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예술칼럼 Peace Art Column] (79) 김동현 / 보이지 않는 목소리들을 듣기 위해

제주도는 평화의 섬입니다. 항쟁과 학살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은 더욱 간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주4.3이 그렇듯이 비극적 전쟁을 겪은 오키나와, 2.28 이래 40년간 독재체제를 겪어온 타이완도, 우산혁명으로 알려진 홍콩도 예술을 통해 평화를 갈구하는 ‘평화예술’이 역사와 함께 현실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들 네 지역 예술가들이 연대해 평화예술운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들의 평화예술운동에 대한 창작과 비평, 이론과 실천의 공진화(共進化)도 매우 중요합니다. 독립언론 [제주의소리]가 네 나라 예술가들의 활동을 ‘평화예술칼럼(Peace Art Column)’을 통해 매주 소개합니다. 필자 국적에 따른 언어가 제각각 달라 영어 일어 중국어 번역 원고도 함께 게재합니다. [편집자 글]
오키나와 전투와 전후사 전공자인 자하미 나오미(謝花直美)의《전후 오키나와와 부흥의 또 다른 소리-미군 점령하 부흥을 요구한 사람들의 생존과 희망(戰後沖繩と復興の異音)》. 사진=김동현. ⓒ제주의소리
오키나와 전투와 전후사 전공자인 자하미 나오미(謝花直美)의《전후 오키나와와 부흥의 또 다른 소리-미군 점령하 부흥을 요구한 사람들의 생존과 희망(戰後沖繩と復興の異音)》. 사진=김동현. ⓒ제주의소리

ㅡ 개발이라는 또 다른 폭력에 주목하자

1. 오키나와 부흥과 보이지 않는 목소리

최근 오키나와 미군 점령기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서가 나왔다. 오키나와 전투와 전후사 전공자인 자하미 나오미(謝花直美)의《전후 오키나와와 부흥의 또 다른 소리-미군 점령하 부흥을 요구한 사람들의 생존과 희망(戰後沖繩と復興の異音)》이다. 자신의 박사논문을 바탕으로 한 이 책에서 흥미로운 것은 그동안 오키나와 역사에서 소외되어왔던 오키나와 여성의 삶을 ‘부흥’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재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개발 혹은 부흥의 역사에서 그동안 중요하게 여겨졌던 것이 경제성장의 추이 등 거시적 수치였다. 오키나와전투의 직접적인 가해자였던 미군이 점령 후 ‘부흥’의 주체가 되면서 남겨진 사람들의 생존은 또 다른 선택과 배제라는 폭력적 상황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 ‘미군 점령’이라는 현실에 저항하는 이들도 있었지만 그러한 현실 속에서도 생존을 위해 교섭과 타협을 해야 했던 이들도 적지 않았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미군에 대한 저항은 미군과 오키나와인들의 이항 대립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역사적 경험을 만들어왔다. 생존을 위한 아슬아슬한 선택을 강요받았던 여성들의 존재들은 그동안 오키나와 현대사 연구 성과로 규정할 수 없는 이질적 모습들을 보여주었다는 것이 이 책의 테마이다.

역사적 주체에서 배제되어왔던 생활사로서의 여성의 존재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의 의미가 적지 않다. 또한 미군 점령기의 오키나와 현대사의 다양한 목소리들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역작으로 평가받을 만 하다. (하루 속히 한국에서도 번역본이 나오길 희망한다.)

미군점령하의 부흥 정책은 오키나와의 일본 ‘복귀’ 이후에는 일본 본토 정부에 의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물론 이러한 부흥 정책에 오키나와 내부에서도 찬성과 반대 등 다양한 목소리들이 있었다. 오키나와 현대사에 있어서 부흥의 문제를 들여다보면서 제주 개발의 문제를 또 다른 시각으로 바라봐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절실히 느꼈다. 

