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충민의 보·받는 사람](5) 내 출생신고를 한 날이 아버지의 봄날이었습니다

 

‘강충민의 보·받는 사람’은 필자의 기억을 소환해 전하는 편지글입니다. 새하얀 편지봉투 앞면의 아래위로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 칸에 볼펜을 꾹꾹 눌러 누군가와 나의 이름을 써 넣던 ‘우리 시대의 편지’에 대한 아름다운 기억을 공유하게 하는 코너입니다. 편지는 모바일 메신저나 인터넷 이메일로 소통하는 요즘엔 경험할 수 없는 공감의 통로입니다. ‘강충민의 보·받는 사람’은 풀이 없어 밥풀을 이용해 편지봉투를 붙여본 적 있는 세대들에게 바치는 연서(戀書)이기도 합니다.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 모두가 그립습니다. / 편집자 글

지난 편지에는 한 달 전 12월 22일 갑자기 아버지가 돌아가신 이야기를 썼습니다. 

누구나 겪는 아버지의 죽음을 많은 분들이 내 일처럼 같이 슬퍼하시고 메일로도 많은 위로를 전해주셨습니다. ‘경사(慶事)보다, 애사(哀事)를 먼저 챙기고 슬픔을 같이 나누어야 한다는 옛말이 틀린 말이 아니구나.’ 느꼈습니다. 슬픔을 같이 해 주신 분들께 거듭 고마운 마음 전합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미루고 있었던 아버지 사망신고

아버지가 돌아가신 날, 요양병원에서 사망진단서를 받았습니다. 담당과장님께 그 동안 아버지 잘 돌봐주셔서 고마웠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경황없던 차에도 간호사 선생님들께도, 직접 뵙지는 못했지만 전화로 고맙다는 말씀 드렸고 아버지가 열 달 동안 계셨던 요양병원을 그렇게 나왔습니다. 그때까지 병원에서 발급해준 아버지의 사망진단서는 그대로였습니다. 장례식장에서 서류작성때, 한 번 보여줬고, 그 후 누나, 조카들이 필요하다 하면 한 부씩 줬고 저는 정작 아버지의 사망진단서를 제대로 보지 않았습니다. 일부러 보지 않았다는 표현이 맞겠습니다. “사망진단서” 라는 5음절은 다시금 아버지의 죽음을 환기시키고, 제주말로 이제, 저와 아버지를 이승에서 곱갈라버리는 명부라는 생각이 계속 들었던 것이지요.

이런 제 마음과는 별개로 아버지의 사망신고는 해야 했습니다. 돌아가신 날 효돈 신효집에 와서 귀양풀이를 하고, 제주시 관음사에서 사십구재 초재를 지내는 동안에도 늘상 아버지의 영정사진을 마주하고 있었지만, 아버지의 죽음은 실감이 나지 않았고 옆에 같이 있는 것 같은 착각이 들었습니다. 저만 그런게 아니라, 모든 행사에 같이 있었던 제 아들도 관음사 극락전에서 제게 “할아버지가 같이 계신 것 같애.” 라고 했으니까요.

사진=강충민. ⓒ제주의소리
우리 마을 효돈동 주민센터입니다. 지난 금요일은 날이 참 좋았습니다. ⓒ강충민

그러는 사이 한 달이 다 되어 가고 있었습니다. 사망신고를 한 달 늦게 하면 과태료를 납부해야한다는 각시의 말도 있고 해서, 지난 금요일(1월21일) 아버지의 주소지인 효돈동 주민센터로 향했습니다. 어차피 해야 할 일을 큰 결심처럼 마음먹고 말이지요. 딱 아버지 가신지 딱 한 달 되기 하루 전날이었습니다. 

효돈동 주민센터, 기어이 울음이 터지고...

사뭇 긴장되었습니다. 주민센터는 우리 효돈마을 가운데에 있는 터라, 오가며 수도 없이 봐 왔던 곳이지만 예전과는 기분이 달랐습니다. 주민센터 안으로 들어서는데 큰 한 숨이 나왔습니다. 

“사망신고 하러 왔습니다.”

