進化)도 매우 중요합니다. 독립언론 [제주의소리]가 네 나라 예술가들의 활동을 ‘평화예술칼럼(Peace Art Column)’을 통해 매주 소개합니다. 필자 국적에 따른 언어가 제각각 달라 영어 일어 중국어 번역 원고도 함께 게재합니다. [편집자 글]
1950년대 국경절을 축하하는 홍콩 중국은행. 사진=리춘펑. ⓒ제주의소리
1950년대 국경절을 축하하는 홍콩 중국은행. 사진=리춘펑. ⓒ제주의소리

지난 번까지 말했듯이 홍콩은 전후 중국, 영국, 미국 3극 구도에서 결국 영국에 점령되었다. 그 역사를 따라 홍콩의 발전을 더듬어 보자.

1949년 4월 하순 인민해방군(PLA)은 양자강을 건너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을 점령했다. 이대로 진전되면 인민해방군은 수개월 안에 광둥(廣東)에 도달해 홍콩을 침공할 가능성이 있었다. 당시 영국 홍콩 정부는 영국이 홍콩을 유지한다는 성명을 내고 시민들에게 홍콩에 머물도록 독려함과 동시에 상세한 작전계획을 수립해 미군에 홍콩 방위지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인민해방군 선발대가 홍콩에서 다리를 건너 선전에 도착해 국경을 넘어 홍콩으로 들어가라는 명령을 기다리고 있던 중 베이징이 갑자기 “당분간 홍콩 탈환을 보류한다”고 결정하자 부대는 진격 중단을 지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당시 영국군의 주둔지는 그리 크지 않았고 인민해방군은 내전으로 입지를 굳히고 있었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홍콩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 확실했다. 또한 정치적으로도 홍콩 해방은 중국 식민주의 잔재를 일소하는 일이었고, 장제스(張介石) 정권이 뜻을 이루지 못한 일이기도 했다. 따라서 큰 장점이 있을 것으로 여겨졌는데, 중국 공산당은 왜 이런 결정을 내렸을까?

베이징이 전쟁을 피한 것은 영국을 이길 자신이 없었기 때문일까? 실제로 당시 영국군의 수는 많지 않았고 인민해방군은 공산당 내전에서 파죽지세를 보였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홍콩 탈환이 확실했다. 또 정치적 의미에서도 홍콩 해방은 중국 식민지주의 잔재를 일소하는 일이었고 장제스(張介石) 정권이 이뤄내지 못한 일을 실현하는 일이기도 했다. 서구 제국주의의 거점이고 사회주의 혁명 승리의 상징인 홍콩 탈환은 큰 장점이 있어 보였는데 중국 공산당은 왜 이런 결정을 내렸을까?

문헌에 따르면 당시 홍콩 문제를 담당한 중국 공산당 핵심 인물인 랴오청즈, 판한니엔 등은 신중국 건국을 위해서는 세계무역의 출구가 필요하며 홍콩이 국제 자유무역항으로서의 그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영국의 통치가 유지될 경우 영국은 중국에서의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 중국과 가능한 한 안정된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외교전략상 홍콩은 완충지대와 같은 역할을 했으며, 중국이 영국의 과도한 적대관계를 피하고 영국을 끌어들여 나아가 영미동맹을 분리시키는 역할도 했다.

이 틀에서 홍콩은 냉전진영의 자유세계에 지배되어 식민지화된 상태인 동시에 공산주의 중국의 영향 아래 있는 특수한 모호한 입장에 서 있음을 주목하고자 한다. 중국 공산당에게 홍콩은 냉전 이데올로기의 대립에서 벗어난 예외적인 장소였으며, 따라서 국가 발전이라는 전체적인 이익이나 주민의 정치적 정체성 귀속과 같은 이데올로기 통제는 상대적으로 중시되지 않았다.