‘절멸 수준’의 대학살 이후 제주에서는 ‘재건’과 ‘부흥’이 지상과제로 여겨졌다. 1949년 5월 제주를 찾은 이승만의 제일성도 ‘낙토재건’이었다. ‘낙토’를 파괴한 주범이자 원인 제공자였던 그가 ‘낙토 재건’을 말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이율배반이다. 이승만의 ‘재건 프로젝트’는 박정희 집권 이후 제주개발 패러다임으로 바뀌었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오키나와 사례와 비교해본다면 제주 4·3과 오키나와 전투 과정에서 벌어졌던 민간인 학살, 그리고 이후 벌어진 침묵의 강요는 국가폭력이 가해지는 과정과 그 작동 방식에서 많은 유사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오키나와 전투와 제주 4·3 항쟁의 근원은 들여다보면 거기에는 미국이라는 타자를 발견하지 않을 수 없다. 

오키나와는 현재 일본 내 미군기지의 80% 이상이 주둔하고 있는, 동아시아에서의 미국의 패권을 ‘방위’하기 위한 전략적 지역으로 간주되고 있다. 일본 본토의 평화가 사실 오키나와의 미군 기지를 전제로 하고 있다는 지적은 그 자체로 타당하다. 제주 4·3 과정에서 대규모 학살을 경험한 제주의 경우에도 미군기지 문제는 기회가 될 때마다 반복되어 왔다. (1946년 10월 무렵에는 제주도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의 전략적 기지였던 지브롤터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외신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오키나와 일본 복귀가 대두되던 1969년에는 제주를 미군기지로 제공할 수 있다는 한국 측의 제안이 있었고 이에 대해 미국은 수락할 의사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제주도는 중요지대…장래 지브롤터화 할 가능성 있다」, 한성일보(1946.10.22.); 「제주에 해·공군기지…한미 국방회담서 의견모은 듯」, 경향신문(1969.6.6.); 「오키나와 반환협상 실패하면 제주에 미군기지 용의」, 경향신문(1969.7.18.). 제주를 미군기지로 제공할 수 있다는 보도들은 이후 1988년에도 등장한다. 당시에는 필리핀 미군기지 이전 대상지로 제주가 거론된 바 있다. 당시 노태우 대통령은 보도 내용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고 밝히면서 군용기도 이용하는 대규모 공항개발계획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경향신문(1989.3.18.) 이 과정에서 국가주도의 근대화 프로젝트는 국가 폭력을 은폐하거나 혹은 부재하는 것으로 상상하게 만들었다.

제주와 오키나와는 모두 개발과 근대화 담론이라는 이름으로 지역에 가해진 폭력에 노출되었고, 지역 주민들은 이를 스스로 내면화하는 방식으로 은폐했고, 때로는 개발을 적극적으로 거부하면서 그것을 극복하려고 했다. 예컨대, 오키나와 부흥계획이 오키나와 내부에서 제안되었고, 제주에서 정부의 개발계획에 적극적으로 공명하면서 이른바 ‘동양의 하와이’라는 담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던 점을 상기해 보자. 이러한 개발 프로젝트가 오키나와 전쟁 책임과 제주 4·3 책임에 대한 외면과 동시에 이뤄졌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지고 보면 경제 부흥이라는 이름으로 가해진 근대화 기획에 대한 무비판은 종종 지역의 자기결정권을 위협하기도 했다. (최근 제2공항 건설 문제도 이와 같은 연장선상에 있다.) 

이러한 개발담론은 단순히 일국적 차원의 기획이라고는 볼 수 없다. 에드워드 사이드가 지적한 것처럼 ‘개발과 근대화 담론’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팽창주의 전략의 핵심이었다. 이러한 개발 프로젝트의 지향은 분명했다. 미국식 민주주의의 전달자라는 소명의식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제국 미국의 헤게모니 강화, 미국식 자유에 대한 어떠한 도전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이데올로기의 강요, 바로 이 두 가지였다. 한국에서의 근대화 프로젝트 역시 박정희 정권의 단독 기획이 아니라 로스토의 ‘경제성장단계론’에 의한 미국 대외 원조 정책에 기반하고 있다. 아시아 국가의 경제발전이 공산주의의 위협에 대응하는 미국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정책적 판단이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경제 성장의 기반이 되었다.

