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순덕 제주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전문인력 최소 51명 보강해야”

제주도 공공 연습장과 도립예술단이 지금까지 전문 인력이 부족한 상태로 운영됐고, 지금보다 최소 51명은 보강해야 현재 이상의 역할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문순덕 제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0일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 및 예술단 전문인력 확보 방안’ 연구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과 예술단의 특성을 살펴봤다. 공공공연장 6개소의 운영 현황, 도립예술단 소속 사무국의 운영 현황을 통해 전문 인력의 위상과 역할 강화, 전문 인력의 고용 안정화 방안 등을 제시했다.

여기서 공공 공연장은 제주도문예회관, 제주아트센터, 서귀포예술의전당, 김정문화회관, 제주해변공연장, 제주도설문대여성문화센터다. 도립예술단은 도립무용단, 도립제주예술단(합창단·교향악단), 도립서귀포예술단(합창단·관악단)이다.

문 연구원은 “공공 공연장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공연장 운영조직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했다. 무엇보다 전문 인력 확보가 미흡했다”고 문제를 지적했다.

여기서 전문 인력은 공연 기획자, 홍보 마케터, 무대 기술 전문 인력(무대기계·무대장치·음향·조명 등), 하우스매니저, 문화 예술 교육사, 전시 기획자, 문화 행정가 등을 아우른다.

문 연구원은 “현재 제주도 공공 공연장에는 하우스매니저가 전무한 상태다. 문화예술 교육과정을 활성화하는 역할도 부족하다. 종합적으로 공공 공연장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도립예술단 운영 실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문 연구원은 “도립예술단의 위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도립예술단 사무국의 역할이 미흡하다. 사무국에도 전문 인력을 확충해야 한다. 공연장과 예술단의 유기적 관계도 미흡하다, 도립예술단의 조직체계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확인했다.

문 연구원은 공공 공연장과 예술단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기본 방향과 정책 과제도 연구에서 제안했다.

기본 방향은 ▲행정조직체계 조정 ▲전문 인력의 고용 안정 강화 ▲공연장과 예술단 경영의 전문성 강화다. 정책 과제는 ▲공연장과 예술단 운영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상설협의체) 구축 ▲공연장과 예술단 운영의 전문성 보장 확대 ▲무대 전문인력 채용 확대 ▲공연장 이용자의 통합DB관리 및 활용 방안 마련 ▲공공 공연장별 운영 실태조사와 중장기운영계획 수립 정기적 추진 ▲도립예술단 사무국 중심의 행정업무 단일화 체계 구축 등을 꼽았다.

문 연구원은 “공공 공연장은 제주도문예회관이 현재보다 10명, 제주아트센터는 7명, 서귀포예술의전당은 9명, 설문대여성문화센터는 3명, 제주해변공연장은 5명, 김정문화회관은 7명이 늘어나야 한다. 도립무용단 사무국은 4명, 제주예술단은 3명, 서귀포예술단은 3명이 확충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확충 예상 총 인원이 51명인데, 현재 인원이 26명인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인력 공백 상태로 끌고간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설문대여성문화센터와 해변공연장은 전문 인력이 한 명 밖에 없는 상태다.

전문인력 확충을 위해 “관련 조례를 제·개정해 정원 규모, 채용 기준, 보수 체계 등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