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훈 도정 시험대 제주자연체험파크 승인 여부 ‘촉각’

곶자왈 등 74만4480㎡ 부지 개발사업 부서간 협의 절차 막바지 ‘결정 임박’

2022-11-11     김정호 기자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에 추진 중인 제주자연체험파크 예정 부지(왼쪽). 오른쪽은 이미 개발이 이뤄진 골프장 모습.

곶자왈 훼손과 공유지 개발, 개인정보 유출, 공무원 용역 등 각종 논란 속에 추진되는 제주자연체험파크에 대한 민선 8기 오영훈 제주도정의 승인 여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11일 제주도에 따르면 사업시행자인 주식회사 도우리가 추진하는 ‘제주자연체험파크 조성사업 승인 신청’과 관련해 부서간 막바지 협의 절차가 이뤄지고 있다.

사업자는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산1번지 일원 74만4480㎡ 부지에 770억원을 들여 숙박시설과 미디어아트관, 전망대, 카페승강장, 숲속푸드코트, 숲갤러리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당초 사업은 사파리시설로 추진됐다. 주식회사 바바쿠트빌리지가 동복리 99만1072㎡ 부지에 1500억원을 투입해 관광호텔과 사파리 시설을 짓는 ‘제주사파리월드’가 최초 사업이었다.

기존 사업자는 2015년 도시관리계획 사전입지검토 신청서를 제출하며 사업을 본격화 했다. 당시 사업부지 중 25%인 24만6592㎡는 공유지였다. 나머지는 동복리 마을 소유였다.

사업자는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50년간 임대한 후 관련 시설들을 동복리마을회에 기부채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환경단체는 원시림 형태의 곶자왈이 파괴된다며 즉각 반발했다.

사업부지는 북오름에서 나온 용암이 동백동산과 세인트포골프장 주변으로 흐른 후 거문오름 용암류가 만장굴 주변까지 이동하면서 만들어진 곶자왈에 속한다.

사업부지 서쪽 150m에는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동백동산이 자리잡고 있다. 동백동산은 제주도 기념물로 지정된 선흘리 백서향과 변산일엽 군락지로 이어지는 생태계의 한 축이다.

환경영향평가 초안에 포함된 습지도 14곳에 이른다.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인 제주고사리삼과 순채가 1000여 개체 자라고 있다. 백서향 등 희귀식물도 뿌리를 내린 곳이다.

환경 훼손과 더불어 갖은 문제도 이어졌다. 담당 공무원이 주민들 개인정보를 사업자에게 전달하고 다른 지역 공무원이 관련 용역에 참여하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2018년 7월 당시 맹수를 도입하는 제주사파리월드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하며 제주도청 진입을 시도하는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 현재 사업자는 사파리 시설 대신 자연체험파크로 사업을 변경했다.

주민들 사이에 찬.반 논란까지 일면서 2018년 7월에는 동복리 찬성측 주민들이 도청 진입을 시도하며 경찰이 대거 출동하는 소동까지 빚어졌다.

이에 2019년 새로운 사업자는 맹수와 복합상가가 중심인 기존 사파리 시설을 철회하고 가족형 자연체험시설로 방향을 틀었다. 사업명도 사파리월드에서 제주자연체험파크로 변경했다.

사업자는 도시·건축공동위원회와 개발사업심의위원회, 재해·교통영향평가 변경 협의 절차를 줄줄이 통과했다. 올해 3월에는 환경영향평가서 협의 동의안도 의회 문턱을 넘었다.

8월에는 원형녹지 보전지역을 42만8284㎡에서 49만5368㎡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재심의안이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의결돼 마지막 승인 절차만 남겨뒀다.

제주도 관계자는 “현재는 승인 전 마지막으로 부서간 협의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라며 “의견이 수합되면 종합적으로 판단해 승인 여부를 사업자에 통보하겠다”고 밝혔다. 

최종 승인권자는 오영훈 도지사다. 이번 사업이 환경보전에 대한 의지와 찬반 갈등에 대한 오 도정의 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