2. 4·3이라는 폭력과 개발이라는 또 다른 폭력

1948년 당시 조선통신특파원 자격으로 제주를 찾은 조덕송은 경찰의 국방경비대의 토벌작전에 동행한다. 이후 신천지에 기고한 글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제주의 상황을 전하고 있다. 

필자가 이 섬에 온 그 이튿날 국방경비대는 모 중대작전을 개시하였다고 일사불란의 대오로 출동 전진하였다. 목표는 한라산인지 산간 부락인지 미명에 폭우를 무릅쓰고 장정들은 전진한다. 필자도 이 출동부대를 따랐다. 지금 제주도에 파견되어 있는 경비대의 세력은 약 4,000. 그들의 전원이 출동하는 모양이다. 말없이 움직이고 있는 그들 장정! 그것은 틀림없는 전사의 모습이다. 미군 철모에 미 군복, 미 군화에 미군 총. 비가 오면 그 위에 미군 우장을 쓴다. 멀리서 보면 키가 작은 미군 부대가 전진하고 있는 것 같다. 조선이라는 조국을 방위할 이 나라의 병사. 겨레의 장정들이 지금 남해의 고도에서 적들인 동족의 섬멸에 동원되고 있는 것이다. (조덕송, 「현지보고, 유혈의 제주도」, 신천지, 1948년 7월호)

조덕송의 글은 4·3 직후 도민들의 피해상과 토벌작전의 최고 책임자인 미군의 존재, 그리고 4·3 봉기의 발발 원인에 대해 비교적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 특히 유혈 사태의 원인에 대해서 관의 발표를 “인위적인 것”만 “제시”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제주도민의 입장에서 “공산계열의 선동 모략”뿐만 아니라 서북 청년단의 폭압적 고문도 하나의 원인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4·3 봉기와 진압 과정의 폭압적인 상황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전하고 있음에도 미묘한 시선의 층위를 발견할 수 있다. 토벌 작전에 투입된 국방경비대들은 “전사의 모습”으로 “조선이라는 조국을 방위”하는 최전선에 서 있고 미군의 복장을 한 국방경비대의 출동은 “동족의 섬멸”을 위한 “동원”으로 묘사되고 있다. ‘섬멸’이라는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4·3 당시 ‘반공’은 위생적 우위를 차지한 지배담론이었으며 이러한 담론 하에서 ‘빨갱이=제주’는 주권의 자격을 부여받지 못한 존재였다. 제주 4·3 토벌작전은 ‘절멸’의 공포였다. 봉기의 주도세력은 ‘반도(叛徒)’이자 ‘섬멸’해야 할 ‘적’들이었다. ‘반도’에 협력하는 주민들 역시 ‘숙청’의 대상이었다. 

