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4084.JPG
▲ ‘2015년 제주해양수산전망 대토론회’ 참가자들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 제주의소리

2015 제주해양수산전망 대토론회... "행정혁신, 정확한 현장 이해부터"

제주 어민들와 전문가들이 제주해양수산업의 최우선 혁신 과제로 한중FTA 등 외부변화에 따른 신속한 대응을 꼽았다.

이 같은 의견은 5일 오전10시 오리엔탈호텔에서 열린 ‘2015년 제주해양수산전망 대토론회’에서 나왔다.

토론에 앞서 조정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실장은 한중FTA 대응 전략으로 불법어업 강력 대처, 대대적인 자원회복사업, 미래형 어선, 어구 개발, 중국 수출형 양식 기반 구축, 수산물 유통 대책 수립 등을 제시했다.

조 실장은 “한중 FTA로 중국의 불법어업이 심화되고 어업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 저가 수산물 수입 증가로 국산 수산물 가격 하락이 우려된다. 이는 우리나라 어업 경쟁력 약화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어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한중 협력을 강화해 수산자원에 대한 공동관리체제 구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IMG_4072.JPG
▲ ‘2015년 제주해양수산전망 대토론회’ 참가자들은 제주해양수산업에 가장 우선시 돼야 하는 혁신으로 FTA 등 외부변화에 따른 대응을 꼽았다. ⓒ 제주의소리

조 실장의 발표가 끝난 뒤 참가자들은 제주해양수산업의 최우선 혁신 과제가 무엇인지 투표에 나섰다. 의견은 분분했지만, FTA 등 외부변화에 따른 대응을 가장 많이 택했고 인적 자본 육성과 가공, 유통, 물류 시스템 개혁 등이 뒤를 이었다.

투표가 끝난 뒤 어민들과 전문가들은 ‘제주 해양수산업 전망’을 주제로 토론에 들어갔다. 10여개의 원탁에 앉은 참가자들은 각자의 의견을 서슴없이 내놓았다.

참가자들은 제주 해양수산업 발전을 위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어장 개방 등 어업인 인식변화와 교육강화를 꼽았다. ‘우물안의 개구리’로 남으면 현실에 대응할 수 없다는 의미다.

또 해녀의 고령화로 인한 대책 마련과 어족자원 관리 계획 수립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 해양수산 행정 혁신에 대해서는 ‘현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책상에만 앉아 논의하는 ‘탁상 행정’은 탈피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이날 토론회는 제주 해양수산과 관련된 다양한 현안을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김우남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과 제주도, 제주도의회 해양수산발전포럼이 주최했다.

IMG_4089.JPG
▲ ‘2015년 제주해양수산전망 대토론회’에서 원탁테이블에 앉은 참가자들의 의견이 실시간으로 무대 앞 스크린에 등록되고 있다. ⓒ 제주의소리
IMG_4074.JPG
▲ 원탁에 둘러앉은 ‘2015년 제주해양수산전망 대토론회’ 참석자들. ⓒ 제주의소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