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연수기관 토지교환 ‘빅딜’...조천읍 소재 비축토지 유력 검토
제주도-경찰청-JDC 3자 간 토지거래 협약 일정 연기...실무협의회 구성 윤곽
경찰이 제주에 '제2의 경찰타운'을 조성하기 위한 의지가 보다 구체화되고 있다. 옛 제주경찰청사 부지·건물을 활용해 대체 토지를 알아보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간 3자 협약을 통해 유력한 후보지가 언급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경찰청, JDC 등은 도내 경찰 연수기관 설립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준비하고 있다.
당초 오는 24일 윤희근 경찰청장이 직접 제주를 찾아 관련 업무협약을 맺을 예정이었지만, 전국적인 집중호우 피해로 인한 경찰력 공백이 우려됨에 따라 협약 일정이 늦춰졌다.
다만, 일정이 늦춰지는 것과 별개로 세 기관은 협약을 전후로 보다 구체화된 계획을 수립한다는 입장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논의키로 했다.
경찰청은 제주에 경찰대학, 경찰인재개발원, 경찰대교육진흥재단, 국립경찰병원 분원 등이 몰려있는 충남 아산시와 같은 '제2의 경찰타운'을 조성한다는 의지를 내비쳐왔다. 모든 기능을 이관하지 못하더라도 우선적으로 연수 기능을 할 수 있는 부지라도 물색하려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청의 협상 카드는 노형동 신청사를 개청하며 비어버린 연동 소재 옛 제주경찰청사다. 당초 옛 탐라대학교 부지와의 맞교환설이 오르내리기도 했지만, 민선8기 제주도정이 옛 탐라대 부지를 가칭 '하원테크노밸리'로 조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며 무위에 그쳤다.
앞선 협상에서 고배를 마셨지만, 제3의 대안을 찾는 과정에서 '빅딜'의 가능성이 다시 점화됐다. 현 시점에서는 제주도와 경찰청 간의 토지 맞교환 조건이 마땅치 않을 시 JDC가 참여하는 3자간 협의 가능성이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기관 간 거래가 부지 교환 방식으로만 진행될 수 있는 상황이다보니 JDC가 소유한 비축토지를 옛 제주경찰청사와 교환하고, 이후 JDC와 제주도가 조건을 맞춰보는 식이다.
이를 위해 제주시 동부지역 번영로 인근에 JDC가 소유하고 있는 조천읍 소재 약 30만㎡ 면적 비축토지가 유력하게 오르내리고 있다. 토지감정가 등을 토대로 한 세부적인 조건을 맞춰보는 것은 추후에 이뤄지게 된다.
옛 제주경찰청사 활용 방안이 결정되지 않은 채 공공청사 용도를 폐기하면 공유재산은 기획재정부로 넘어가게 된다. 이 경우 한국자산관리공사가 관리 업무를 맡는다. 경찰청 측에서도 내년도 사업을 수립함에 있어 옛 청사 활용방안을 찾는 것은 시급한 과제였다.
제주도의 경우 고질적인 청사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점에서 옛 제주경찰청사 부지 확보는 매력적인 카드다. 이미 제주도 자체적으로 실시한 공간설계 용역에서는 제주도청 1청사와 2청사 사이에 위치한 옛 제주경찰청사 부지를 통합해 신청사를 건설하는 안이 유력하게 제시된 바 있다.
JDC가 경찰청과의 부지 거래를 통해 옛 제주경찰청사를 확보한 이후, 제주도가 그에 상응하는 카드로 무엇을 제시할지는 추후 과제가 될 전망이다. 토지교환에 대한 주민 의견 수렴 등의 절차도 중대하게 다뤄져야 할 대목이다.
JDC 관계자는 "아직 협약을 추진하는 단계여서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 기관 간 의견은 물론 지역 주민의 의견도 수렴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다만 제주의 미래 발전을 도모하는 차원에서 입장이 같기에 협약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