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예술칼럼 Peace Art Column] (80) 토미야마 카즈미

제주도는 평화의 섬입니다. 항쟁과 학살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은 더욱 간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주4.3이 그렇듯이 비극적 전쟁을 겪은 오키나와, 2.28 이래 40년간 독재체제를 겪어온 타이완도, 우산혁명으로 알려진 홍콩도 예술을 통해 평화를 갈구하는 ‘평화예술’이 역사와 함께 현실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들 네 지역 예술가들이 연대해 평화예술운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들의 평화예술운동에 대한 창작과 비평, 이론과 실천의 공진화(共進化)도 매우 중요합니다. 독립언론 [제주의소리]가 네 나라 예술가들의 활동을 ‘평화예술칼럼(Peace Art Column)’을 통해 매주 소개합니다. 필자 국적에 따른 언어가 제각각 달라 영어 일어 중국어 번역 원고도 함께 게재합니다. [편집자 글]

우크라이나 시내와 사람들이 러시아의 공격을 받고 파괴되는 모습을 각종 언론에서 목격하는 날들이 이어진다. 많은 오키나와인에 있어서, 그 광경은 1945년에 오키나와의 섬들이 일·미의 전쟁터가 된 지옥화를 상기시키는 것인 것 같다. 나는 오키나와전 체험자는 아니지만 미군이 전투 상황을 기록한 사진과 동영상을 봐왔고 무엇보다 수많은 생존자들의 증언을 듣거나 읽어왔다. 땅을 기어가는 전차, 폭발의 섬광과 불꽃, 폐허와 잔해 더미가 된 시가지, 안전한 땅을 찾아 줄지어 선 피난민들, 노상에 나뒹구는 시체들, 미처 대피하지 못하고 가만히 집에서 <철 폭풍>이 불기를 기다리는 노인들. 미디어에서 보는 우크라이나의 모습은, 내가 추체험해 온 오키나와전의 양상과도 확실히 오버랩 된다(그렇다고 해도, 예를 들면 팔레스타인도 공습이 일상다반사인 듯한 전쟁터이지만, 일본의 미디어는 공격 측인 이스라엘에 대해 우크라이나에 있어서의 러시아만큼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아마도 그것은 현 상황에서는 사람들이 우크라이나를 좀 더 동정하는 이유인 것 같다).

파편화된 길거리, 오키나와 1945년, 오키나와 공문서관 제공.

피폐해져 있던 일본군이 압도적인 병력과 물량으로 오키나와를 찾아온 미군을 이길 리 없었다. 오키나와전에서 사용한 포탄·총탄의 수는 미군만 약 3,500만발이라고도 한다. 해상 함선에서, 하늘의 폭격기에서, 지상의 기관총에서, 도망치는 주민들에게도 탄환은 불을 뿜었다. 엽서 한 장 크기의 땅에 한 발, 1인당 50발의 총알이라면 그 무시무시함을 짐작할 수 있다. 총알을 맞지 않아도 폭풍의 충격에 죽음을 당하거나 신체 일부를 잃었다. 오키나와전에서 18년 후에 태어난 나의 유소년기에는, 주위에 외팔이나 외다리, 의족이나 의안의 어른들을 보는 것은 그다지 드문 일이 아니었다. 그것이 전쟁에서 입은 상처라고 이해할 수 있게 되었을 때 나는 전쟁의 리얼리티라는 것을 실감했다. 전사자들의 모습은 생전에 찍힌 사진에서나 볼 수 있었지만 생존자들의 훼손된 몸은 바로 <전쟁>의 형태였기 때문이다.

미국 전함에 실린 포탄, 오키나와 근해 1945년, 오키나와 공문서관 제공
105mm 유탄포로 포격하는 미 해병대원, 오키나와 1945년, 오키나와현 공문서관 제공.

12만여 명(인구의 4분의 1에 해당)이 사망하고 지형이 바뀔 정도의 포격을 받은 초토에서 주민들은 전후 부흥의 걸음을 시작했다. 그 전상병자들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야에서 사라져갔다. 오키나와의 시정권이 일본에 반환된 지 50년 만에 평화와 번영의 시간 속에서 오키나와전의 교훈이 잊혀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 특히 지금 홍콩과 대만이 중국의 위협에 직면한 상황을 기화로 삼아 일본 정부가 오키나와를 다시 군사 요새로 만들려고 움직이고 있고, 이를 받아들이는 오키나와인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오키나와전의 교훈 중 하나는 「(일본의) 군대는 주민을 지키지 않는다」라고 하는 것이었지만, 80년도 지나지 않아 그것은 망각되어 다시 오키나와는 저 암흑의 여정을 더듬으려고 하는 것인가.