제 말에 주민센터의 직원은 제게 관계를 묻고, 사망진단서를 갖고 왔는지 물었습니다. 직원은 사망신고서샘플을 주면서 보면서 작성하라고 친절하게 설명해줬습니다. 

주민센터 가운데에 놓인 책상에 앉아서 사망신고서에 아버지의 이름과 제 이름을 또박또박 썼습니다. 아버지의 주민번호를 적고 제 주민번호도 적었습니다. 비로소 아버지의 사망진단서를 제 두 눈으로 똑바로 마주했습니다. 사망진단서에 적혀 있는 것은 정확히 아버지의 이름과 사망일시였습니다. 주민센터 가운데 놓인 책상과 의자에 혼자 덩그러니 앉아 아버지의 죽음과 다시 맞닥뜨리고 있었습니다. 

사진=강충민. ⓒ제주의소리
사망진단서를 보면서 사망신고서를 작성했습니다. 아버지의 이름을 제 손으로 꾹꾹 눌러 썼습니다. ⓒ강충민

작성한 사망신고서를 창구직원에게 내미는데 기어이 울음이 터지고 말았습니다. 이제 아버지는 이승에서 살아있는 사람으로는 존재하지 않고 고인이 된 것입니다. 내 손으로 아버지를 그렇게 망자(亡子)로 밀어냈다는 생각이 자꾸만 들었습니다.

살며시 의자에서 일어나 주민센터 밖으로 나갔습니다. 전국에서 제일 따뜻한 우리 효돈마을 답게 겨울이지만 봄 햇살처럼 따사로웠습니다. 하늘도 맑았습니다. “아버지...”하고 탄식이 나왔고 눈물이 쏟아졌습니다. 그 와중에도 마스크를 써서 우는 모습을 주민 센터 직원들이 눈치 못 챈 것이, 다행이라 생각했습니다. 십 년 넘게 안 피는, 담배를 한 대 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헛헛하게 하늘이 맑았습니다. 

아버지는 출생신고를, 나는 사망신고를... 

그렇게 아버지의 사망신고를 하고, 주민센터 문을 나서는데 아버지 생각이 또 났습니다. 내가 태어났을 때 누구보다 기뻐했을 아버지. 위로 누나 넷을 두고 아들인 내가 태어나서야, 비로소 아버지는 동네에서 큰 소리 쳤다고 내게 수도 없이 얘기했습니다. 

딸 넷을 낳은 큰 어머니는 죽어가면서 말씀하셨습니다.

“아들 못 낳은 게 한(恨)이난예, 후제라도 아들 봉그민 꼭 나 아들로 해 줍서.” 

그 약속을 지켰다며, 내가 우리 엄마가 아닌, 큰 어머니의 아들로 호적에 올라간 사연을 내게 말할 때마다 우셨던 아버지... (그때 큰누나 아홉 살, 둘째 누나 다섯 살, 셋째누나 세 살이었습니다. 우리 엄마는 큰어머니 돌아가신 그 해에 와서, 큰어머니가 남기고 간 그 딸들을 키워냈습니다. 다른 편지에 이 이야기는 자세하게 꼭 쓰겠습니다.) 

아버지는 돌아가신 어머니와의 약속을 지킬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고 했습니다. 

내가 태어났을 때 효돈은 신효와 하효로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신효리사무소에서 수많은 감정들을 마음에 담고, 기쁘고 설레는 마음으로 나의 출생신고를 했을 아버지... 그렇게 출생신고를 하고 얼마나 벅찬 감정으로 리사무소가 있는 앞동산에서 집으로 걸어왔을까요? 아마 그 때가 아버지 인생에서 가장 봄날이었을 겁니다. 지난 편지에도 썼듯, 아버지가 유달리 앞동산 이발소에서 당신의 손자인 내 아들과 그토록 같이 다니는 걸 좋아한 이유를 이제는 확실히 알았습니다. 아버지는 그 순간의 기쁨이 당신의 손자대까지 내려온 것을 즐기고 누리고 싶어 했던 것입니다. 

그렇게 나의 출생신고를 했을 아버지... 나는 내 아버지의 사망신고를 했습니다. 그리고 나는 아들이 태어나면서 내가 아들의 출생신고를 했습니다. 