실제로 홍콩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예외 설정은 이후에도 지역 정세의 흐름을 좌우했다. 예를 들어 중국이 한국전쟁에 참전한 1950년 말 미국은 유엔을 이용하여 중국에 무역봉쇄를 발동하여 무기와 휘발유 등 전략물자뿐만 아니라 고무 철강 섬유 의약품 등도 중국으로 반입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이때 일부 홍콩 상인들은 영국령 홍콩정부의 삼엄한 감시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무릅쓰고 대량의 전략물자를 중국으로 밀수입하여 홍콩을 중국이 전쟁에 관여하는 지하수로로 삼았던 것이다.

정치적으로는, 이 금수 조치는 홍콩의 무역 경제에 큰 대미지를 주었다. 대규모의 기업들이 문을 닫으면서 실업 빈곤 법질서 등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홍콩의 영국 금융수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후에 영미간에 균열을 발생시키게 되었다. 그러나 이 금수 조치는 홍콩 경제의 무역에서 경공업으로의 전환을 간접적으로 가속화하면서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홍콩의 급속한 경제 발전의 기초를 닦았다.

한국전쟁 때 중국으로 밀수된 페니실린을 압수하는 홍콩 경찰. 사진=리춘펑. ⓒ제주의소리
한국전쟁 때 중국으로 밀수된 페니실린을 압수하는 홍콩 경찰. 사진=리춘펑. ⓒ제주의소리

미국은 홍콩의 무역을 봉쇄해도 중국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못했지만 홍콩의 사회적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홍콩을 자유세계와 공산주의 중국과의 큰 대비를 이루는 뛰어난 냉전의 쇼윈도로 만든 것이다. 홍콩은 1970-80년대 아시아의 4대 용으로 발돋움하며 경제적 영향력을 발휘할 기회를 얻었다.

그러나 이 일견 윈윈의 상황은 역설적인 결과도 가져왔다. 냉전시대의 홍콩이라는 특수한 환경 때문에 홍콩과 중국의 사회적 발전은 점차 두 개의 다른 길을 걸었고, 두 장소의 물리적 경계선도 이 시기에 확립되어 사람들의 자유로운 왕래가 차단된 두 사회가 떨어져 발전해 가는 가운데 홍콩인은 중국과의 문화적, 정치적인 일정한 연결을 유지하면서 자본주의적 라이프스타일이나 가치관의 혼재를 받아들였다. 이 패턴은 1980년대 들어서도 계속돼 덩샤오핑이 일국양제도에 따른 홍콩 반환을 제안했을 때 이 실용주의 입장은 홍콩에 대한 과거 중국 공산당의 예외적인 조치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그러나 문제는 만약 반환이 두 장소의 경계선 폐지를 의미한다면 그것은 홍콩의 예외성 소멸도 의미한다. 이렇게 되면 중국과 세계의 경제적 정치적 접점으로서의 홍콩의 위상도 사라진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역사가 남긴 예외성과 동질성 사이의 융화될 수 없는 긴장이 있으며 그것이 실은 홍콩과 중국 사이의 모든 모순의 기원이 되고 있는 것이다.

# 리춘펑

리춘펑(李俊峰, LEE Chun-Fung)은 홍콩에 거주하는 예술가이자 큐레이터이다. 그의 작품들은 공간적, 역사적, 정치적 맥락에서 공동의 관계를 탐구한다. 그는 <Can We Live Together?>(2014) 등과 같은 큐레이터 프로젝트를 비롯해 <Cycling to the Square>(2010~), <Pitt Street Riot>(2014) 등의 프로젝트에서 참여적인 예술 활동을 하고 있다. 게다가 그는 홍콩의 풀뿌리 동네인 야우마테이(Yau Ma Tei)에 기반을 둔 커뮤니티-예술 공간인 우퍼텐(Woofer Ten, 2009-2015)을 포함한 여러 예술 이니셔티브의 공동 창립자였다. 한편, 그는 동아시아 멀티미팅(Multiple Meeting, 2012-2013)과 <Art/Activist-in-Residence>(2011-2015)와 같은 프로젝트와 함께 지역 간 예술/활동가 교류에 힘쓰고 있다.


