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가 ‘제주어 표기 지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주학 총서 13호로 <제주어 표기법 해설>을 발간했다고 18일 밝혔다.
 
제주어는 구어(口語)로 문자로 기록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제주어 구술 자료들을 문자로 표기하려면 정해진 규정이 없어서 제주어 활용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 들어 제주어의 보존과 활용을 중요하게 인식하면서 행정기관에서는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고, 도민들은 교육 참여와 대중적 활동을 통해 제주어 보존에 동참하고 있는 상황이다.

제주도는 '제주어 표기법'을 지난 7월 ‘제주특별치도 고시 제2014-115호’로 공표함으로써 제주어의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제주어 표기법 해설>은 ‘제1장 총칙, 제2장 본디 꼴을 적는 것, 제3장 바뀐 꼴을 적는 것, 제4장 굳어진 표기’ 등 총 20항으로 구성돼 있다. 

기존에 소리 나는 대로 적었던 글자들 중에 본디 꼴(원형)을 밝힐 수 있는 것은 본디 꼴을 밝혀  낚다[釣]가 ‘낚안[나깐], 낚으민[나끄민]’ 과 같이 글자 모양과 소리가 다른데, 이때 글자 모양대로 적도록 했다.  
 
또한 제주도의 각 지역에서 쓰이는 글자도 제주어이므로 각각의 형태를 표기 방법으로 인정, 각 항별로 조항을 설정한 근거를 제시하고, 사례를 통해 언어학의 이론으로 설명했다. 
 
<제주어 표기법 해설>은 제주어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누구나 제주어 표기 방법을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며, 한글을 사용할 때는 ‘한글 맞춤법’을 준용하듯이 제주어를 사용할 때는 ‘제주어 표기법’을 따르게 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