조덕송의 글이 당시 시대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때 ‘낙토 재건’의 의미는 과연 무엇이었던가. 앞서 말한 이승만의 제주 방문은 이른바 ‘성공적 토벌작전’을 확인하기 위한 반공 권력을 가시적으로 드러낸 것이었다. ‘낙토 제주 복원’의 전제조건은 ‘빨갱이의 섬멸’이었다. 이렇듯 권력이 ‘낙토 복원’을 내세울 때 그것은 ‘국민’과 ‘국가’와의 상상적인 관계를 생산하는 효과적인 수단이었다. 제주 4·3항쟁이 해방기 인민 주권을 구현하려는 인민의 자기 결정권과 통치 대상을 결정하려는 권력의 대결이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자들도 지적하고 있다. ‘낙토 복원’이라는 구호의 배면에는 권력의 폭력적 진압이 이후 자본주의적 관계로 치환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낙토 복원’을 위해서는 막대한 물적·인적 자원의 동원과 배분이 필연적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고 섬멸 수준의 초토화 작전이 펼쳐진 지역에서 이를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힘은 곧 ‘섬멸’과 ‘초토화 작전’의 주체였던 ‘권력’이었다. 이승만이 제주방문에서 ‘낙토 복원’을 외칠 수 있었던 것도 그 가시적 힘의 수행자라는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박정희는 쿠데타 직후인 1961년 9월 8일 국가재건최고위원회 의장 자격으로 제주를 방문하면서 제주 개발을 지시한다. 반공국가의 수립을 위한 정언명령이 ‘빨갱이 섬멸’이었다면 성공적 ‘섬멸’ 이후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한 것이 ‘개발담론’이었다. 

1963년 자유항 설정 구상으로 시작된 제주 개발 정책은 국제자유지역, 관광·산업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경제 개발을 위해서는 자본의 확보는 필수적이었다. 이 때문에 제주 개발은 국가와 외부 대자본이 결합에 의해 추진될 수밖에 없었고 이는 자본주의적 종속이라는 문제로 이어졌다. 반공 국가의 폭압적 권력의 행사는 개발이라는 자본주의적 관계로 치환되었다. 

4·3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반공주의는 남한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가 되었다. 확실한 피아 식별을 바탕으로 한 ‘섬멸의 정치학’이 50년대 반공주의라면 1960년대 들어서면 반공주의는 근대화 담론과 손을 잡기 시작한다. 이러한 근대화 담론의 배경에 미국의 경제학자 로스트의 ‘경제성장론’이 배경이 되었음은 앞부분에서 밝힌 바 있다. 1960년대 근대화 담론과 반공주의 결합은 오랫동안 우리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였다.

3. 성장신화의 허구 

지금 제주와 오키나와의 처지는 반공주의와 개발만능주의의 폐해가 무엇인지를 잘 보여준다. 오키나와는 일본 내에서도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다. 소득불평등을 나타내는 지니 계수 역시 일본 평균 보다 높다. 제주 역시 마찬가지다. 거시적 경제 지표는 상승하고 있지만 노동 생존권은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오키나와 진흥 개발 특별법이 제정된 이후 경제 격차는 확대되고 있다. 마쓰시마 야스카스는 이를 “경제성장을 위해 류큐인의 생명이 존중되지 않는 사회”라고 진단하고 있다. 오키나와의 경제 정책이 미군 기지의 강요와 결부된 개발정책이라는 점도 분명히 하고 있다. 오키나와의 사례가 비단 오키나와에만 국한되는 것일까. 

더 높은 건물과, 더 많은 관광객의 유입을 바라는 ‘성장 만능 이데올로기’가 여전히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가. 인간을 위한 경제에 기초한 제주와 오키나와의 연대는 가능할 것인가. 지금 우리가 ‘개발’의 문제를 다시 봐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 김동현

문학평론가. 제주에서 태어났다. 제주대학교 국문과와 한신대 문예창작대학원, 국민대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지은 책으로는 《제주, 우리 안의 식민지》, 《제주, 화산도를 말하다》(공저), 《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공저) 등이 있다. 한때 지역신문 기자로 일하기도 했다. 지금은 제주, 오키나와를 중심에 두고 지역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제주 MBC, 제주 CBS 등 지역 방송 프로그램에서 시사평론가로, 제주민예총에서 정책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見えない声を聞くために開発というもう一つの暴力を注視する
キム・ドンヒョン 文学評論家 
 