香港,與戰爭的距離 IV:長期打算
Hong Kong, The Distance to War IV: Long Term Consideration

李俊峰

上文提及戰後香港在中、英、美三方角力下,最終由英國接管香港,這次我們繼續沿歷史追溯其發展。

1949年4月下旬,解放軍渡過長江,並攻下中華民國首都南京;按推進速度,解放軍可於數月內抵達廣東地區,並有可能進攻香港。當時,港英政府一方面發表聲明指出英方將堅守香港,呼籲市民留港;同時則曾制定詳細的作戰計劃,預計採取以攻為守的策略,並邀請美軍協防香港。不過,就在解放軍的先頭部隊抵達深圳,與香港只一橋之隔,只待一聲命令便將越界進入香港之際,部隊突收到北京指示停止前進,因中央決定「暫不收回香港」。

難道北京是因為沒信心能擊敗英國而避戰?其實當時英國守軍人數並不多,加上解放軍在國共內戰中勢如破竹,取回香港應具一定把握。另外,解放香港有如洗脫殖民主義在中國的殘餘,也能實現蔣介石政府所不能達成的事情;再者,香港是西方帝國主義的基地,收回香港象徵社會主義革命的勝利,從各方面看,解放香港似乎是利多於弊,究竟中共為何作此決定?

按文獻指出,當時處理香港事務的中共核心人物如廖承志、潘漢年等人意識到在新中國成立後,國家需要一個能與世界貿易接釀的通道,而作為國際自由貿易港口的香港正好能擔任此角色。另一方面,若保留英國在香港的管治權,英方為了確保他們在中國的利益,便需盡量與中國建立穩定關係,既讓中國免於與英國過分敵對,又能借此拉攏英國,在必然時甚至有分化英美同盟的作用。是以,香港在中國的外交戰略上扮演著其與西方帝國主義勢力的緩衝地帶,重點是最大程度借助香港的地緣優勢幫助國家發展,因此後來中共對港就有了「長期打算,充分利用」此一說法。

值得注意是,在這框架下,香港處於一個頗為模糊的特殊位置,既受到冷戰陣營中的「自由世界」所支配,處於被殖民狀態,同時又是一個受共產主義中國所影響的前沿。對中共而言,香港屬於冷戰意識型態對抗之外的「例外之地」,因此相對並不太重視這地方的意識型態控制,例如民眾的政治認同歸屬,而是較從國家發展的整體利益作為考量。

事實上,中共對香港此一「例外設置」確實在後來持續左右地區上的局勢發展。例如在1950年底,由於中國派出「志願軍」參與韓戰,美國於是借聯合國發動針對中國的貿易封鎖,禁運貨品不單包括武器、汽油等戰略物資,如橡膠、鋼鐵、紡織品、藥物等亦不得進入中國。這時,一些香港商人在港英政府的嚴密監視下,冒險將大量戰略物資偷運進中國,讓香港成為中國補給戰略物資的地下通道。

在政治上,禁運對於香港的貿易經濟造成重大破壞,一方面大量公司倒閉,引發失業、貧困、治安等社會問題,另也直接影響英國在港的財政收益,這後來亦導致英美之間的嫌隙。不過,禁運亦間接加快香港從轉口貿易經濟轉型至輕工業的發展方向,為日後在60、70年代,香港的高速經濟發展打下基礎。

然而,這表面上屬多贏的局面,背後同時也產生一些弔詭的後果:由於香港在冷戰時期此一特殊設定,中港社會發展漸走上兩條殊異的路徑,兩地之間的物理邊界亦在這段時期設立,人民的自由往來從此被阻斷。隨兩地發展愈行愈遠,香港人漸建立自身的認同,一方面混雜地接受資本主義的生活方式與價值觀建構,同時又在文化及政治層面與中國維持一定扣連。此一格局延續至80年代,當鄧小平提出以「一國兩制」收回香港時,其實用主義立場一定程度上就是過往中共對港的例外設定的延續。

