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제주의 선택] (23) 서귀포시 동홍동 선거구

주민자치를 실현하고 지역 살림을 책임질 일꾼을 뽑기 위한 지방선거가 6월1일 치러진다.  5.16 군사쿠데타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던 지방자치가 1991년 6월 부활하면서 자치일꾼을 주민들이 직접 선출하기 시작했다.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되면서 도의원 정수가 늘고 선거구 조정도 이뤄졌다. 30년간 16만명이 늘었지만 인구 편차가 심해지면서 선거구마다 새로운 변화에 직면했다. 지방선거 출마자들은 첫 3월 대선의 여파로 선거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주의소리]는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맞아 각 도의원 선거구별 민심의 흐름을 알아보고 출마자들을 소개하는 기획을 마련했다. [편집자 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홍동은 동쪽으로 영천동, 서쪽으로 서홍동, 남쪽으로 중앙·정방동 등으로 둘러쌓여 있는 산남지역 중심 도시다. 마을의 동과 서를 잇는 길이는 1.5~2km로 짧지만, 한라산 정상에서 해안까지 북과 남의 길이는 15km로 길게 분포된 지역이다.

한라산 정상을 뿌리로 방아오름, 솔오름 등을 타고 내려와 설촌의 생활용수인 산지물과 정모시 수원이 위치해 있다. 남쪽 끝으로는 서귀포의 자랑인 대표 관광명소 정방폭포가 자리잡아 장관을 이룬다.

동홍동은 택지개발지구 조성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인구 증가를 이뤄냈다. 1985년 5191명이었던 인구 수는 2015년 2만1656명까지 급성장했다. 2019년에는 2만3118명으로 증가하며 서귀포시 12개동 가운데 가장 많은 인구가 살고 있는 지역이다. 

같은해 동홍동 만 15세 인구수가 3775명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 2962명보다 많아 노령화지수도 대체로 양호하다.

대규모 아파트단지를 비롯해 서귀포오일시장, 대형마트 등 상권이 밀집해 있어 도심 인프라도 준수하다. 산남 의료시스템의 핵심인 서귀포의료원의 소재지이기도 하다.

위치며 인구수며 어느 것 하나 빠지지 않는 명실상부한 산남지역 중심 도시인 셈이다.

도심의 형태는 전형적인 도농복합도시의 특성을 갖고 있다. 동홍동의 동쪽 지역은 영천동 경계까지 평평한 지형을 이뤄 넓은 농경지대가 형성돼 있어 고품질 감귤 생산지로 유명하다.

다만, 지역 내 산업종사자 중 고차산업 종사자수 비율은 타 지역 대비 높게 나타나는 편이다. 2018년 시행된 제주도 사업체통계조사에 따르면 동홍동 해당년도 총 사업체 수는 1870개, 산업경제 종사자 수는 6760명으로, 이중 고차산업 종사자는 2935명을 집계되며 42.42%로 나타났다.

급격하게 인구가 몰리다보니 필연적으로 발생한 생활인프라 포화 문제는 지역의 숙원 과제다. 교통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서귀포시 우회도로 공사가 추진되고 있지만, 일부 주민들의 반발을 온전히 무마하지 못한 상태다. 주차공간 확보 문제도 난제다.

멈춰선 제주헬스케어타운의 활성화 방안도 최대 현안이다. 국내 1호 영리병원 개설이 논란 끝에 무산됨에 따라 대안 마련도 지역 도의원이 해결해야 할 몫이다.

이전까지 송산·정방·효돈·영천·동홍동이 한데 묶여있던 선거구는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기점으로 동홍동 선거구만 단독 선거구로 분류됐다.

이후 해당 선거구는 내리 더불어민주당 계열의 당선자를 배출했다. 현재 3선 국회의원으로 활약하고 있는 위성곤 의원이 동홍동 출신으로, 제8대, 9대 의회에서 재선을 지냈다.

위 의원의 총선 출마로 이뤄진 보궐선거에서도 민주당의 故 윤춘광 의원이 이어받았고, 윤 의원의 별세로 2020년 치러진 재보궐선거를 통해 민주당 김대진 의원이 제11대 의회에 입성했다.

공교롭게도 이번 지방선거는 2020년 재보궐선거의 대진표가 재현됐다. 현역인 김대진 의원이 민주당 대표주자로 나선 가운데, 국민의힘에서는 동홍동연합청년회장을 지낸 오현승 후보가 절치부심 설욕에 나선다.

김대진 후보는 '안전한 동홍, 행복한 동행!'이라는 슬로건 아래 주요 공약으로 △동홍119센터 유치 △서귀포 요양병원유치 △서귀포오일시장 교통체증 해소를 위한 도로개설 등을 제시했다.

오현승 후보는 △제주헬스케어타운 사업 정상화 △동홍 음식특화거리 조성 △도시계획도로 재정비 △건강증진센터 설치 △민속문화 보전 및 발굴 △국가가 함께 키우는 아이돌봄 서비스 강화 등을 공약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