1.    沖縄復興と<見えない声> 

最近、沖縄の米軍占領期に関する興味深い研究書が出版された。沖縄戦と戦後史を専門とする謝花直美の「戦後沖縄と復興の『異音』-米軍占領下 復興を求めた人々の生存と希望」だ。自身の博士論文を基にした本書で興味深いのは、これまで沖縄史から疎外されてきた沖縄女性の生活を「復興」というキーワードで再構成しているという点である。開発あるいは復興の歴史において、これまで重要とされてきたのが経済成長の推移などマクロ的な数値だった。沖縄戦の直接的加害者だった米軍が占領後「復興」の主体となり、残された人々の生存はさらなる選択と排除という暴力的状況に置かれるほかなかった。「米軍占領」という現実に抵抗する人もいたが、そうした現実の中でも生存のために交渉と妥協をし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人も少なくなかった。こうした現実の中で、米軍に対する抵抗は、米軍と沖縄人の二項対立だけでは説明できない歴史的経験を生み出してきた。生存のためのぎりぎりの選択を強いられた女性たちの存在は、これまで沖縄現代史の研究成果では規定できない異質な姿を見せたというのが、同書のテーマだ。  
歴史的主体から排除されてきた生活史として、女性の存在を明らかにしているという点で本書の意味は小さくない。また、米軍占領期の沖縄現代史の多様な声を表したという点で力作と評価されるに値する。(一日も早く韓国でも翻訳本が出ることを希望する。)

米軍占領下での沖縄復興政策は、日本「復帰」以降、日本政府によって積極的に推進された。もちろんこうした復興政策に沖縄内部からも賛成や反対など様々な声が上がった。沖縄現代史における復興の問題を見つめ、済州開発の問題をもう一つの視点で考える必要があることを実感する。済州でも「絶滅水準」の大虐殺以後、「再建」と「復興」が至上課題と考えられた。1949年5月に済州を訪れた李承晩の第一声も「楽土再建」だった。「楽土」を破壊した主犯であり原因の提供者でもあった彼が「楽土再建」を語ることは二律背反だ。李承晩政権の再建プロジェクトは朴正煕政権後に済州開発パラダイムへと変換したが、基本的構造はさほど変わらなかった。
 
済州4.3と沖縄戦の過程で起こった民間人虐殺、その後に強要された沈黙は、国家暴力が加えられる過程とその作動方式において類似点が多い。沖縄戦と済州4.3抗争の根源には、米国という他者を発見せざるを得ない。沖縄には現在、日本国内の米軍基地の8割以上が駐留し、東アジアにおける米国の覇権を「防衛」するための戦略的地域と見なされている。これだけでも、日本本土の平和が実は沖縄の米軍基地を前提にしているという指摘は妥当だと言える。済州島でも、米軍基地はことあるごとに問題化されてきた。「済州島は重要地帯…将来ジブラルタル化する可能性がある」「済州に海・空軍基地…韓米国防会談で意見を集約」「沖縄返還交渉失敗すれば済州島に米軍基地を用意」。1988年には、フィリピン米軍基地の移転候補地として済州島が着目された。当時、盧泰愚大統領は報道内容を「事実無根」であり、推進するのは軍用機も利用する大規模空港開発計画だと明言した。国家主導の近代化プロジェクトとは、国家暴力を隠蔽し、あるいは不可視化するものだと推測されるようになった。 

例えば、沖縄復興計画が沖縄内部で提案されたこと、済州で政府の開発計画に共鳴し、いわゆる「東洋のハワイ」という言説を積極的に受け入れたことを想起してみよう。こうした開発プロジェクトが沖縄戦争責任と済州4.3責任に目を逸らしながら行われたという事実に注目する必要がある。経済復興という近代化プロジェクトに対する無批判さは、地域の自己決定権を脅かすこともあった(最近の済州第2空港建設問題もこの延長線上にある)。こうした開発は単なる一国レベルのプロジェクトではない。エドワード・サイードが指摘したように「開発と近代化」は第2次世界大戦後のアメリカの膨張主義戦略の核心だった。それはアメリカ式民主主義の伝道師という使命感に基づく「新たな帝国」であるアメリカのヘゲモニーの強化、アメリカ式自由に対するいかなる挑戦も受け入れないというイデオロギーの強要である。韓国における近代化プロジェクトも朴正煕政権の単独企画ではなく、W.H.ロストウの「経済成長段階論」によるアメリカの対外援助政策に立脚している。アジア諸国の経済発展が、共産主義の脅威に対抗するアメリカの利益に合致するとの政策的判断が、韓国をはじめとする東アジアの経済成長の基盤となった。