不過,問題是,假如真正的回歸是指兩地邊界的取消,這亦意味香港作為特殊、例外的設置的消失;但假如香港的例外性消失,它作為中國與世界經濟及政治接觸點之特性亦會接著消失。這裡,歷史遺下了同時包含「例外性」與「同一化」之間,一種不能調和的張力,這其實亦是香港與中國種種矛盾的原點。

在這層面上,中共借助香港推動國家發展,英國既保存管理香港的權力,又能獲取經濟利益,美國雖不能藉著完全封鎖香港的貿易來制衡中國,但透過推動香港的社會發展,使香港成為優秀的「冷戰櫥窗」,展示自由世界與共產主義中國的重大對比。香港亦在這例外設定下獲得機遇,在70、80年代躍身為「亞洲四小龍」,在經濟層面發揮影響力。

圖1: 50年代香港中國銀行慶祝國慶時的場景
圖2: 韓戰期間,香港警察檢獲走私往中國大陸的盤尼西林。


香港、戦争との距離 IV:長期的考慮
リー・チュンフォン

前回まで述べたように、香港は戦後、中国、イギリス、アメリカ三極の構図で、最終的にイギリスに占領された。その歴史に沿って香港の発展をたどってみよう。

1949年4月下旬、人民解放軍(PLA)は揚子江を渡り、中華民国の首都である南京を占領した。このまま進捗すればPLAは数ヶ月内に広東に到達し、香港を侵攻する可能性があった。当時、イギリス香港政府は、イギリスが香港を保持するという声明を出して市民に香港に留まるよう呼び掛け、同時に、詳細な作戦計画を作成し、アメリカ軍に香港防衛の支援を要請した。しかし、PLAの先遣隊が香港から橋を渡った先の深圳に到着し、国境を越えて香港に入る命令を待っていた矢先、北京が突然「当分の間、香港奪還を保留する」と決定したため、部隊は進撃の中止を指示されたという。

実際には、当時のイギリス軍の駐屯地はそれほど大きくなく、PLAは内戦で地歩を固めていたので、その気になれば香港を取り戻せることは確実でした。また、政治的に見ても、香港を解放することは、中国における植民地主義の残滓を一掃することであり、蒋介石政権が実現できなかったことを実現することでもありました。したがって、大きなメリットがあると思われたが、中国共産党はなぜこのような決断をしたのだろうか。

北京が戦いを避けたのは、イギリスに勝つ自信がなかったからだろうか。実際、当時のイギリス軍の数はそれほど多くなく、PLAは共産党内戦で破竹の勢いを見せていたため、その気になれば香港奪還は確実だった。また、政治的な意味でも、香港の解放は中国における植民地主義の残滓を一掃することであり、蒋介石政権が成し遂げられなかったことを実現することでもあった。西欧帝国主義の拠点であり、社会主義革命の勝利の象徴である香港奪還は、大きなメリットがあると見えたが、中国共産党はなぜこのような決断を下したのか。

文献によると、当時、香港問題を担当した中国共産党の中心人物である廖承志、潘漢年らは、新中国の建国には世界貿易のゲートウェイが必要であり、香港は国際自由貿易港としてのその重要な役割を果たすことができると認識していた。一方、イギリスの統治が維持された場合、イギリスは中国での利益を確保するために、中国とできるだけ安定した関係を築く必要がある。中国の外交戦略上も、香港は緩衝地帯のような役割を果たし、中国がイギリスの過度な敵対関係を避け、イギリスを引き込んでさらには英米同盟を分断する役割も担っていた。のちに中国共産党が香港を「長期的に最大限に活用する」としたのはこのためである。

この枠組みで、香港は冷戦陣営の「自由世界」に支配され、植民地化された状態であると同時に、共産主義中国の影響下にもあるという、特殊な曖昧な立場にあることに注目したい。中国共産党にとって、香港は冷戦イデオロギーの対立から外れた「例外的な場所」であり、したがって、国家の発展という全体的な利益や、住民の政治的アイデンティティの帰属といったイデオロギー統制は相対的に重視されなかった。

