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주년 해결과제' 토론회...김삼웅 전 관장, 진상규명-화해·상생 10가지 방안 제시
 
KakaoTalk_20170220_174940354.jpg
▲ 강창일-오영훈-위성곤 의원과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가 20일 오후 2시 국회에서 주최한 '제주 4·3 70주년,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 토론회에서 기조발제하는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가운데).
2018년 제주4.3 70주년이 1년여 앞으로 다가 온 가운데 원로 언론인이자 평론가인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이 군법회의 실체·실태 조사 등 4.3의 진상규명과 화해·상생을 위한 10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국회 강창일·오영훈·위성곤 의원과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는 20일 오후 2시 국회에서 ‘제주 4·3 70주년,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이라는 주제로 제2차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오영훈 의원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김삼웅 4·3중앙위원(전 독립기념관장)이 ‘4·3 진상규명 운동의 회고와 과제’라는 주제로 기조발제를 했다. 
 
이어 양윤경 제주4·3 희생자유족회장이 ‘4·3의 미해결 과제와 범국민위원회 결성 제안’, 박찬식 전 4·3범국민위원회 사무처장(육지사는 제주사름 대표)이 ‘70주년 범국민위원회의 과제와 구성·활동방안'이라는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지정토론자로는 이태호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배인석 한국민예총 사무총장, 김성례 서강대 교수, 고창덕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이 나섰다.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은 "해방 후 한국전쟁과 함께 민족사 최대 비극인 4.3항쟁이 내년 70주년을 맞는다"며 "70년이 되는 지금도 제주도 곳곳에는 원통한 한을 품고 해원되지 못한 4.3의 원혼들이 있지만 희생자들을 욕되게 하는 극우세력의 언동이 끊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전 관장은 "피해자들은 용서와 화해의 손길을 내미는 데 가해자의 정치적·정신적 혈통을 이은 세력은 여전히 반성과 참회를 하지 않고 오히려 적반하장격으로 아픈 상처에 소금을 뿌리고 있다"며 "제주4.3위원회의 활동으로 4.3의 희생자와 부상자의 대부분은 국가폭력에 의한 것임이 드러났고, 북한의 지령이나 남로당 중앙당의 개입사실은 없었던 것으로 진상조사보고서에서 밝혀냈다"고 강조했다.
 
그는 "1894년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이 초기에 민란·반란·폭동 등으로 불리다가 최근 동학혁명, 동학농민전쟁 등 '정명(正名)'을 회복했듯이 제주4.3도 역사적 조명과 평가를 통해 정명을 얻어야 한다"며 "진상규명에 69년의 세월이 걸렸듯이 앞으로 화해와 상생, 평화를 구축하는 데 적지않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KakaoTalk_20170220_170842847.jpg
▲ 강창일-오영훈-위성곤 의원과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는 20일 오후 2시 국회에서 '제주 4·3 70주년,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주제로 제2차 토론회를 개최했다.
평화·상생·화해 방안으로 김 전 관장은 △제주대학에 '제주4.3평화학' 과정 개설 △4.3유적지 다크투어리즘 △불법 군법회의 실태 조사 △제주 군사기지화 중단 △미국의회에 공식 사과 요구 △제주4.3 평화상생탑 건립 등을 제시했다.
 
김 전 관장은 "제주대학교 등 일부 대학에 제주4.3평화학 과정을 설치해 체계적이며, 학문적으로 4.3을 연구하고, 국내·국제평화운동으로 연계하는 노력을 벌였으면 한다"며 "행정과 대학이 의지만 있으면 조례와 학칙을 제정하거나 바꿔서 충분히 가능하고, 해외 유학생도 선발해 교육한다면 제주4.3의 국제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제주도는 천혜의 자연 명승지와 함께 일본군 참호와 포대, 4.3유적지 등 사적이 도처에 널려있다"며 "이런 가슴아픈 역사의 현장을 다크투어리즘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김 전 관장은 "군법회의의 실체와 실태를 조사해야 한다. 하루에 수백명씩 재판을 하고 조사결과, 공판조서, 소송기록 없이 3일만에 345명에게 사형이 선고되고, 하루에 수백명씩 심리도 없이 희생당했다"며 "유령의 군법회의 실태와 실체를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제주4.3은 미군정시기에 일어난 참극으로, 미군 대령이 제주지구 사령관으로서 진압지시를 하고, 주한미군사고문단의 역할이 컸다"며 "제주도의회가 공식 의결을 거쳐 미국 의회에 공식 사과를 요구하는 방안도 검토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전 관장은 "국제적으로 인정된 '과거청산' 과정을 보면 용서와 화해는 진상규명→사실인정→사죄→배상→역사교육→추모사업→책임자 처벌→사실기록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제주4.3은 아직 국제수준의 과정을 거치지 못한 상태로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라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