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치' 내주고 정책보좌관실로 변경...인원도 3명으로 줄어 '권한 막강 옛말'

1.jpg
원희룡 제주도정 출범 이후 야심차게 출범했던 '협치정책실'이 사실상 공중분해됐다.

민선 6기 원희룡 도정의 핵심 기치는 '협치'였다. 출범과 함께 협치정책실을 만들어 남경필 경기지사의 '연정'과 겨루듯 '원희룡표 협치 실험'을 시작했다.

원 지사는 협치를 '도지사의 권한을 나누고, 민간이 참여하고, 일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하지만 원 지사의 협치는 시작부터 된서리를 맞았다. 협치정책실장을 3급 부이사관급으로 하려다 여론의 뭇매를 맞고 한단계 낮은 서기관급으로 하향 조정했다.

김헌 협치실장을 개방형공모로 선발하고, 라민우(대외), 이승택(문화예술), 김현철(1차산업)씨를 정책보좌관, 문화예술재단에서 김오순, 제주테크노파크에서 진관훈, 제주관광공사에서 이성은씨를 파견형식으로 협치정책실에 배치했다.

그러다가 지난해 협치위원회 설치 조례가 의회에서 제동이 걸렸고, 올해 1월 '협치'란 명칭을 정책기획관실에 내주면서 '정책보좌관실'로 이름을 바꿔 달았다.

게다가 비서실 기능을 강화하면서 라민우 정책보좌관은 비서실로 자리를 옮겼다. 또 새롭게 선발 절차를 밟고 있는 갈등조정 정책보좌관 역시 비서실에 근무할 예정이다.

아울러 제주도는 김현철 정책보좌관에게 1일자로 소통정책관실 공보특보를 겸임하도록 했다. 사무실도 정책보좌관실에서 소통정책관실로 이동했다. 

정책보좌관실에 남은 인원은 김헌 실장을 비롯해 이승택 정책보좌관, 지석규 미디어콘텐츠 특보 등 사실상 3명으로 줄었다.

제주도 관계자는 "각종 민원과 고충상담이 비서실로 쏟아지면서 정무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비서실 규모를 키우게 됐다"며 "정책보좌관실 역할이 줄어들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제주도는 최근 도지사 집무실 옆 회의실에 현광식 비서실장 등 정책보좌관들이 근무할 수 있는 사무실을 마련했다.  

원 지사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협치가 조직기구 면에서도 왜소해진 모양새다. 권한이 막강할 것이라던 예상도 옛말이 됐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