実際、香港の「例外設定」は、後に大きな影響を及ぼした。例えば、中国が朝鮮戦争に参戦した1950年末、アメリカは中国に対して貿易禁止令を発動し、武器やガソリンなどの軍事物資だけでなく、ゴムや鉄、繊維、医薬品などの製品を中国に持ち込むことを禁止したのである。この時、香港の一部の実業家は、イギリス領香港政府の厳重な監視にもかかわらず、危険を冒して中国に大量の商品を密輸し、香港を朝鮮戦争に関与する地下水路にしたのである。

実際、香港に対する中国共産党の「例外設定」は、その後も地域情勢の流れを左右した。例えば、中国が朝鮮戦争に参戦した1950年末、アメリカは国連を利用して中国に対する貿易封鎖を発動し、武器やガソリンなどの戦略物資だけでなく、ゴム、鉄鋼、繊維、医薬品などをも中国に持ち込むことを禁止した。この時、一部の香港商人たちは、イギリス領香港政府の厳重な監視にもかかわらず、危険を冒して大量の戦略物資を中国に密輸入し、香港を中国が戦争に関与する地下水路としたのである。

政治的には、この禁輸措置は香港の貿易経済に大きなダメージを与えた。大量の企業が閉鎖され、失業、貧困、法秩序などの社会問題を引き起こし、他方では香港のおけるイギリスの金融収入に直接影響して、これが後に英米の間に亀裂を生じさせることになった。しかし、この禁輸措置は、香港経済の貿易から軽工業への転換を間接的に加速し、1960年代から1970年代にかけての香港の急速な経済発展の基礎を築いた。

米国は香港の貿易を封鎖しても中国を完全に遮断することはできなかったが、香港の社会的発展を促進することで、香港を自由世界と共産主義中国との大きな対比を示す優れた「冷戦のショーウインドー」としたのである。香港は1970年代から80年代にかけて「アジアの四小龍」に躍り出て、経済的に影響力を発揮する機会を得た。

しかし、この一見ウィンウィンの状況は、逆説的な結果ももたらした。冷戦時代の香港という特殊な環境のために、香港と中国の社会的発展は次第に2つの異なる道を歩み、2つの場所の物理的境界線もこの時期に確立され、人々の自由な往来が遮断された 2つの社会が離れて発展していく中で、香港人は中国との文化的・政治的な一定のつながりを保ちながら、資本主義的なライフスタイルや価値観の混在を受け入れ、徐々に独自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確立していった。このパターンは1980年代に入っても続き、鄧小平が「一国二制度」による香港返還を提案した時、この実用主義の立場は香港に対する過去の中国共産党の例外的な措置の延長線上にあった。

しかし、問題は、もし返還が2つの場所の境界線の廃止を意味するなら、それは香港の「例外性」の消滅をも意味する。そうなれば、中国と世界の経済的・政治的接点としての香港の地位も消えるということだ。ここでは、歴史が残した「例外性」と「同質性」の間の融和しえない緊張があり、それが実は香港と中国の間のあらゆる矛盾の起源となっているのである。

図1:1950年代、国慶節を祝う香港中国銀行
図2:朝鮮戦争時、中国に密輸されたペニシリンを押収する香港警察


Hong Kong, The Distance to War IV: Long Term Consideration

LEE Chun-Fung

As discussed in the previous article, Hong Kong was eventually taken over by the UK after the war, and this time we shall continue to trace its development along the history.

In late April 1949, the People Liberation Army (PLA) crossed the Yangtze River and captured Nanjing,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China; at the estimated progress, the PLA could reach Guangdong region within a few months and possibly attack Hong Kong. At that time, the British Hong Kong government was facing a big pressure. On the one hand, they stated that the government would resist resolutely and appealed to the public to stay in Hong Kong. On the other hand, it made a detailed plan to defend Hong Kong by adopting an offensive strategy and inviting the U.S. Army to defend Hong Kong or even establish a U.S. base in Hong Kong. However, just as the PLA's troops arrived in Shenzhen, just a bridge away from Hong Kong and waiting for an order to cross the border into Hong Kong, they received instructions from Beijing to stop their advance because they had decided "not to take back Hong Kong for the time being".