언덕의 경사면을 메우는 탄환 자국으로 인해 생긴 웅덩이. 오키나와 1945년, 오키나와현 공문서관 제공.

그러나 이 망각을 탓하듯 섬의 땅 속에서 계속 출현하는 1945년의 유물들이 있다. 하나는 전사자 유골이고 다른 하나는 불발탄이다. 오키나와현에 의하면, 미군이 오키나와전에서 사용한 탄약 약 20만 톤 가운데, 그 5%에 해당하는 약 1만 톤이 불발탄으로서 땅속에 남았다(일본군의 사용분은 기록조차 없다). 전후에도 이 불발탄이 오발해 주민의 목숨을 빼앗는 일이 있었다. 자기탐사 작업으로 처리가 진행되어 왔으나 2022년 현재 1900t 분량이 존재하며 모두 제거하려면 70년 이상이 소요된다. 건축현장에서 불발탄이 발견돼 공사가 중단되는 등은 일상적이며 2020년도에만 514건이 처리됐다. 매일 1.4건의 불발탄이 확인되는 계산으로 말하자면 77년 전에 묻힌 지뢰 위에서 생활하는 셈이다. 그러나 주민들은 그 사실에 완전히 익숙해져 더 이상 놀라지 않는다.

오키나와현 나하시 아샤, 2014년 3월 4일, 타이라준 촬영.

오키나와 사진작가 타이라준은 집 근처에서 불발탄이 발견됐을 때 희미한 속삭임에 불려가듯 그 현장으로 다가가 셔터를 눌렀다. 발견 현장에는 육상자위대가 출동해 모래주머니를 쌓아 첫 처리작업을 위한 호를 구축한다. 처리작업 날 총알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 반경 내 주민은 대피하고 주변 도로는 통행이 통제되지만 그 사전조정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발견부터 실제 처리까지 한 달이 걸리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낯익은 풍경 속에 갑자기 박고리와 언덕 같은 호가 출현하고 폭탄이 태연하게 놓여 있는 생활이 상당기간 지속되는 것이다. 작업 당일 자위대원은 처리호 안에서 폭탄에서 신관을 제거하고 최종 처분장으로 반출한다. 처리호 더미는 순식간에 평탄하게 복원돼 주민들은 집으로 돌아가고 주변 도로는 다시 차량이 왕래한다. 현장에서는 건축 공사가 재개된다.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오키나와현 기타타니쵸 요시하라, 2014년 9월 24일, 타이라준 촬영.

그렇지만, 결코 아무 일도 없었던 것은 아니다. 1945년 어느 날 폭풍우처럼 쏟아지던 폭탄 하나가 확실히 이곳에 떨어져 폭발하지 않고 땅에 묻힌 것이다. 갑자기 수십 년이 지나 지상에 출현하고 미채복 차림의 병사들이 그것을 둘러싼 광경에 1972년생 타일라가 전해 들은 전쟁의 기억은 곧 타이라 자신의 기억으로 되살아났다. 잊고 있었던 기억, 떠올릴 필요도 없었을 기억들이 불현듯 떠오르는 순간. 갑자기 융기된 호는, 기억의 발현이라는 것의 은유가 된다. 타이라는 오키나와 섬 각지의 불발탄 처리호를 계속 찍어댔고 그 연작을 ‘Bomb Mountain(폭탄산)’이라고 이름 붙였다. 이 폭탄산은 순식간에 구축되고 소멸한다. 그렇지만, 결코 아무 일도 없었던 것은 아니다. 잊지 말라고 누군가 희미한 목소리를 낼 때 그 보이지 않는 목소리를 사진가의 본능은 시각적 이미지로 포착한다. 타이라가 제시하는 폭탄산은 바람마저 멈춘 듯한 무음 속에 있다.그 풍경 저 멀리, 지금 이 순간에도 폭탄에 부서져 흩어지려 하고 있는 사람들의 영혼이 아른거리고 있는 것처럼 생각되어 나는 응시한다.

오키나와현 이토만시 마에히라, 2014년 9월 20일, 타이라준 촬영.

