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한라산의 식물 이야기] 밤나무 (Castanea crenata Siebold et Zucc.) -참나무과-

추석(秋夕)은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가배일(嘉俳日), 한가윗날로 부르기도 하며, 음력 8월 15일에 치르는 명절로서 설날과 더불어 한국인에게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명절입니다.

추석에 가장 생각나는 나무는 무엇일까요?

바로 밤나무가 아닐까 하는데 이 밤나무는 오랫동안 식량의 자원으로, 제사때 올리는 제물(祭物)의 과일로 우리에게 너무나 친숙한 나무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문성필
ⓒ문성필

추석에 땅에 뿌리면 밤에서 싹이 나와 꽤 자랄 때까지 밤껍질이 어린나무 뿌리에 계속 붙어 있다고 하여, 밤나무를 근본(선조)을 잊지 않는 나무로 여겨 밤을 제상(祭床)에 올린다고 전해지는 나무입니다.

6~7월에 밤꽃이 피어나는데 조선시대 서거정의 시문집인 <사가집>에는 밤나무 숲을 노래하면서 이렇게 적고 있습니다.

'밤꽃이 눈처럼 피고 향기가 진동하네'
- 우리 나무의 세계 1권 박상진

ⓒ문성필
ⓒ문성필

밤나무는 가을에 열매를 따서 날로 또는 삶아서 먹거나 구워 먹으며, 과자나 요리에 첨가하기도 하고, 또 찹쌀·대추·잣 등과 함께 섞어 약밥을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문성필
ⓒ문성필

꽃이 필 때 수꽃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을 율화(栗花)라 하고, 밤껍질을 벗겨 말린 것을 건율(乾栗)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

ⓒ문성필
ⓒ문성필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백색이며 6~7월에 피고 새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곧추 자라는 꼬리모양꽃차례에 많이 달리며, 수꽃차례는 유백색이고 암꽃은 보통 3개씩 한군데에 모여 달립니다.

밤나무 수꽃차례. ⓒ문성필
밤나무 수꽃차례. ⓒ문성필

‘삼국유사’에 나오는 원효의 탄생설화에는 ‘사라율(裟羅栗)’이라는 밤나무 품종 이야기가 있으며, ‘고려사’에도 예종과 인종 때 밤나무 재배를 독려했다는 기록이 실려 있고, 조선시대에는 밤나무를 식재하도록 독려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 우리 나무의 세계 1권 박상진

밤나무 수꽃차례. ⓒ문성필
밤나무 수꽃차례. ⓒ문성필

나라의 제사 관련 업무를 관장하던 봉상시(奉常寺)에서는 신주를 반드시 밤나무로 만들었고, 민간에서도 위패(位牌)와 제상(祭床) 등 제사 기구의 재료는 대부분 밤나무였다고 합니다.

** 봉상시 : 조선시대 국가의 제사 및 시호를 의론하여 정하는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밤나무 암꽃은 수꽃차례의 가장 밑에 보통 3개의 암꽃이 포에 싸여 있습니다.

밤나무 암꽃차례. ⓒ문성필
밤나무 암꽃차례. ⓒ문성필

밤나무의 꽃말은 포근한 사랑, 정의, 진심 등 다양한 꽃말을 가지고 있습니다.

금년 추석은 코로나 이후 거리두기 및 인원 제한이 없어 오랜만에 가족과 친지들이 만나 밤나무의 꽃말처럼 포근한 사랑이 전해지는 추석이 될 것 같습니다.

[제주의소리] 독자 분들께 추석을 맞아 평안과 행복을 전해 드립니다.

ⓒ문성필
ⓒ문성필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