Did Beijing call off the attack because they were not confident to defeat the Britain? In fact, the British garrison was not very large at that time, and the PLA was gaining ground in the civil war, so it was certain to get back Hong Kong if they are willing to do so. In addition, from the political point of view, liberating Hong Kong was a way to cleanse the remnants of colonialism in China and to achieve what Chiang Kai-shek's government could not achieve. Therefore, it seemed to be a big advantage, but why did the CCP make this decision?

According to the historical documents of CCP released today, the main reason is that the central figures in CCP who were handling Hong Kong affairs at that time,  realized that their need of gateway for world trade in the founding period of new China, and Hong Kong, as an international free trade port, could play this important role. 

On the other hand, if British governance was retained, the British side would need to establish a stable relationship with China in order to ensure their interests in China. Therefore, Hong Kong  acts like a buffer zone in China's diplomatic strategy, not only to prevent China from being too hostile to Britain, but also to draw Britain in, and even to divide the British-American alliance. This is why the CCP had its policy on Hong Kong as "Long-term Consideration to Gain Full Advantage of It".

It is worth noting that in this framework, Hong Kong is in a rather ambiguous position, being dominated by the "free world" of the Cold War camp and in a colonized state at the same time, while the influence of communist China is also overwhelmed. For the CCP, Hong Kong is an "exceptional case" outside of the Cold War confrontation, and therefore a place relatively less concerned with ideological control than the overall interests of state development.

In fact, the "exception setting" for Hong Kong did have its significant influence later on. For example, at the end of 1950, when China joined the Korean War, the United States initiated the trade embargo against China, prohibiting not only military goods such as weapons and gasoline, but also products such as rubber, steel, textiles, and medicines from entering China. At this time, some Hong Kong businessmen took the risk of smuggling large quantities of goods into China, despite the close surveillance of the British Hong Kong government, and making Hong Kong an underground channel to engage in the Korean War.

Politically, the embargo caused significant damage to Hong Kong's trading economy. Firstly, a large number of companies closed down, causing social instabilities such as unemployment and poverty, on the other hand, it directly affected the British financial revenue in Hong Kong, which later led to the conflicts between Britain and the US. However, the embargo also indirectly accelerated the transformation of Hong Kong economy from trading to industry,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Hong Kong in the 1960s and 1970s.

The United States could not completely block Hong Kong's trade as a counterweight to China, but by promoting Hong Kong's social development, it made Hong Kong an excellent "showcase of Cold War" from the contrast between the free world and communist China. Hong Kong was also given the opportunity to leapfrog into the "Four Little Dragons of Asia" in the 1970s and 1980s, and to exert influence at the economic level.

However, this apparently win-win situation also had some paradoxical consequences: due to this special setting of Hong Kong during the Cold War, the social development of Hong Kong and China gradually took two different paths,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 two places were also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As the two places developed further apart, Hong Kong people gradually developed their own identity, accepting the capitalist way of life and value, while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a certain degree of cultural and political ties with China. This pattern continued into the 1980s, when Deng Xiaoping proposed the 'One Country, Two Systems' approach to the unification of Hong Kong, which was, in part, a continuation of the CCP's exceptional setting of Hong Kong.

However, the problem is that if unification means the abolition of the border between the two places, it also means the disappearance of Hong Kong’s exceptionality; while if it happens so, its position as an economic and political contact point between China and the world will also disappear. Here, history has left an irreconcilable tension between "exceptionality" and "homogeneity", which is in fact the origin of the contradictions between Hong Kong and China.

Fig.1: The Bank of China in Hong Kong celebrating the National Day in the 1950s
Fig 2: During the Korean War, Hong Kong police seized penicillin smuggled to China.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