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 국가원수 최초 제주4·3추념식 당일 참배
75주년 추념식 오후 평화공원 방문 예정 보수단체 4·3흔들기 속 유족들 위로할듯
보수단체의 역사 왜곡과 조직적인 4·3 흔들기 움직임 속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이 제주4·3평화공원을 직접 찾아 4·3영령과 희생자들을 위로한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제75주년 4·3추념식 당일 제주를 찾아 오후쯤 4·3 유족들과 4·3평화공원을 찾아 참배하는 일정을 검토하고 있다.
전직 대통령의 추념식 당일 참배는 문 전 대통령이 처음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일찌감치 일정 등을 이유로 추념식 불참 소식을 제주도에 알렸다.
문 전 대통령은 2017년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격년제로 4·3추념식에 참석하겠다고 도민들과 약속했다. 실제 2018년 70주년 추념식에 이어 2020년에도 참석해 유족들을 위로했다.
임기 말기인 2021년에는 참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지만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전부개정에 맞춰 다시 한번 제주를 찾았다.
당시 김정숙 여사까지 추념식에 동행해 제주4·3특별법 전부 개정을 기념하는 법령집에 직접 서명하기도 했다. 현재 법령집은 제주4·3평화기념관에 전시돼 있다.
4·3추념식에는 2006년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국가원수로 처음으로 참석했다. 당시 노 대통령은 국가폭력에 대해 공식 사과해 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
반면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이후 단 한 번도 추념식에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윤 대통령의 당선 이후 기대감이 컸지만 역시 보수 정권에서 불참 소식이 전해졌다.
정부는 윤 대통령을 대신해 한덕수 국무총리의 참석 일정을 조율 중이다. 직전 제주도지사를 지낸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도 이날 추념식에 참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4·3추념식을 앞두고 최근 제주에서는 보수단체가 ‘4·3은 김일성과 남로당이 일으킨 공산폭동’이라고 적힌 현수막을 도내 곳곳에 설치해 지역사회의 공분을 사고 있다.
역사 왜곡을 넘어 전형적인 4·3흔들기가 이어지면서 유족들은 물론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가 일제히 반발하고 사과를 촉구하고 있다.
보수단체의 도 넘은 4·3 왜곡 움직임 속에도 4·3특별법 전부개정과 국가보상을 이끌어 낸 문 전 대통령의 방문이 이뤄질 경우 상처받은 유족들에게도 큰 울림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