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819_225143_1951.jpg
최근 부산에서 사람의 목숨을 빼앗을 수도 있는 ‘붉은 독개미’가 발견된 가운데, 해외병해충 검역 인력 충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7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성곤(더불어민주당, 서귀포)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전국 공·항만 수입 검역 해외병해충 거출 건수는 무려 6만9445건에 달한다.

연도별로 △2010년 9735건 △2011년 8873건 △2012년 9827건 △2013년 7516건 △2014년 7890건 △2015년 1만2075건 △2016년 1만3529건 등이다.

특히 뿌리가 달린 재식용 식물 검출이 크게 늘었다.

해외병해충 발견 건수 대비 재식용 식물 검출 비율은 △2010년 8.4% △2011년 7.9% △2012년 9.4% △2013년 12.6% △2014년 14.4% △2015년 19.3% △2016년 21.4%로 지난해 20%대를 돌파했다.

전체 6만9445건 중에서 아시아 지역에서 넘어온 병해충이 6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 뒤를 북미 12%, 유럽 8%, 남미 5%, 아프리카 35, 오세아니아 3%, 중미 1% 등이다.

위 의원은 이 같은 상황에서 식물검역관 인력은 수년째 제자리걸음이라고 지적했다. 식물검역관은 2010년 359명이었지만, 2016년에도 358명에 불과하다.

위 의원은 “검역 수요는 증가했지만, 인력 충원이 부족해 검역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외병해충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병해충 예찰·방제·역학조사 기능 강화, 국경검역 인력보강, 고위험 수입식물 위험평가·병해충 진단·연구기능 강화 등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달 28일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붉은 독개미 서식이 처음 확인되고, 이튿날 1000여마리가 서식하는 개미집이 발견돼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붉은 독개미는 세계자연보호연맹(IUCN)이 선정한 세계 100대 악성 침입외래종으로, 날카로운 침에 찔리면 심한 통증과 가려움증을 동반한다. 

또 현기증과 호흡곤란 등의 과민성 쇼크 증상을 유발해 해외에서는 붉은 독개미에 쏘여 숨지는 사람이 많아 '살인 개미'로 불린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