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경남-강원과 3파전...제주도 "회의 인프라만 보면 승산"

지난해 9월 제주에서 열린 세계환경보전총회. <제주의소리 DB>
'환경 올림픽'인 세계자연보전총회(WCC)를 성공적으로 치른 제주가 또 하나의 원대한 꿈에 도전했다.

세계에 청정제주의 존재를 확실히 각인시킬 수 있는 매머드급 환경총회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국내 경쟁 도시 보다 출발이 늦어 막판 뒷심이 요구된다.

19일 제주도와 환경부 등에 따르면 내년 9~10월 쯤 한국에서 열리는 제12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UNCBD COP12) 개최지가 이르면 이달말, 늦어도 다음달에 결정된다. 개최 시기가 확정되지 않은 것은 개최도시 여건에 따라 조정의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1993년 발효된 생물다양성협약은 기후변화협약, 사막화방지협약과 함께 유엔의 3대 환경협약으로 불린다. 2년마다 지구촌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이행방안을 논의하는 장이다. 193개 당사국과 국제기구, 비정부기구(NGO) 등 2만명 안팎이 참가한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총회 개최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4631억원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세계환경수도를 꿈꾸는 제주로선 WCC에 이어 국제적으로 '환경보물섬'이라는 이미지를 굳힐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규모 등의 면에서 어쩌면 WCC를 뛰어넘는 환경총회라는 평가도 있다. 

12차 총회 한국 개최는 2012년 10월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열린 11차 총회에서 결정됐다.

환경부가 지난 2월 국내 지자체를 대상으로 유치 신청을 받은 결과 제주를 비롯해 경남, 강원 3곳이 제안서를 제출했다. 제주의 경우 오는 23일 환경부의 현지 실사가 예정돼 있는 등 개최지 결정은 코앞에 다가왔다.

제주는 WCC 유치 경험과 완벽한 회의 인프라, 숙박시설 등을 앞세워 도전장을 냈지만 경남, 강원에 비해 출발은 더딘 편이다. 사실상 올들어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가장 발빠르게 대처한 지자체는 경남. 2011년 유엔 사막화방지협약(UNCCD) 당사국총회를 개최할 때부터 생물다양성총회 당사국총회까지 겨냥했다. 특히 2012년 3월에는 범도민유치위를 꾸리는 등 일찌감치 총회 유치에 팔을 걷어부쳤다.

강원도 역시 만만치 않다. 도민을 상대로 대대적인 준비상황 보고회를 여는 등 총력전을 펴고 있다. 강원도는 2018년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평창과 용평 일원을 개최지로 내세웠다.

제주도가 뒤늦게 경쟁에 뛰어든 것은 지난해 WCC에 올인하다 보니 여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스스로도 "텀이 있었다면..."이라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일부에선 제주도가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가 갖는 의미와 가치를 과소평가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마이스업계 관계자는 "제주도가 WCC에 이어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까지 유치하게 되면 세계 최초의 환경수도 인증이라는 야심찬 목표가 더욱 현실로 다가올 수 있을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사활을 걸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제주도가 가장 경계하는 것은 정치적 논리. 한 관계자는 "회의 인프라만을 냉정하게 따진다면 제주가 월등히 우위에 서 있다고 본다"며 "문제는 항상 이외의 변수가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번 현지실사에선 접근성, 회의장, 숙박시설, 관광인프라, 안전성, 수행능력 등에 대한 점검이 이뤄진다. <제주의소리>

<김성진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