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많았던 ‘차 없는거리’ 핵심과제 포함...조례 보완해 두 차례 이상 확대

2025-01-06     박성우 기자
지난해 9월 28일 제주시 연북로에서 진행된 제주형 '차 없는 거리' 행사.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장소 선정과 공무원 동원 등의 문제로 설왕설래를 낳았던 '제주 차 없는 거리' 행사가 도정 핵심과제에 포함됨에 따라 올해는 두 차례 이상 확대 시행될 예정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안전건강실은 오는 7일 오후 4시 제주문학관에서 재난안전 및 보건·건강분야 유관기관과 함께 2025년 주요 업무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이날 워크숍은 재난안전 및 보건·건강분야 정책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분애별 세부 추진과제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을 토론하기 위해 마련됐다.

안전건강실은 올해 5대 핵심과제로 △탄소중립 대표축제로서 차 없는 거리 걷기 행사의 성공적 안착 △지역안전지수 범죄·생활안전 분야 1개 등급 향상 △재난피해 제로(ZERO)화 △안심제주 구현 △제주형 의료체계 구현 등을 제시했다.

제주도는 지난해 9월 진행됐던 '차 없는 거리 행사'를 올해 두 차례 이상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차 없는 거리 행사는 당시 급조된 계획과 장소 선정 등의 문제로 뒷말이 무성했다. 교통 통행량이 많기로 손 꼽히는 연북로를 행사 장소로 선정한 것이 적정한지에 대한 의문이 뒤따랐고, 실제 행사 당일 교통체증과 지역상가 피해가 가시화 됐다.

한편으로는 행사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이른바 '공무원 동원령'을 내려 논란을 샀다. 참여 공무원에 식대 명목의 참가비를 지급하 것을 두고도 논란이 일었다.

제주도는 앞서 제기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제주도 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관리 및 신체활동 조례'를 개정, 차 없는 거리 행사 추진 근거를 확보키로 했다.

걷기를 통한 기부금 조성 참여 기관을 확대하고, 행사 장소는 정기인사 이후 추가 의견 수렴을 통해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여러 지적이 있기도 했지만, 행사 참가자들은 만족함을 보였고 뚜렷한 성과도 있었다"며 "추후 참여 분위기 확산을 위해 의견을 수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