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생태안내자 워크숍 열려...'전국생태안내자네트워크' 구성 단초

   
전국의 생태안내자들이 제주에 모여 ‘연대’와 ‘소통’ ‘비전’을 함께 나누고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생명이 살아있는 지역공동체’란 주제로 2004 전국 생태안내자 워크숍이 27일부터 29일까지 2박3일간 일정으로 북군 애월읍에 위치한 웅지리조트에서 전국 40여단체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생태운동’과 ‘지역공동체’, ‘생태관광’을 토론한다.

이 워크샵은 제주참여환경연대(공동대표:고호성,이지훈)와 아산YMCA(전성환 사무총장)이 공동주관하고 전국생태관광네트워크가 주최하는 행사다.

3살박이 어린꼬마에서부터 가정주부, 환경운동가까지 그동안 지역에서 무분별한 개발에 맞서 생태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활동가들이 모인 이유는 지역을 넘어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연대와 소통하기 위해서다.

‘생태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첫 단초인 이번 워크숍의 첫날 일정은 은 박병권 경희대 교수의 ‘생태안내자, 소중한 지역 풀뿌리들’이란 주제발표를 시작됐다.

박병권 교수는 이날 첫 강연에서 그동안 생태안내자의 역할과 과제 그리고 한계를 지적하며 앞으로의 생태활동가의 운동방향의 새로운 전환을 강조했다.

박병권 교수는 “생태안내자의 위상을 높이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인증제를 통해 독자성을 확보하고, 경제적 자립성 확보, 봉사정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며 “지역 생태운동의 풀뿌리로 자리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시화호생명지킴이 △강화시민연대 △수리산자연학교 △여성환경연대 △진도 풍란보존회 △제주생태관광 △한라생태길라잡이 등 전국 활동가들의 활동 사례 경험을 공유한다.

28일에는 오름과 한라산 등 제주도 생태탐방을 하고, ‘생태안내자민간네트워크 구성’(한눈박이 생태기획 심상옥 대표) ‘생태관광과 생태안내자의 법적지위’(한국법제연구원 전재경 팀장) ‘생태관광과 생태안내자 연계성 모색’(제주참여환경연대 이지훈 대표) 등 제안토론이 이뤄진다.

[인터뷰] 생태안내자 워크숍 전체 기획한 아산YMCA 전성환 사무총장

   
생태안내자에 대한 개념이 생소하다. 조금 자세히 말해달라

=생태안내자는 자연생태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설명해주고 느끼도록 도와주는 사람이다. 이를 통해 환경교육 뿐만 아니라 생태자원이 소중함을 일깨우고, 지역 주민과 개발주체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보전 측면에서 생태자원을 지켜내는 활동가라고 할 수 있다. 조금 더 넓게 보면 묻혀 있는 생태자원을 드러내고 지역의 정체성을 회복을 하는 역할자라고 할 수 있다.

전국 생태활동가들이 모였다. 이번 워크숍을 통해 어떤 활동을 펼쳐나갈 것인가.

= 생태네트워크를 준비하고 있다. 활동가와 정부, 지자체의 역할을 서로 인정하고 공식화할 예정이다. 그동안 정책결정과정에서 풀뿌리 활동가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 정부정책을 변화시키는 게 목표다.

구상하고 있는 생태네트워크는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 정부나 자치단체가 하지 못하는 지역의 생태자원 관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할 수 있는 주민과 환경단체가 하고, 생태적 마인드를 환경교육차원으로 확산시키고, 지역활동을 전국적 차원으로 네트워크화 해 경험과 활동을 공유하는 역할을 모색하고 있다.

생태관광이 실질적으로 가능하다고 보나.

= 주5일 근무제가 이뤄지고 웰빙 바람이 불면서 여가가 중요시되고 생태관광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생태관광은 서구에서 나온 개념으로 제3세계의 오지개발을 통해 고수익을 창출하는 착취적인 측면이 강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생태관광’은 불가피하다고 본다.
생태관광은 지역 생태자원을 보전하고 공동체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현재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곳은 얼마나 되나.

= 참여단체는 40여곳이 넘는다. 또한 개별활동가들도 많이 참여하고 있다. 현재 생태안내자는 주부가 중심이 돼 여성 비율이 높은 것도 사실이다. 자족적인 활동에서 사회적 메시지를 만들 수 있는 작업을 할 것이다.

생태네트워크의 향후 방향은 어떻게 할 것인가.

= 지역 단체와 활동가는 생태자원을 모니터링하거나 후원, 자원봉사, 환경교육을 담당하고, 정부나 자치단체는 그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해 줘야 한다. 정부나 자치단체가 나서서 한다면 관료화되고 민간의 자발성과 창조성을 훼손해 실패한다. 또한 지역민이 참여해 지분을 나누는 조합과 같은 생태관광회사, 즉 그 이익이 지역으로 배분되는 커뮤니티 비즈니스(지역기업)을 조성해 생태활동을 보전해 나가는 방법도 준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