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미마을 이야기 1] 온통 보석으로 덮인 내 고향

▲ 저녁에 바라본 앞개바다, 내가 유년 시절을 보냈던 바닷가다. ⓒ 장태욱
2000년 이후 귤이 과잉 생산되고 외국산 오렌지 수입이 본격화되면서 제주의 귤 농가는 몇 해 동안 고통스런 시간을 보냈다. 애써 귤을 재배해서 들어오는 돈은 생활비는 고사하고 생산 원가에 미치지 못하는 때가 부지기수였다. '뉴 밀레니엄'이란 현란한 수식어로 찾아온 새로운 시대는 농민들에게 지옥과 같은 고통스러운 터널이었다.

고향 위미마을에서 귤을 재배하시던 부모님은 이런 어려움 가운데서도 희망이 찾아올 것이라는 기대로 몇 해를 버텨봤지만 결국 늘어나는 빚을 감당하지 못하셨다. 아름드리 귤나무는 평당 8천원의 보상비를 대가로 기계톱에 사정없이 잘려나갔다. 자식을 잃은 부모의 슬픔이 이런 것이었을까? 잘려나간 나무가 눈에 아른거려 그 나무 근처에는 몇 달 동안 얼씬도 할 수 없었다.

몇 달 후 우리 가족의 피와 땀이 배어있는 그 땅은 부동산 중개인을 통해 새로운 임자를 만났다. 과수원을 폐원해서 받은 보상비와 땅 판 돈을 합해도 부모님의 부채를 다 막을 수는 없었나 보다. 결국 마지막 남은 고향집마저도 법원 경매로 팔려나갔다.

부모님은 사글세 집으로 거처를 옮기셨다. 제주시내에 살면서 일주일에 한 차례 꼬박꼬박 고향을 찾던 나는 결국 찾을 고향집도 없는 실향민이 되고 말았다. 그 몇 달 동안 우리 가족 중 그 누구도 고향에 대해 말을 꺼내지 않았다.

외할머니·외할아버지 제사에도 주변의 시선이 따가워 찾아뵐 수 없었고 명절도 시내에서 부모님 모시고 조촐하게 지내야 했다. 어쩌다 고향마을을 지날 일이 있어도 그곳을 이방인의 시선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실향은 우리에게 예상보다 깊고 서러운 고통을 남겼다.

실향, 그 서럽고 고통스런 이야기를 뒤로하고 귀향을 꿈꾸며

▲ 작년에 우리 가족이 구입한 귤농원이다. 비록 빚을 얻어 구입했지만 이 농원을 기반으로 우리는 실향의 서러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 장태욱
그러다 작년에 아내와 합의해서 우리 가족이 살고 있는 시내의 단독주택을 팔고 작은 연립주택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리고 집을 팔고 남은 돈으로 과수원을 사기로 했다. 마침 고향마을에 적당한 규모의 귤 농원이 있어서 빚을 낸 돈을 보태 구입했다.

부모님이 크게 기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고향에 있는 숙부와 외숙이 좋아했고 내 정든 이웃들이 축하해 주었다. 주변의 모든 이가 좋아하는 것을 보면서 비록 빚은 졌지만 농원을 구입하길 백번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태어나서 자란 곳은 위미의 앞개바닷가다. 할머니가 사셨던 집에 지금은 숙부가 살고 계신다. 며칠 전에 잠시 볼일이 있어서 숙부댁에 잠시 들렀는데 마침 폭설이 내렸다. 차를 꼼짝도 할 수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그 집에서 하룻밤 묵기로 했다. 생각해 보니 우리 가족이 실향을 겪은 후 처음으로 고향에서 보낸 하룻밤이었다.

저녁에 앞개바다를 바라보며 어린 시절을 회상했다. 어릴 적에 친구들과 난 이 바다에서 겨울에는 고동을 잡아 삶아 먹었고 여름에는 수영을 했다. 미당 서정주는 일찍이 "스물세 해 동안 나를 키운 건 팔 할이 바람"이라 했건만 스무 해 동안 나를 키운 건 정말 팔 할이 이 바다였다.

그날 난 새로 이장에 뽑힌 형님과 동네 치킨집에서 술잔을 기울이며 밤늦도록 이야기를 나눴다. 하늘은 오랜만에 이루어진 나의 귀향을 축하라도 하려는 듯이 쉬지 않고 눈을 쏟아 부었다. 새벽까지 술을 마신 난 숙부의 따뜻한 배려 속에 달콤한 잠을 이룰 수 있었다.

나를 환영이나 하려는 듯 밤새 내린 폭설

▲ 밤새 내린 눈으로 인해 텃밭이 하얗다. ⓒ 장태욱
제주도 날씨는 한라산 남쪽과 북쪽이 확연히 구분된다. 서귀포로 대표되는 한라산 남쪽에선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과 더불어 한라산이 겨울 북서풍을 막아줌으로 인해 추위가 오래가지 않는다. 밤새 폭설이 내리더라도 아침해가 뜨면 이내 녹고 만다.

아침에 해보다 늦게 일어났더니 눈이 막 녹으려는 참이었다. 살짝 녹은 눈 위로 아침 햇살이 비치니 마을 전체에 마치 보석을 깔아놓은 것처럼 사방이 반짝거리는데 그 광경이 황홀하기까지 했다.

내가 살던 앞개 성창 동쪽에는 조배머들이라는 해안가 숲이 있다. '조배'란 제주방언으로 구실잣밤나무를, '머들'은 풀숲을 의미한다. 이곳에 구실잣밤나무가 자연군락을 형성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보인다.

바닷가와 더불어 어릴 적에 원 없이 뛰어놀던 곳이 조배머들이기에 발길이 그곳으로 향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구실잣밤나무의 짙은 녹색 잎사귀에 하얀 눈이 내려앉으니 명암이 선명하게 대조를 이룬다.

초등학교 운동장에 마을 주민들이 모여 잔치를 연다는 소식이 들렸다. 그간 침체되었던 초등학교 동창회를 다시 활성화하고 주민 간의 화합과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학교 운동장에는 돼지고기와 떡국을 비롯해 풍성한 음식이 준비되었고 멍석 위에서는 윷놀이 열기가 추위를 녹이고 있었다. 오랜만에 뵙는 어르신들이 주시는 덕담이 반갑고 정겹기만 했다. 오랜만에 찾아온 나를 정겹게 맞아주는 이들이 그간 나의 삶을 지탱해준 위로이자 안식이었나 보다.

그동안 난 꽤 많은 제주의 마을들을 다니며 그 주민들의 삶을 소개했지만 실향의 서러움을 이유로 내 고향 마을은 제대로 소개하지 못했다. 하지만 그 서러움은 이미 옛것이 되었으니 이제 그간 가슴에 담아두었던 내 고향 마을의 이야기를 이어갈 것이다.

▲ 초등학교 운동장에 주민들이 모여 마을잔치를 벌였다. ⓒ 장태욱

덧붙이는 글 | 마을잔치는 1월 24일과 25일 이틀에 걸쳐 열렸습니다. 잔치를 준비하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제주의소리>

<장태욱 시민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