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 19일 오후 3시 제주벤처마루 10층 회의실에서 ‘도내외 NGO와의 센터 운영사례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제주시민단체연대회의, 다른지역 운영사례 토론회...핵심은 센터 ‘역할’

제주지역 시민사회단체의 공익활동을 지원하는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센터 설립에 대비한 공론의 장이 열렸다.

도내 17개 단체로 구성된 제주시민단체연대회의는 19일 오후 3시 제주벤처마루 10층 회의실에서 ‘도내외 NGO와의 센터 운영사례 토론회'를 열었다.

현장에는 정선애 서울시NPO지원센터장과 유송화 서울여성플라자 경영기획실장, 김해몽 부산시민센터장, 송재봉 충북NGO센터장, 서정훈 광주NGO센터장이 참석해 각 지역 사례를 소개했다.

NGO지원센터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사회 각 분야에서 자발적으로 활동하는 각종 시민단체를 지원하고 시민들의 역량을 높이기 위한 일종의 중간지원조직이다.

전국 17개 시도 중 서울과 부산, 광주 등 9곳에 NGO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제주는 올해부터 NGO센터 설립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설립 운동이 이뤄지고 있다. 

설립주체는 민, 관 두가지 방법이 있지만 재원확보와 독립성 제약 등의 문제가 있다. 때문에 관에서 부지와 건물을 매입하거나 건축하고 민간에 운영을 맡기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운영의 안정성을 위해 조례와 규칙을 만들어 지원 근거를 두는 방식도 있다. 서울의 경우 2013년 4월 ‘서울특별시 시민공익활동의 촉진에 관한 조례’를 만들어 지원하고 있다.

조례에 근거한 서울시 NPO지원센터는 사단법인 시민(이사장 권미혁)이 운영을 맡고 있다. 수탁기간은 2016년까지 3년이며, 연간 15억원 안팎의 예산이 지원되고 있다.

제주도 역시 설립 주체와 운영 기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일반인들의 접근성을 고려한 건물을 선정하는 것도 숙제다.

가장 중요한 고민은 NGO센터의 역할이다. 토론에 참여한 다른 지역 센터장들은 어떤 사업을 하고 어떻게 시민공익 활동을 펼치는지를 먼저 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울의 경우 ‘시민공익활동이 지속 가능한 서울’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시민공익활동의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경험과 자원을 공유하고 NPO의 역량강화와 성장기반을 지원하고 있다.

정선애 서울시 NPO지원센터장은 “잠재력을 지닌 전략 등 지역사회를 위한 공동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며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 협력을 통해 사회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밝혔다.

송재봉 충북NGO센터장은 “시민사회단체 지원을 위한 인적, 물적 인프라가 빈약하다”며 “보조금을 포함한 재원과 인력을 어떻게 확보하는지에 대한 대안이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 센터장은 또 “무엇을 지원하고 지원주체의 역량을 어떻게 강화할 것인지를 정하라”며 “위탁사업과 관련해 민관 협력의 바람직한 모습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국적으로 비영리민간단체는 1만2000여개에 이른다. 제주에서도 수십여개 NPO단체들이 운영중이다. 제주시민단체연대회의는 도내 17개 단체로 구성돼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