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후보지 현지실사 종료 30일 결정...제주도 "공정한 잣대로 보면 절대 유리"

제12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가 제주에서 열릴 경우 회의장으로 쓰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의소리 DB>
2만명 안팎이 참여하는 대규모 국제회의인 제12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UNCBD COP12) 개최지가 오는 30일 결정된다. 

후보 도시에 대한 환경부의 현지 실사 이후 유치전에 뛰어든 3개 지자체간 막판 신경전도 치열해지고 있다. 제주도는 회의 인프라 등 객관적인 잣대로만 보면 압도적인 우위를 보일 것으로 자신하면서도 한편으로 보이지 않는 '힘의 논리'를 경계하고 있다.

25일 제주도에 따르면 환경부 실사단은 지난 22일부터 24일까지 경남(창원), 제주(서귀포시), 강원(평창)에서 차례로 현지 실사를 벌였다.

접근성, 회의장, 숙박시설, 관광인프라, 안전성, 수행능력 등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 실사에는 심사위원 5명과 환경부 관계자 5명 등 10명이 회의장으로 쓰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와 신라호텔, CS호텔, 풍림콘도, 스위트호텔 등 중문관광단지 내 숙박시설을 4시간 가량 둘러봤다.

이 자리에서 실사단은 인프라가 잘 갖춰졌다며 흡족한 반응을 보였다고 제주도가 전했다. 다만 ICC JEJU 앵커호텔, 즉 부영호텔의 개관이 늦어지고 있는 점을 '옥에 티'로 꼽았으나 제주도는 늦어도 내년 상반기 개관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는 내년 9~10월쯤 열린다.

실사단은 이어 강원도에서 평창 알펜시아의 컨벤션센터.숙박시설, 용평리조트의 회의.숙박시설 등을 점검했다.

경남에선 창원시 의창구 CECO(창원컨벤션센터)와 숙박시설을 대상으로 실사를 진행했다. 

환경부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를 위해 2000명 동시 수용이 가능한 2개 회의실과 2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6개 회의실, 부대시설 등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또 숙박시설은 특급호텔 3000실, 일반객실 1만실이 있어야 한다.

총회 개최지 결정일이 다가오면서 이들 3개 지자체의 장외 신경전도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특히 경남과 강원은 유치 경쟁이 사실상 '경남-강원 2파전'으로 압축된 것으로 분석하면서 은근히 제주도를 자극하고 있다.

반면 제주도는 정치적으로 흐르지만 않는다면 모든 면에서 제주도가 절대 유리하다며 '공정한 심사'를 강조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회의장 인근 도처에 품격있는 숙박시설이 깔려있는 지리적 여건만 봐도 경남, 강원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제주 실사 당시 김선우 환경.경제부지사가 실사단과 오찬을 함께 하면서 '객관적 심사'를 신신당부한 것도 회의 인프라 등에 대한 자신감에서 비롯됐다.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개최지는 30일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오후 3시30분에 시작되는 3개 지자체의 PPT(각 지자체당 45분)와 15분의 질의응답이 있은 뒤 곧바로 결정된다.

제주도는 이 때 잘 갖춰진 회의 인프라를 비롯해 WCC(세계자연보전총회)와 숱한 정상회담 개최 경험, 정부가 지정한 국제회의도시, 세계 최초의 환경수도 추진, 8000여종에 이르는 풍부한 생물자원 등을 집중 부각할 계획이다. 김선우 환경.경제부지사도 참석해 제주도의 추진 의지를 과시할 예정이다.

경남은 한.중.일 따오기 복원사업과 습지보전 시책 등 다양한 생물다양성 보전사업, 람사르 총회와 유엔사막화 방지협약 총회 개최에 따른 노하우를 강점으로 들고 있다. 또 국내 최대 내륙습지인 우포늪도 자연환경 면에서 경남이 내세우는 무기다.

강원은 평창이 환경올림픽을 추구하는 2018동계올림픽 개최지라는 점, DMZ(비무장지대) 및 백두대간의 생태적 의미 등을 부각하고 있다.

한상기 제주도 환경자산보전담당은 "여러모로 보나 국제회의 개최지로서 제주도만 한 곳이 없다고 본다"며 "심사의 객관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1993년 발효된 생물다양성협약은 기후변화협약, 사막화방지협약과 함께 유엔의 3대 환경협약으로 불린다. 당사국총회는 2년마다 지구촌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이행방안을 논의하는 장이다. 193개 당사국과 국제기구, 비정부기구(NGO) 등 2만명 안팎이 참가한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총회 개최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4631억원으로 예상했다. <제주의소리>

<김성진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