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불법 훼손 제주자연체험파크, 각종 논란에도 ‘착공’

지난달 27일 착공, 74만4480㎡ 면적-797억원 투입 ‘대규모 개발’

2025-01-15     김찬우 기자
주식회사 살리제가 중산간에 추진하는 제주자연체험파크. 왼쪽의 드넓은 숲이 사업부지다. 당초 공유지였지만 민간에 매각되면서 난개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곶자왈 훼손과 공유지 개발, 개인정보 유출, 공무원 용역, 불법 산림 훼손에 따른 형사처벌 등 각종 논란을 뒤로하고 승인된 제주자연체험파크 조성사업이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갔다. 

동백동산과 맞닿은 74만4480㎡ 면적 곶자왈 지대 대규모 관광개발이 논란 속 시작된 것. 선흘곶자왈 한 축이 사라져버린 공유지 매각의 비극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5일 제주자연체험파크 조성사업 사업착공 공개 공고를 내고 지난달 27일 구좌읍 동복리 산1번지 일원에서 추진되는 해당 사업착공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제주자연체험파크는 주식회사 살리제(옛 주식회사 도우리)가 총사업비 797억원을 투입, 동백동산 동쪽 곶자왈 지대에 미술관, 스파하우스, 숙박동 등 짓는 관광개발사업이다. 

당초 사업자는 사파리, 실내동물원, 숙박시설, 휴게시설 등을 조성하는 ‘제주사파리월드’를 조성하려 했지만, 환경파괴 및 생태계 교란 등 논란이 불거지자 철회하고 방향을 틀었다. 

제주자연체험파크는 사업계획과 회사 명칭을 바꾸며 지금에 이르기까지 숱한 의혹과 논란이 따랐다. 2017년에는 제주도가 사업자에 주민 개인정보를 넘기는 어처구니없는 일도 있었다.

제주시 구좌읍 제주자연체험파크 조성사업 예정 부지.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는 사업부지 내 동굴조사 용역을 수행한 책임연구원이 다른 지역 공무원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기도 했다. 

또 사업부지 대부분이 곶자왈에 포함되고 제주고사리삼을 비롯한 세계적 멸종위기 식물과 백서향, 버들일엽, 나도고사리삼 등 희귀 식물 서식이 확인되면서 환경단체 반발도 거셌다. 

지난 2022년에는 사업시행자가 승인을 받지 않은 채 사업예정부지 내 나무 3924그루를 무단 훼손하면서 형사 처벌을 받기도 했다. 회사는 벌금형, 관계자는 징역형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각종 논란에도 사업은 승인됐고 사업자는 거듭 사업계획을 변경해왔다. 이어 최근 제주도 개발사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사업 기간도 2028년 12월 13일까지 늘렸다.

제주자연체험파크가 조성되는 ‘동복리 산1’은 제주 고유 목축문화 산실이자 마을공동체 자산인 ‘마을공동목장’이었던 곳이다. 이번 착공에 따라 마을공동목장의 매각이 난개발로 이어진 또 하나의 사례가 됐다.

팔려나간 마을공동목장 사유화는 즉각 난개발로 이어졌고 일제강점기 143개였던 마을공동목장은 절반인 70여 곳만 간신히 남은 상황이다. 제주의 허파를 품은 중산간과 곶자왈의 상당부분이 마을공동목장에 속해있거나 맞닿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