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가치 “기후위기 역행, 1차산업 축소 정책 폐기” 촉구

2022-10-13     김찬우 기자

시민정치연대 제주가치는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김경학 제주도의장이 1차산업 비중을 낮춰야 한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13일 성명을 내고 이 둘을 규탄했다.

앞서 오 지사는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제주 1차산업 지역내총생산 비중을 8%까지 낮춰야 한다고 밝혔으며, 김 의장은 지사 발언을 추켜세우며 1차산업 비중이 10%가 넘는 것은 과도하다고 발언한 바 있다.

제주가치는 “1차산업 비중을 8%까지 낮추겠다는 것은 기후위기의 최전선에 서 있는 제주도에서 행정을 책임지는 도정과 감시와 견제를 해야 하는 의회 모두 제정신이 아니라는 평가”라고 맹비난했다.

이어 “제주도는 대한민국에서 기온 상승 폭이 가장 크고 해수면 상승도 가장 높은 지역으로 이미 아열대 기후로 접어들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며 “제주도에서 농업과 목축은 산업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경관자원으로의 가치가 매우 높다”고 말했다. 

또 “관광농장, 체험농장, 워케이션 등 6차산업으로의 발전도 매우 발 빠르게 진행되는 분야이기도 하다”라며 “농업과 목축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기능으로 인해 기후위기 시대에 더욱 장려해야 하는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1차산업을 축소할 것이 아니라 저탄소농업과 친환경 지원을 강화해 1차산업을 기후위기 대응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며 “R&D를 지원, 2차산업의 자생력을 높이고 3차산업을 결합해 6차산업으로 도약, 농업이 미래산업이 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주가치는 “제주 월동농업은 전국 60%의 채소를 공급하는 생산기지의 역할을 하고 있다. 유통과 운송시스템을 정비하고 가공을 위한 R&D만 갖춰진다면 제주도 농업은 매우 경쟁력이 높은 미래산업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 40년간 기후위기 역행 정책으로 제주도 지하수는 고갈돼가고,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염수화가 가속되는 이때, 농업정책을 포기하겠다는 발상은 재앙을 더욱 당기겠다는 어리석음에 지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영훈 도지사와 김경학 도의장은 도민들에게 사과하고 1차산업 비율을 축소하겠다는 정책을 즉각 철회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