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읍 주민들, 성공적 제주평화대공원 위해 똘똘 뭉친다
오는 3일, 제주 ‘알뜨르·송악산 평화대공원’ 추진위 출범
전 정부와 현 정부가 모두 공약한 ‘제주평화대공원’ 사업에 지역주민 목소리를 담기 위한 추진위원회가 마련된다.
대정읍에 속한 18개 시민단체는 오는 3일 오후 2시 서귀포시 대정읍 웅비관에서 ‘알뜨르·송악산 평화대공원 추진위원회’ 발대식을 개최한다.
추진위는 평화대공원 예정지인 대정읍 주민들의 목소리를 사업에 반영, 주민 수용성을 높이고 미래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등 미래세대를 위한 평화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추진위는 “역대 대통령의 제주 공약으로 평화대공원 사업이 제시됐지만, 구체적인 사업은 추진되지 않았다”며 “당사자 격인 대정읍민이 대응할 수 있는 조직이 없었기 때문에 구체적인 주민 수용성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평화대공원 사업은 대정읍을 넘어 전국, 세계적인 평화의 상징이 될 수 있도록 함의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며 “이에 대정읍 18개 대표단체가 모여 세계 평화대공원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결의했다”고 설명했다.
또 “대정읍에는 많은 단체가 활동하고 있지만, 각 단체가 연합한 범 대정읍민 조직이 없어 향후 대정읍 미래종합발전계획 등을 만들어 가는 데 단합된 힘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알뜨르·송악산 평화대공원 사업을 기점으로 범 대정읍민 조직을 만들어 미래 후세대를 위한 평화 비전을 제시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알뜨르비행장은 일제강점기 일본이 중국을 침략하기 위한 발판을 만들기 위해 대정읍 농민들의 땅을 강제수용한 곳이다. 해방 후 미군이 소유하다 국방부 소유가 됐으나 주민들에게 불하하지 않아 지금에 이르렀다.
이후 제주도는 2007년부터 알뜨르비행장을 ‘제주평화대공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사업비 749억 원을 들여 비행장 184만여㎡ 부지에 있는 격납고와 동굴진지 등 일제 시설을 정비하고 전시관을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비행장 소유 주체인 국방부와 제주도의 무상양여 등에 대한 협의가 매듭지어지지 않아 제자리걸음을 걸었고, 지난해 9월에서야 제주도와 제주도의회, 국방부 등이 합의하면서 사업에 탄력을 받게 됐다.
제주도가 알뜨르비행장을 10년 단위 계약을 통해 무상사용할 수 있는 근거를 담은 제주특별법 개정안이 국회 행안위 법안심사소위에서 통과됐지만, 현재까지 해당 법안은 국회 법제사법위에서 표류 중이다.
▲다음은 추진위원회 참여단체
△4·3유족회 대정읍분회 △대정농민회 △대정여성농민회 △대정읍 개발협회 △대정읍 노인회 △대정읍 리장협의회 △대정읍 새마을 부녀회 △대정읍 연합청년회 △대정읍 자율방범대협의회 △대정읍 주민자치위원회 △모슬포 라이온스클럽 △모슬포 로타리클럽 △모슬포 청년회의소 △바르게살기 대정읍분회 △상모리 발전위원회 △송악 라이온스클럽 △송악산을 사랑하는 사람들 △최남단 로타리클럽 등 18개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