2. 4.3という暴力と、開発というもう一つの暴力 

前述した李承晩が掲げた「楽土済州復元」の前提条件は「赤の殲滅」だった。朴正熙はクーデター直後の1961年9月8日、国家再建最高委員会議長の資格で済州を訪問し、済州開発を指示した。反共国家樹立のための定言命令が「赤の殲滅」だったとすれば、その成功以後、「開発」がそれにとって代わった。1963年の自由港設定構想で始まった済州開発政策は国際自由地域、観光産業開発を目標にしてきた。こうした経済開発のためには資本の確保は不可欠だった。済州開発は国家と外部の大資本の結合によって推進されるしかなかったが、これは資本主義的従属という問題に帰着した。反共国家における暴圧的権力の行使は、後に「開発」という資本主義的関係に置き換えられた。確実な敵味方識別をもとにした「殲滅の政治学」が1950年代の反共主義だとすれば、1960年代に入って反共主義は近代化談論と手を結び始め、この結合は、長い間、韓国社会の支配イデオロギーだった。

3. 成長神話の虚構  
 
現在、済州と沖縄の境遇は、反共主義と開発万能主義の弊害が何であるかをよく示している。沖縄は日本国内で非正規職の割合が最も高い。所得不平等を示すジニ係数も日本の平均より高い。済州も同じだ。マクロ的経済指標は上昇しているが、労働生存権は十分に保障されていない。沖縄振興開発特別法が制定されて以来、経済格差は拡大している。松島泰勝はこれを「経済成長のために琉球人の生命が尊重されない社会」と診断し、沖縄の経済政策が米軍基地の強要と結びついた開発政策であるという点も明確にしている。これは沖縄に限ったことだろうか。より高い建物と、より多くの観光客の流入を望む「成長万能イデオロギー」が依然として強力な威力を発揮していることをどう考えればいいだろうか。人間のための経済を基礎とした済州と沖縄の連帯は可能だろうか。今、韓国が「開発」の問題を見直さなければならない理由もここにある。


Watching the other violence of “development”
KIM Dong-hyun, literary critic.

1.    The rehabilitation of Okinawa and the <invisible voice>

The policy of reconstruction of the US-occupied Okinawa was actively promo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fter the 'reversion' of Okinawa to Japan. Of course, there were various voices within Okinawa in favour of and against such reconstruction policies. Looking at the issue of reconstruction in contemporary Okinawan history, we realise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issue of Jeju development from another perspective.  
Also in Jeju, after the 'extinction-level' massacre, 'reconstruction' and 'rehabilitation' were considered supreme issues, and the first words of LEE Syngman when he visited Jeju in May 1949 were also 'reconstruction of paradise'. As the main culprit and the cause of the destruction of 'paradise', it is a contradiction in terms for him to speak of 'reconstruction of paradise'. The reconstruction project of LEE’s administration was transformed into the Jeju development paradigm after the Park Chung-hee’s administration, but the basic structure did not change much.

