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년 만에 뜬금없는 비상계엄...밤잠 설친 제주도민들 ‘황당’
윤 대통령 6시간 만에 ‘셀프 해제’ 도민들 어리둥절 시민단체 촛불집회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국회가 해제 요구안을 의결하는 등 긴박한 상황이 펼쳐지면서 상당수 제주도민도 밤잠을 설쳐야 했다.
윤 대통령은 3일 밤 10시28분에 긴급 담화를 통해 “자유 헌정질서를 지키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이어 밤 11시를 기해 정당 활동 금지를 포함한 포고령 1호를 발령했다. 같은 시각 군부대가 국회 진입을 시도하면서 대혼란이 빚어졌다.
여야 의원 190명은 계엄 선포 155분 뒤인 4일 오전 1시쯤 본회의를 열어 만장일치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의결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오전 1시 30분 도청 지하 상황실에서 해병대 제9여단 및 제주경찰청과 긴급 영상회의를 열고 협조를 요청했다.
오 지사는 이 자리에서 “비상계엄은 국회 해제 요구 결의안 채택으로 무효가 된 만큼 계엄사의 요구에 응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계엄령 선포는 1979년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이 박정희 대통령을 시해한 지 45년 만의 일이다. 1987년 민주화 이후에는 처음 있는 일이다.
관련 내용과 국회 현장 상황이 TV와 모바일 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보도되면서 도민들도 뜬눈으로 밤을 새워야 했다.
학부모들은 자녀들의 등교 여부를 걱정하고 일반인들도 가족과 친지들의 안전을 묻는 등 다급한 모습이 연출되기도 했다. 특히 자녀를 군대에 보낸 부모들의 마음은 타들어갔다.
국가 비상사태에도 불구하고 정작 행정안전부의 안전문자나 제주도 차원의 안내문자가 발송되지 않으면서 혼선을 부추기기도 했다.
윤 대통령이 6시간만인 4일 오전 4시30분 국회의 계엄해제 요구를 수용했지만 정치권을 중심으로 탄핵 요구가 빗발치면서 후폭풍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제주에서도 시민사회단체가 연이어 기자회견을 열어 윤 대통령을 탄핵을 요구하기로 했다. 민주노총제주본부는 이날 오전 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윤석열 정부 타도 투쟁을 선언했다.
제주도의원들도 오전 9시30분 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계엄령 사태에 대한 입장을 밝히기로 했다. 저녁 7시에는 제주시청에서 시민사회단체의 촛불집회가 예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