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제주의 여신을 닮은 제주여성들 / 김현주 제주시청 여성가족과

1만8000여 신들의 고향이라고 불리는 제주. 척박한 제주환경에 온갖 고난과 어려움속에서 가족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어머니의 마음을 시대에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지난 3월 제주시청 여성가족과는 제주시여성단체협의회와 함께 '제주신화 속 여성의 삶을 찾아서' 라는 주제로 제주도내 본향당(本鄕堂)을 답사했다. 제주신화를 통해 당시 제주의 문화, 사회, 풍습 등을 읽어내고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여성들의 모습을 파악해 앞으로의 여성지도자들의 역할과 방향을 생각해보기 위해서다.

본향당은 마을 신앙민의 출생에서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활을 도맡는 수호신의 거처이면서 제단을 뜻하는 무속 신앙 속 말이다. 제주에서는 본향당을 할망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본향을 뜻하는 할망은 신(神)의 명칭으로 쓰이기도 한다. 

예전부터 제주의 여성은 부지런하면서도 강인했다. 제주 신화중에서 백주또신화를 보면 이러한 특성을 잘 살펴 볼 수 있다.

송당의 당신(堂神)인 백주또는 제주 어머니들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다. 자립적인 그녀는 부지런하고 다부지다.

그녀는 자기 집 소 뿐만 아니라 남의 집 소까지 잡아 먹어버린 남편 소천국에게 "소를 잡아먹는 일은 자주있지만, 남의 소를 잡아먹은 것은 소 도둑놈으로 살림을 분산합시다" 라고 얘기했다. 요즘으로 말하면 이혼이다.

그녀가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내 몸 하나 부서지노라면 저 아이들 정도야 못 키우랴’는 부지런함, 정직함, 그리고 강인함이다. 남편도 없이 혼자 아들 18명, 딸 28명, 손자 378명을 키울 생각하면 까마득하게 생각할 법도 있는데 말이다.  

noname01.jpg
김현주 제주시청 여성가족과
이런 강인함은 자칫 드센 여자로 표현될 수도 있다. 부정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하지만 나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싶다.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살아가려는 모습. 그리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등은 요즘 시대여성의 발전을 위해 요구되는 것들을 우리 선조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이뤄내고 실행해 왔던 것이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이라는 말이 있다. '옛 것을 제대로 알고서 새로운 것을 안다는 것'으로 지나간 과거로부터 미래의 깨달음을 얻는다는 말이다. 당차고 부지런한 모습. 그리고 자신의 삶을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않고 가족의 중심이 되었던 모습.

제주의 여신을 닮은 제주여성들은 행복한 제주를 만드는 주인공이며, 제주발전의 원동력이다. / 김현주 제주시청 여성가족과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