The massacres of civilians that occurred in the course of Jeju 4.3 and the Battle of Okinawa, and the enforced silence that followed, have many similarities in the process of state violence being applied and its mode of operation. At the root of the Battle of Okinawa and the Jeju 4.3 conflict, one cannot help but find the Other, the US. Okinawa is currently home to more than 80% of all US military bases in Japan and is seen as a strategic area for 'defending' US hegemony in East Asia. This alone makes it reasonable to point out that peace in mainland Japan is in fact premised on US military bases in Okinawa. On Jeju Island, the US military base has also been an issue at every turn. ‘Jeju Island is a key zone...could be Gibraltarised in the future', 'Navy and Air force bases in Jeju...opinions gathered at South Korea-US defence talks', 'Prepare US military base in Jeju if Okinawa return negotiations fail'. In 1988, Jeju was identified as a candidate site for the relocation of the US military base in the Philippines. At the time, President ROH Tae-woo stated that the reports were "factually incorrect" and that what was being promoted was a large-scale airport development project that would also utilise military aircraft. It came to be assumed that state-led modernisation projects are meant to conceal or make invisible state violence. 

Recall, for example, that the Okinawa Reconstruction Plan was proposed inside Okinawa, and that the government's development plan was echoed in Jeju, where it actively embraced the discourse of the so-called 'Hawaii of the Eas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se development projects were carried out while turning a blind eye to the Okinawa War Responsibility and Jeju 4.3 Responsibility. The uncriticality of the modernisation project of economic reconstruction sometimes threatened the region's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e recent issue of the construction of Jeju Airport 2 is an extension of this).  
Such developments are not merely projects at the national level. As Edward Said pointed out, 'development and modernisation' were at the heart of the US expansionist strategy after World War II. It is the strengthening of the hegemony of the 'new empire', the US, based on its mandate as the evangelist of American-style democracy, and the enforcement of its ideology of not accepting any challenge to American-style freedom. The modernisation project in South Korea was also not the sole project of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but was based on US foreign aid policy based on Rostow's 'economic growth stage theory'. The policy judgement that the economic development of Asian countries met the interests of the US in countering the threat of communism formed the basis for the economic growth in East Asia, including South Korea.

2.  The violence of 4.3 and another violence of development 

The precondition for the 'restoration of Jeju paradise' set out by LEE was the 'extermination of the Reds'. PARK visited Jeju on 8 September 1961, immediately after the coup, in his capacity as Chairman of the Supreme Committee for National Reconstruction, and ordered the development of Jeju. If the categorical order to establish an anti-communist state was ' extermination of the Reds', 'development' replaced it after its success: the Jeju development policy, which began with the Free Port Initiative in 1963, aimed to develop an international free zone and tourism industry. Securing capital was essential for such economic development. Jeju's development could only be promot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state and large outside capital, which resulted in the problem of capitalist subordination. The exercise of oppressive power in the anti-communist state was later replaced by the capitalist relationship of 'development'. If the 'politics of annihilation' based on a reliable identification of friend and foe was the anti-communism of the 1950s, in the 1960s anti-communism began to go hand in hand with modernisation discourse, and this combination has long been the dominant ideology in South Korean society.

3.  The fictional nature of the growth myth

The current circumstances in Jeju and Okinawa are a good illustration of what the evils of anti-communism and development universalism are. Okinawa has the highest proportion of non-regular workers in Japan. The Gini coefficient, which indicates income inequality, is also higher in Okinawa than the Japanese average. The same applies to Jeju. Macroeconomic indicators are rising, but the right to work and survival is not sufficiently guarante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Okinawa Promotion and Development Special Treatment Act, economic inequalities have widened. MATSUSHIMA Yasukatsu diagnoses this as 'a society where the lives of Ryukyuans are not respected for the sake of economic growth', and also makes clear that Okinawa's economic policy is a development policy linked to the imposition of US military bases. 
Is this limited to Okinawa? What are we to make of the fact that the 'growth-oriented ideology', which desires higher buildings and a greater influx of tourists, remains a powerful force? Is solidarity between Jeju and Okinawa based on an economy for people possible? This is also why South Korea must now rethink the issue of 'development'.
 

※ 중국어 번역본 원고는 추후 게재될 예정입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