# 토미야마 카즈미

토미야마 카즈미(豊見山和美 TOMIYAMA Kazumi) 씨는 도쿄 소재 추오대학교와 류큐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을 전공했으며, 영국 런던대학교 아카이브연구 석사과정을 마쳤습니다. 이후 오키나와현립공문서관의 아키비스트로 일하면서, 오키나와 전후사를 중심으로 문화평론을 하고 있습니다.

 


埋もれた爆弾、埋もれた記憶を掘り起こす
豊見山和美

ウクライナの市街や人々がロシアの攻撃を受けて破壊される様相を、さまざまなメディアで目撃する日々が続く。多くの沖縄人にとって、その光景は1945年に沖縄の島々が日米の戦場となった地獄絵を想起させるものであるようだ。私は沖縄戦の体験者ではないが、米軍が戦闘の模様を記録した写真や動画を見てきたし、何よりも数多くの生存者たちの証言を聞き、あるいは読んできた。地を這う戦車、爆発の閃光と炎、廃墟と瓦礫の山となった市街地、安全な地を求めて列を成す避難民たち、路上に転がる死体、避難できずにじっと自宅で<鉄の暴風>が吹き止むのを待つ老人たち―。メディアで目にするウクライナの姿は、私が追体験してきた沖縄戦の様相とも確かにオーバーラップする(とはいえ、たとえばパレスチナも空爆が日常茶飯事であるような戦場だが、日本のメディアは攻撃側のイスラエルについてウクライナにおけるロシアほどフォーカスしない。そのためか、現状では人々はウクライナにシンパシーを抱きやすい。)
 
写真1   瓦礫と化した街路の路上 沖縄 1945年 沖縄県公文書館提供

疲弊していた日本軍が、圧倒的な兵力と物量で沖縄にやってきた米軍に勝てるはずはなかった。沖縄戦で使用した砲弾・銃弾の数は米軍だけでおよそ3,500万発とも言われる。海上の艦船から、空の爆撃機から、地上の機関銃から、逃げ惑う住民たちへも弾丸は火を噴いた。葉書1枚の大きさの土地に1発、一人当たり50発の弾丸と言えば、そのすさまじさがうかがえよう。弾丸に撃ち抜かれなくとも、爆風の衝撃に殺され、あるいは身体の一部を失った。沖縄戦から18年後に生まれた私の幼少期には、周囲に片腕や片脚、義足や義眼の大人たちを見るのはそれほど珍しいことではなかった。それが戦争で受けた傷だと理解できるようになった時、私は戦争のリアリティというものを実感した。戦死者たちの姿は生前に撮られた写真で見るだけだったが、生存者たちの損壊した身体は、まさに<戦争>の形をしていたからだ。

写真2  アメリカの戦艦に積まれた砲弾 沖縄近海 1945年 沖縄県公文書館提供

写真3  105mm榴弾砲で砲撃する米海兵隊員 沖縄 1945年 沖縄県公文書館提供

12万人余(人口の4分の1に相当する)が死亡し、地形が変わるほどの砲撃を受けた焦土で、住民たちは戦後復興の歩みを始めた。あの戦傷病者たちも時の経過とともに視界から消えていった。沖縄の施政権が日本に返還されてから50年、平和と繁栄の時間の中で沖縄戦の教訓が忘れ去られることを憂慮する声がある。とりわけ今、香港や台湾が中国の脅威に直面する状況を奇貨として、日本政府は沖縄を再び軍事要塞化するべく動いており、それを受け入れる沖縄人も増えているからだ。沖縄戦の教訓のひとつは「(日本の)軍隊は住民を守らない」ということだったが、80年も経たないうちにそれは忘却され、再び沖縄はあの暗黒の道程を辿ろうとしているのか。

写真4    丘の斜面を埋める着弾跡にできた水たまり 沖縄 1945年 沖縄県公文書館提供 

しかし、この忘却を咎めるかのように、島の土の中から出現し続ける1945年の遺物がある。ひとつは戦死者の遺骨であり、もうひとつは不発弾だ。沖縄県によると、米軍が沖縄戦で使用した弾薬約20万トンのうち、その5%にあたる約1万トンが不発弾として土中に残った(日本軍の使用分は記録すらない)。戦後もこの不発弾が暴発して住民の命を奪うことがあった。磁気探査作業で処理が進められてきたが、2022年現在もなお1900トン分が存在し、全て除去するにはまだ70年以上を要するとされる。建築現場で不発弾が発見されて工事が中断するなどは日常的であり、2020年度だけで514件が処理された。毎日1.4件の不発弾が確認される計算で、いわば77年前に埋め込まれた地雷の上で生活しているようなものだ。けれども、住民はその事実にすっかり慣れてしまってもはや驚きもしない。

