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허파 도유지 곶자왈의 실체 ‘지하수 오염 우려’
도유지에 위치한 곶자왈 일부가 폐기물 집하시설로 이용되면서 제주도 스스로 지하수 오염을 자초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4일 곶자왈사람들에 따르면 서귀포시 대정읍 동일리 도유지 산1-2번지 7만2951㎡ 중 일부가 토석 야적장과 페비닐집하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해당 지역은 도너리오름에서 분출한 용암이 만든 곶자왈이다. 제주특별자치도 보전지역 관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지하수자원보전지구, 생태계보전지구 2등급 지역으로 관리되고 있다.
곶자왈사람들이 현장을 확인한 결과, 9900㎡ 면적에 대정읍사무소 청사 재건축 공사과정에서 생긴 토석이 곳곳에 쌓여 있었다. 폐기물과 쓰레기도 야적돼 미관마저 해쳤다.
위성사진을 비교해 보니 상당수 나무가 사라진 사실이 확인돼 무단 입목벌채가 의심되기도 했다. 해당 토지는 제주도 사무위임조례에 따라 대정읍이 관리하고 있다.
1년 전 돈사가 철거된 인근 지역에서는 폐비닐과 농업용 페기물들이 방치 돼 있었다. 쓰레기가 뒤엉켜 돈사에서 나온 폐기물과 새로 버려진 쓰레기를 구분할 수 없을 정도였다.
바로 옆에는 한국환경공단 제주지사가 임대해 사용하는 폐비닐집하장이 위치해 있다. 영농페기물의 경우 농약이 지하수 오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정읍 동일리 산4-2번지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하수자원보전지구 2등급인 이곳도 영농폐기물 집하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집하장 주변에는 쪼개진 화산암석들도 쌓여 있었다.
곶자왈사람들은 “곶자왈 지역이 폐기물 집하시설로 이용되는 것 자체가 문제”라며 “도유지 곶자왈이 오히려 지하수 오염의 산실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도유지 곶자왈을 폐기물 적치장이나 집하시설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제주도 스스로 폐기물 무단투기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곶자왈사람들은 이에 “제주도가 공유재산인 도유지를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며 “도유지 총괄 관리를 읍면동이 아닌 제주도가 직접 하도록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