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바꾼다고 자연친화냐...곶자왈 훼손-생태교란 뻔해”

선흘1리 주민 명의 '제주자연체험파크 개발사업' 반대 성명

2021-09-29     박성우 기자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자연체험파크 개발사업 조성 부지. ⓒ제주의소리

곶자왈과 제주고사리삼 파괴 논란에 휩싸인 제주자연체험파크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재심의를 앞두고, 인근 지역 주민들이 사업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제주시 조천읍 선흘1리 주민들은 29일 공동성명을 내고 "곶자왈 지대를 훼손하며 생태계를 교란시킬 제주자연테마파크 사업은 절대 추진돼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이는 제주도 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회가 오는 10월 1일 회의를 열고 제주자연체험파크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심의를 진행함에 따른 입장이다.

이에 주민들은 "제주자연체험파크 사업은 곶자왈 훼손논란을 일으키며 2015년부터 시작된 제주사파리월드 조성사업에서 이름만 변경한 사업으로 숙박시설, 관광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라며 "이다. 사업이 승인되면 분명 곶자왈은 훼손될 것이고 생태계 교란이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조천읍이 세계 최초 람사르습지도시로 인증을 받은 상황에서 동백동산과 200m의 인접 거리인 곶자왈의 개발은 국제협약의 의미를 파괴하는 행위"라며 "도시계획위원회의 조건부인 인근 마을 상생협약과 람사르습지도시지역관리위원회와의 협약도 이뤄진 바 없다"고 강조했다.

사업 부지 인근의 동백동산은 람사르습지,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지질공원, 산림청 지정 연구시험림,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곳으로, 전 세계적으로 제주에서만 발견되는 제주고사리삼을 비롯해 물장군, 애기뿔소똥구리, 순채 등 수많은 멸종위기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주민들은 "사업명을 변경했다고 개발이 아닌 것은 아니다. 이 사업이 진행될 경우 사업부지인 곶자왈의 파괴는 당연지사이며 인근의 동백동산과 마을들도 큰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다"며 "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회에서 이 사업은 반드시 취소돼야 한다. 선흘1리 주민 일동은 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회의 현명한 판단을 바란다. 

한편,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에 추진 중인 제주자연체험파크는 과거 사파리월드에서 명칭을 바꾼 개발사업이다. 이날 성명을 발표한 조천읍 선흘1리의 경우도 사업 부지와 멀지 않다.

당초 사업자는 99만1072㎡부지에 1521억원을 투입해 사자와 호랑이 등 열대우림 동물사파리, 야외공연장, 관광호텔 등을 조성하기로 했지만, 환경 훼손과 공유지매각 논란이 불거지자 면적을 74만4480㎡로 축소하고 사파리를 제외한 자연체험사업으로 전환했다.

주요시설은 관광휴양시설 20만2375㎡, 숙박시설 1만4926㎡, 주차장 2만4031㎡, 조성녹지 5만7345㎡, 원형녹지 42만9287㎡다. 사업면적의 71%가 녹지로 활용되도록 변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