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⑦]김동문 해군기지사업준비단 대령 수차례 '고함' 감정싸움 비화 우려

해군 장교가 토론회가 진행되는 가운데 순간 순간 '고함'을 지르는 바람에 자칫 토론회가 감정싸움으로 흐를 뻔하는 아슬아슬한 장면이 연출됐다. 이날 토론회는 생방송 중이었다.

▲ 제1부 토론에 앞서 해군측 계획을 발표하는 김동문 해군대령
제주해군기지사업준비단의 김동문 해군 대령은 이날 제1부 '군사전략적 측면'을 주제로 한 해군기지 토론회가 절정에 이르면서 순간순간마다 '(토론제한시간)시간됐습니다' '(공군기지계획 관련)전화를 걸어보십시오' 하고 수차례 고함을 외치는 촌극을 벌였다.

이 같은 상황은 공군 장교 출신의 김성전 군사평론가가 해군기지에 대한 찬성측의 논리적 비약과 공군기지의 우려 가능성을 혹독하게 제기하는 과정에서 빚어졌다.

이후 찬성측 발제와 반론 재반론 형식으로 토론이 전개되며 각 측 입장을 표명할 때마다 방청객에선 야유와 고성이 오고가는 상황이 수차례 되풀이 됐다.

결국 토론회의 사회를 맡은 한삼인 제주대학교 교수는 토론회 중간마다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토론회가 될 수 있도록 해달라"며 방청객의 자제를 당부하기도 했다.

첨예한 감정 싸움이 전개자, 찬성측은 "별도로 추가 시간이 없다. 원칙대로 하자"고 주장했지만 결국 찬반측에게 각각 2분의 추가 시간이 주어지고 제1부 토론을 마무리 지었다.

이날 김 대령은 제1부 토론에 앞서 '제주해군기지의 군사전략적 측면'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제주해군기지 사업은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사업비 8000여억원을 투입해 해군 기동부대 수용을 위한 기지를 건설하는 사업이다"며 "제주 남방 해역에는 해저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돼 있는 지역으로 국가 생존권 차원에서 이들 지역에 대해 상시감시와 보호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대령은 이어  "제주도 남방해역을 통하는 해상교통로는 국가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산업 물량의 핵심 수송로로서 국가 경제 유지.발전을 위해 안정적 관리가 필요하다"며 "제주 남방해역은 한.중.일간 해양분쟁 가능성이 잠재된 지역인 만큼 주권보호를 위해 해군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사복으로 갈아입은 김동문 대령은 토론회 중 즉흥적으로 고함을 치는 바람에 주변의 시선을 한몸에 모았다.
또 "기지권 주변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가 가능하다. 친환경 제주해군기지로 건설되고 기지 외곽애 대한 군사보호구역 설정 계획은 전혀 없다"며 "제주해군기지 설치로 인구가 유입되고 소득이 증대, 지역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면서 "17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주민들의 휴식공간 조성, 의료시설 등을 개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방청객 질의에 나선 백두사회문제 상당소 오안일 소장은 "이동식 해군기지여 한다. 차라리 22세기에는 용궁식 지하 해군기지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식이 아니라면 무인도에 했어야 한다. 왜 민간인이 사는 곳에 해군기지를 설치하느냐"고 시간을 초과하며 조목조목 입장을 제기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 "무역항을 먼저하고 유사시에 해군이 사용하게 해야 군사증강을 하지 않고 있다는 식으로 인식할 수 있다. 주객이 전도됐다. 자유무역항을 먼저하고 유사시에 해군기지를 설치할 수 있더록 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옛날식 해군기지 보다 지대공 미사일기지를 설치하는게 더 효율적"이라며 "행정당국과 해군측의 공식적인 답변을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에대해 고성혁 기획조정실장은 "각종 언론보도사례를 예를 들며 힘이 있어야 국가와 제주를 지킬 수 있다"며 "이동식 해군기지는 바로 항공모함을 일컫는 것이다. 무인도는 면적이 작아서 해군기지는 들어설 수 없다"고 응수했다.

신인균 사무처장은 "제7광구에 1000억 배럴에 매장돼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원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며 "국가가하는 일은 믿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강조했다.
 
이태호 사무처장은 "미국이 한국에 MD참여를 요구했고, 일본도 하고 있다. 한국은 MD 구성안이 진행 중이다. 제주해군기지는 중국을 겨냥할 수 밖에 없고, 제주가 중국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에 대해 말해달라"고 해군측에 물었다.  이어 "제주해군기지는 영토논리에도 맞지 않는다"며 "명확한 미국의 패권기지이자 전초기지"라고 강조했다.

한편 찬반 토론자측은 이날 제한된 시간과 토론 방식에 대한 사전 고지 문제를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