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제주-중국 경제·관광 협력포럼’서 왕천천 사이버한국외대학교 중국어학부 부교수

25일 메종글래드 제주에서 제주-중국 경제관광 협력포럼이 열렸다.

300만명이 넘는 중국인이 제주를 찾았던 2016년과 같은 관광 호황은 재현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와 중국간 관광이 아닌 새로운 교류협력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25일 오후 3시30분 메종글래드 제주에서 열린 ‘2019 제주-중국 경제·관광 협력포럼’에서 왕천천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학부 부교수는 ‘열린 제주, 미래 한·중 지역협력의 교두보’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중국인 관광객은 제주관광 시장의 주요 소비층이다. 제주를 찾는 외국인관광객의 최대 80%를 차지할 정도다. 
 
제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2012년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서 ▲2013년 181만2172명 ▲2014년 285만9092명 ▲2015년 223만7363명 ▲2016년 306만1522명 등 상승곡선을 그렸다.
 
2017년 2월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부지로 경북 성주군 롯데스카이힐 성주골프장이 결정되자 중국은 금한령(禁韓令)을 내렸다.
 
소위 ‘사드 보복’ 조치가 이뤄진 2017년 한해 제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74만7315명으로 급감했다.
 
2018년 제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66만6120명으로 더 줄었다. 올해는 5월 현재까지 36만1525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제주를 찾았다. 
 
이에 대해 왕 교수는 “중국 단체관광이 전면 개방돼도 두 가지 측면 때문에 2016년 뜨거웠던 제주관광을 재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왕천천 교수가 중국 단체관광이 개방돼도 사드 보복 이전처럼 수백만명이 제주를 찾진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왕 교수는 “한국과 중국간 분쟁과 갈등으로 중국내에 한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커졌다. 또 중국의 경제가 발전하면서 해외여행이 보편화돼 중국인들이 이국적인 색채가 선명한 동남아나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을 찾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중국인들에게 제주는 관광지로서 매력을 잃었기 때문에 '사드 보복' 이전처럼 수백만명에 달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다시 제주를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인 셈이다.
 
왕 교수는 “동북아 항로 중심에 위치한 제주가 가진 지리적 여건을 이용해 제주와 중국간 해운직항 노선을 개통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한다”며 “중국과 제주, 한국 동해를 잇는 물류 허브항구가 돼 북극항로를 관통하면 제주는 북극항로의 동북아 물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어 “청정 제주에서 생산되는 어패류 등은 중국에서 수요가 있다. 해운직항 노선 개통을 통해 통관 절차를 간소화하면 제주산 제품의 중국 수출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와 중국 지방 경제·관광 교류의 질과 양’을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은 제주상공회의소와 중국주제주총영사관, 제주관광공사가 공동 주최했다.
 
최재천 일대일로연구원 이사장이 ‘일대일로를 걷는 제주의 경제와 관광’을 주제로 기조강연과 함께 왕 교수와 정지형 제주연구원 중국연구센터장의 발표가 이어졌다.
 
발표가 끝난 뒤 허향진 전 제주대학교 총장을 좌장으로 강성민 제주도의원, 송형록 제주상의 상임의원, 장바오치 주제주중국총영사관 부총영사, 이동걸 제주화교화인연합회 회장, 양필수 제주관광공사 해외마케팅처장, 신의경 제주한라대학교 공자학원 원장 등이 토론했다.
 
김대형 제주상공회의소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제주와 중국간 질적인 경제협력을 위해서는 중국 소비계층에 대한 이해 등 다변화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