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연구용역 결과, “안전성 확보돼도 소비 35% 감소” 제주수산업 직격탄 전망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비해 제주수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이 완벽하게 이뤄지더라도 제주산 수산물 소비가 30% 이상 줄어들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대응수단으로는 수산물 안전성 검사에 대한 정보공개가 꼽혔고, 성별과 연령 등 세분화 된 시장으로 접근해야 그나마 소비지출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제언이다.

제주도의회 의원연구모임 제주해양산업발전포럼(대표 송창권)은 9일 오후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결정에 따른 제주수산물 소비 인식도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2011년 3월 11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수소폭발 및 방사능 유출 사고 모습. 사진=KBS 지식채집프로젝트 베짱이 [후쿠시마 원전사고...그 후 8년] 방송 갈무리.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2011년 3월 11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수소폭발 및 방사능 유출 사고 모습. 사진=KBS 지식채집프로젝트 베짱이 [후쿠시마 원전사고...그 후 8년] 방송 갈무리.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용역은 제주대학교 ICT기반 정책연구센터(연구책임자 김민철 교수)가 맡아 진행했다.

일본정부는 지난 4월13일 후쿠시마 제1원전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해양에 방출하는 ‘처리수 처분에 관한 기본방침’을 각료회의에서 결정했다. 이에 한국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과정 전반에 대한 투명한 정보 공개와 검증을 강력히 촉구했다.

정부는 후쿠시마 인근 8개 현에서 생산된 수산물 수입을 금지했고, 그 외 지역 일본 농식품에서 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조금이라도 검출되면 비오염 증명서를 제출하도록 해 사실상 수입을 전면 차단한 상태다.

무엇보다 이번 일본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출이 현실화될 경우 우리나라 최남단인 제주도가 최대 피해지가 될 공산이 크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가 방류될 경우 쿠로시오 난류가 오야시오 한류와 만나 북태평양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본 동쪽 해상에서 이용하기 시작해 미국 알래스카, 캘리포니아, 하와이, 적도, 필리핀을 지난 후 우리나라 주변 해역으로 돌아오게 된다. 일본에서 방류 후 제주에 도달하기까지는 약 200일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진이 제주도민과 관광객 250 명을 대상으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결정’과 관련한 인식도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93.6%(매우 우려 64%, 우려되는 편 29.6%)가 “우려스럽다”고 반응했다. ‘우려되지 않는다’는 의견은 2.0%, ‘보통이다’는 4.4%였다.

제주수산물 소비와 관련해서는 방사능 오염수가 방류될 경우 ‘소비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이 34.4%나 됐다. ‘약간 고려할 것’이라는 응답(33.6%)까지 감안하면 10명 6~7명은 제주산 수산물 소비를 주저할 것으로 예상됐다.

안전인증제 및 생산이력제(QR코드 등) 도입과 제주수산물 축제, 수산물 안전성 검사에 대한 정보 공개 등 개선방안이 이뤄지더라도 소비수요가 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소비를 종전과 같이 할 것 같다는 응답은 5.6%에 불과했고, 개선 정도에 따라 약간은 소비를 고려할 것 같다는 응답은 46%였다. 22%는 소비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안전성이 확보되더라도 제주산 수산물 소비금액은 한 달 평균 5만4858원에서 3만5138원으로 35% 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설문결과를 토대로 연구진은 “일본정부의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이 사실로 확인됐다”며 “방사능 오염수 방류로 제주수산물 소비 지출액이 종전에 비해 대략 30% 이상 감소될 가능성이 높다. 성별, 연령 등 세부화 된 시장으로 접근해야 그나마 감소폭을 줄일 수 있다”고 제언했다.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과 관련해서는 “‘수산물 안전성 검사에 대한 정보공개’라는 적극적인 대응이 현실적으로 가장 좋은 대안”이라며 전문가들이 제시하고 있는 ‘안전 인증제 및 생산이력제(QR코드 등) 도입’과 ‘수산물 안전성을 감안한 제주수산물 브랜드 개발’ 정도를 의미 있는 대안으로 꼽았다.

한편 도의회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발굴된 대응과제에 대해 현실여건에 맞게 제도를 개선하는 등 국가차원이 아닌 도 차원의 분야별 세부대응계획 수립을 위해 제주도와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