写真5  沖縄県那覇市安謝 2014年3月4日 タイラジュン撮影 

沖縄の写真家・タイラジュンは、自宅近くで不発弾が発見された時、かすかな囁きに呼ばれるようにして、その現場に近づき、シャッターを切った。発見現場には陸上自衛隊が出動し、砂嚢を積み上げて初発の処理作業のための壕を構築する。処理作業の日、弾の大きさに応じて決められた半径内の住民は避難し、周辺道路は通行規制となるが、その事前調整に時間がかかるため、発見から実際の処理まで一か月かかることもまれではない。見慣れた風景の中に突如としてぼっこりと丘のような壕が出現し、爆弾が平然と置いてあるという生活が相当な期間続くのだ。作業当日、自衛隊員は処理壕の中で爆弾から信管を除去し、最終処分場へ搬出する。処理壕の盛り土はあっという間に平坦に戻され、住民たちは自宅に戻り、周辺道路は再び車が往来する。現場では建築工事が再開する。何事もなかったかのように。
 
写真6  沖縄県北谷町吉原 2014年9月24日 タイラジュン撮影

けれども、決して何事もなかったわけではない。1945年のある日、暴風雨のように降り注いだ爆弾のひとつが確かにこの場所に着弾し、爆発することなく土中に埋もれたのだ。それが突如、数十年の時を経て地上に出現し、迷彩服の兵士たちがそれを取り巻く光景に、1972年生まれのタイラが伝え聞いてきた戦争の記憶は、まぎれもないタイラ自身の記憶として変換再生した。忘れていた記憶、思い出す必要もなかったはずの記憶が、ふいに浮上する瞬間。突然に隆起した壕は、記憶の発現というもののメタファーとなる。タイラは、それから沖縄島の各地の不発弾処理壕を撮り続け、その連作を「Bomb Mountain(爆弾山)」と名付けた。この爆弾山は、瞬く間に構築され、そして消滅する。けれども、決して何事もなかったわけではない。忘れるな、と何者かがかすかな声を上げる時、その見えない声を、写真家の本能は視覚的イメージとしてつかみ取るのだ。タイラの提示する爆弾山は、風さえも止まったような無音の中にある。その風景のはるか彼方に、いまこの瞬間にも爆弾に砕け散ろうとしている人々の魂がゆらめいているように思われて、私は目を凝らす。

写真7  沖縄県糸満市真栄平 2014年9月20日 タイラジュン撮影


Digging up the buried bombs and memories
TOMIYAMA Kazumi

The destruction of Ukrainian cities and people under Russian attack is witnessed daily in various media outlets. For many Okinawans, the scene seems to evoke the hellscape of 1945, when the islands of Okinawa became a battleground between the US and Japan. Although I am not a survivor of the Battle of Okinawa, I have seen photographs and videos of the battle recorded by the US military and, above all, have heard and read the testimonies of numerous survivors. Tanks crawling on the ground, the flash and fire of explosions, the city in ruins and piles of rubble, evacuees queuing for safe haven, corpses lying in the streets, elderly people sitting at home, unable to evacuate, waiting for the 'typhoon of steel' to stop blowing. The picture of Ukraine that I see in the media certainly overlaps with the aspects of the Battle of Okinawa that I have tried to relive (although Palestine, for example, is also a war zone where air strikes are a daily occurrence, but the Japanese media does not focus on Israel, the aggressor, as it does on Russia in Ukraine. Perhaps that is why people are more sympathetic to Ukraine in the current situation).

There was no way that the exhausted Japanese army could have defeated the US forces that came to Okinawa with overwhelming numbers of troops and materiel. It is said that the US forces alone used approximately 35 million shells and bullets in the Battle of Okinawa. Bullets were fired from ships at sea, from bombers in the sky, from machine guns on the ground and even at the fleeing inhabitants. To say that one bullet was fired into a piece of land the size of a postcard, or that 50 bullets were fired per person, gives an idea of the enormity of the situation. Even if they were not hit by bullets, they were killed or lost body parts in the impact of the blast. In my childhood, born 18 years after the Battle of Okinawa, it was not unusual to see adults around me with one arm, one leg, a prosthetic leg or an artificial eye. When I came to understand that these were wounds sustained in the war, I realised the reality of war. The dead were only seen in photographs taken before their deaths, but the mangled bodies of the survivors were in the very shape of 'war'.