누구나 반드시 태어나면, 반드시 세상을 떠나고, 보내고, 또 태어나고, 결국은 모두 영원한 건 없다는 단순한 이치를 이제 겨우 조금 깨달았습니다. 

사진=강충민. ⓒ제주의소리
할아버지(오른쪽)가 살아 계실 때 아버지와 천지연폭포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강충민
사진=강충민. ⓒ제주의소리
제 돌 사진입니다. ⓒ강충민
사진=강충민. ⓒ제주의소리
우리 아들 여섯 살때 선영 벌초 갔을 때입니다. ⓒ강충민
사진=강충민. ⓒ제주의소리
아버지와 우리 딸입니다. ⓒ강충민

아버지는 비로소 미안하다 고맙다 했습니다

아버지는 손자와 벌초 다녔던 그 선영에 잠들어 있습니다. 천천히 운전하고 아버지가 묻힌 돈내코 선영으로 갔습니다. 빵 두 개 소주, 막걸리를 아버지 무덤 앞에 놓고 절을 하고 한참을 멍하니 있었습니다. 

사진=강충민. ⓒ제주의소리
볕이 잘 드는 아버지 무덤입니다. 아버지는 벌초때마다 나에게 당신이 묻힐 자리를알려주셨고, 그 자리에 묻었습니다. 이번 설에는 각시, 아이들과 같이 오겠습니다. ⓒ강충민

아버지 가신 지 한 달 동안 참 많이도 왔습니다. 그때마다 무덤 앞에서 아버지에게 넋두리와 많은 원망과 눈물을 쏟아냈습니다. 그러다 늘 끝에는 아버지에게 보고 싶다고 얘기했습니다. 쉽게 감정을 표출하고, 상처를 줬지만 누구보다 외로웠을 내 아버지. 나는 그 동안 아버지가 단 하루라도 신효집에 혼자 계시는 날 없게 나름 늘 신경쓰고 반찬챙기고 일주일에 세 번은 넘게 갔습니다. 하지만 아버지의 외로움을 어찌 내가 다 알았다고 할 수 있을까요.

병원에 가기 한 달 전 쯤, 당신의 앞을 예감한 것처럼, 내 각시에게 말하셨습니다.

“원재 어멍.. 우리 집이 왕 고생많이 햄쪄. 다 알암쪄... 미안하고 고맙다...독헌 시아방 성질 다 받아주잰 허난... 속암쪄..눈 먼 시어멍 20년동안 모셩사는거 아무나 못헌다. 원재어멍 아니라시민 벌써 느네 시어멍 죽어실꺼여. 다 알암쪄. 우리집이 어진 메누리 들어오난 큰 싸움어섯쩌, 고맙다. 고맙다.”

결혼하고 21년만에 처음 듣는 그 말에 각시는 눈물을 펑펑 흘리며 아무 말도 못하고 “아니우다. 아니우다” 만 했습니다. 

여전히 운전하다가. 길을 걷다가 무심코 아버지의 죽음을 자각하면 힘이 듭니다. 나에게 수많은 짐만을 주고 간 아버지를 가끔 원망도 합니다. 나의 의지는 전혀 없이 아버지의 행위로 설정된 관계들이 너무도 힘이 듭니다. 이젠 나도 정말 조금은, 편안해지고 싶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내 아버지는 나를 이 세상에 태어나게 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내 아버지에게 꼭 하고 싶은 말로 끝을 맺습니다.

아버지 보고 싶습니다. 아버지 고맙습니다. 

2021년 1월 25일 

아들 강충민 올림

#강충민 시민기자는? 

사람들과 만나서 이야기하고,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합니다. 제주의소리,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 글을 써왔습니다. 해 보고 싶은 일이 많아, 호텔리어, 입시학원강사, 여행사팀장, 제주향토음식점 대표를 했고, 지금은 독서논술교실을 하며 아이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늘 세상일에 관심을 가지고, 소소한 일상을 소중하게 살아가려고 합니다. 
제주참여환경연대 이사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제주참여환경연대에서는 건강한 제주의 미래를 같이 고민하고 참여할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제주참여환경연대 회원가입하기
(http://www.jejungo.net)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