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악산 보호? ‘도립공원 확대’ 가닥...논란 속 ‘스카이워크-전망대’ 계획 배제
'송악선언' 후속조치 용역 완료...송악산평화대공원 확대 지정 제안
천혜의 경관을 간직한 제주 송악산 일대를 보호하기 위해 도립공원 확대 지정이 유력하게 검토될 전망이다. 당초 주민상생 방안으로 제시됐다가 논란을 산 '스카이워크', '전망대' 조성 계획은 제외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연구원에 의뢰한 '지속가능한 송악산 관리 및 지역상생방안 마련 용역' 최종보고서가 확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이 용역은 당초 유원지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었던 서귀포시 대정읍 송악산에 대한 난개발 우려에 마침표를 찍기 위해 진행됐다. 민선7기 원희룡 전 지사의 환경정책 '송악선언'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으로, 송악산 일대 현황을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용역진은 도입 가능한 대안을 '도립공원 확대 지정안'과 '문화재 지정안' 등 두 가지 안으로 추리고,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했다.
도립공원 확대지정안의 경우 보전과 이용 측면에서 가장 강한 장점을 지녔다고 평가했다. 우선편입지역인 A등급, 편입대상인 B등급, 중립지역인 C등급으로 나뉘어져 대안 마련이 용이하다고 판단했다.
생태기반 평가가 우수하고, 생태자연도 면적이 높다는 점을 강조하며 자연과 문화재의 보전, 이용성이 모두 높다고 명시했다.
전임 원희룡 도정의 공약이었던 '문화재 지정안'의 경우 송악산 일대 자연 및 역사 경관자연의 손상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았다. 송악산의 유산적 가치 규명과 우수한 자원 보존에도 유리할 것으로 봤다.
다만, 자연환경 보존으로 인한 토지 소유자의 경제활동이 제한되고, 상대적 지역경제 활용에도 제한이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실제 지역주민 대상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7.8%가 도립공원 확대안에 찬성했고, 보고회 등에서 지역주민들도 도립공원 확대안을 선호한 것으로 알려졌다.
용역진은 대안 검토 결과 마라해양도립공원 육역부와 연계해 송악산유원지 부지와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제안한 일부 부지를 마라해양도립공원으로 확대 지정하는 안을 제안했다.
또 가칭 '송악산평화대공원'을 제주지역 서부권의 핵심지역으로 부각시키기 위한 사업으로 확장할 것을 제언했다.
현재 개발행위허가제한지역으로 지정된 부지는 제주도에서 매입이 진행중임에 따라 공원지정 등을 추진할 때는 연계영역까지 매입해 공원으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봤다.
전체부지 확보가 어렵다면 오름과 제주올레가 지나가는 구간만은 연결성 확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중간보고 당시 논란을 자초했던 '송악산 지역상생 계획'은 대폭 조정됐다.
송악산 정상에 전망대를 조성하겠다는 계획과 스카이워크를 설치·운영하겠다는 계획은 최종보고서에서 제외됐다.
이 계획은 난개발 방지를 목적으로 수행한 용역의 결론이 관광객 유치를 위한 시설 조성으로 귀결됐다는 점에서 도민사회의 강한 반발을 샀다. 용역진 또한 이 같은 논란을 의식해 해당 내용을 삭제한 것으로 석된다.
다만, 기존에 포함됐던 △송악산세계지질공원센터 유치 △문화체육복합센터 건립 △해돋이·해넘이 명소화 사업 등은 이전 계획을 유지했다.
또 관광객 확대 유인을 위한 야간관광 활성화를 위해 20억원을 투입, 산책로를 조성하고 야간 특수조명을 연출하겠다는 계획은 같은 맥락에서 판단이 엇갈릴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