In a scorched land that had lost a quarter of its population and had been bombarded to the point that the terrain had changed, the inhabitants began the process of post-war reconstruction. Those who lost part of their bodies in the war also disappeared from view over time. Fifty years after Okinawa's reversion to Japan, some are concerned that the lessons of the Battle of Okinawa have been forgotten in a time of peace and prosperity. In particular, the Japanese Government is now taking advantage of the threats posed by China to Hong Kong and Taiwan to move towards turning Okinawa into a military fortress again, and an increasing number of Okinawans are accepting this. One of the lessons of the Battle of Okinawa was that 'the (Japanese) military does not protect the people', but less than 80 years later, has this been forgotten and is Okinawa about to follow that dark path again?

However, as if to condemn this oblivion, relics from 1945 continue to emerge from the island's soil. One is the remains of the war dead and the other is unexploded ordnance. According to Okinawa Prefecture, of the approximately 200,000 tonnes of ammunition used by the US military in the Battle of Okinawa, 5%, or 10,000 tonnes, remained in the soil as unexploded ordnance(the amount of ammunition used by the Japanese military is not even recorded). Even after the war, these unexploded bombs sometimes exploded and killed residents. Magnetic survey work has been carried out to dispose of them, but as of 2022, 1,900 tonnes still exist, and it is estimated that it will take more than 70 more years to remove them all. The discovery of unexploded ordnance at construction sites routinely halts work, with 514 cases disposed of in FY2020 alone. With 1.4 cases identified every day, it is as if we are living on a landmine that was implanted 77 years ago. But the residents have become so used to this fact that it no longer comes as a surprise.

When an unexploded bomb was discovered near his home, Okinawa photographer TAIRA Jun was called to the scene by a faint whisper, so he approached the scene and snapped his shutter. The Japan Self-Defence Force (JSDF) was deployed to the discovery site to pile up sandbags and construct a shelter for the initial bomb disposal operation. On the day of the disposal operation, residents within a radiu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llet are evacuated and the surrounding roads are closed to traffic, but as it takes time to make these preliminary arrangements, it is not uncommon for it to take a month from discovery to actual disposal. Life goes on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with hill-like shelter suddenly appearing in familiar landscapes, and bomb sitting unconcernedly beside it. On the day of the operation, JSDF personnel remove the fuses from the bomb in the disposal shelter and take them to the final disposal site. The fill of the disposal shelter is quickly flattened, the residents return to their homes and the surrounding roads are once again busy with traffic. Building work resumes at the site. It is as if nothing had happened.

But something definitely happened. One day in 1945, one of the bombs that rained down like a storm did indeed land here, and was buried in the earth without exploding. Suddenly, decades later, it appeared above ground, surrounded by soldiers in camouflage uniforms, and the memories of the war that TAIRA, born in 1972, had heard about were transformed and recreated as his own unmistakable memories. A moment when forgotten memories, memories that should not have needed to be recalled, suddenly surfaced. The shelter that was quickly raised becomes a metaphor for the expression of memory. TAIRA went on to photograph unexploded ordnance disposal shelters in various locations on the island of Okinawa, and named his series ‘Bomb Mountain’. These bomb mountains are quickly constructed and quickly extinguished. But it was by no means uneventful. The photographer's instinct is to capture the invisible voice of someone who is saying, "Don't forget", in the form of a visual image. The bomb mountain presented by TAIRA is in a silence in which even the wind seems to have stopped. Far beyond the landscape, I strain my eyes as the souls of people who are about to be shattered by bombs at this very moment seem to shimmer.

Photo1: Street turned to rubble, Okinawa, 1945, courtesy of Okinawa Prefectural Archives.
Photo2: Shells on board an American battleship, waters near Okinawa, 1945, courtesy of Okinawa Prefectural Archives.
Photo3: Marine Artillerymen shown firing their 105mm Howitzer, Okinawa, 1945, courtesy of Okinawa Prefectural Archives.
Photo4: The polka-dot pattern of rain filled shell holes on a hillside, Okinawa, 1945, courtesy of Okinawa Prefectural Archives.
Photo5: Aja, Naha, Okinawa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site) March 4, 2014  by TAIRA Jun
Photo6: Yoshihara, Chatan, Okinawa September 24, 2014  by TAIRA Jun
Photo7: Maehira, Itoman, Okinawa  September 20, 2014  by TAIRA Jun

※ 중국어 번역본 원고는 추후 게재될 예정입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