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녹색당은 19일 논평을 내고 “양적 성장 중심의 하수 정책은 미래를 위한 대안이 아니다”고 말했다. 

녹색당은 “최근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동부하수처리장 증설을 반대하는 월정리해녀회와 면담을 가졌다. 오영훈 도정이 해녀회 목소리에 제대로 귀 기울이고 동부하수처리장 문제를 정의롭게 해결하길 촉구한다. 쓰레기, 하수 등의 처리는 제주의 고질적인 갈등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어 “신설과 이전, 증설을 둘러싸고 주민들의 반발이 있었다. 제주 하수정책에 대한 전면적인 전환을 촉구한다. 2018년 수립된 제주 하수관리기본계획은 2030년 84만명의 계획인구, 2650만명의 관광인구를 적용해 수립됐다. 인구 감소 추세를 고려하지 못하고, 양적 관광 중심의 패러다임을 그대로 수용한 결과”라고 덧붙였다. 

녹색당은 “하수처리 용량의 확대는 제주의 지하수를 무한정 사용한다는 계획과 동전의 양면이다. 제주도에 따르면 가까운 미래에 하루 상수도 수요량이 시설 용량을 초과해 생활용수와 농업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예측된다. 물 부족 상황에 맞닥뜨리기 전에 지금이라도 물 수요관리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어업활동하는 해녀들 증언에 따르면 하수처리장이 들어선 곳의 해양생태계가 급격하게 황폐화되고 있다. 해녀들은 이를 직접 경험했기에 누구보다 하수처리장 증설에 반대했다. 지금이라도 물 사용에 대한 적극적인 수요관리와 발생 하수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녹색당은 “이미 제주는 오버투어리즘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과감히 질적 관광 중심 정책을 수립하고 관광객수 조절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사회기반시설 계획도 맞게 수립돼야 한다. 2021년 제주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 곳은 드림타워며, 그 뒤가 신화역사공원이다. 제주국제공항, 제주대병원, 제주대학교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관광사업장이다. 대규모 개발을 전면 중단해 지속가능성을 위한 새로운 비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 하수계획은 기존 시설 증설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 피해와 책임을 공평하게 나누는 환경정의에 크게 어긋난다. 또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 사업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의문이다. 하수량을 줄이기 위해 선행돼야 할 정책에 대한 평가와 확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녹색당은 “제주의 물 문제의 심각성은 도민 모두를 불안하게 한다. 물 사용과 하수처리 정책 수립은 소수의 전문가 중심으로 진행되면 안된다.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는 공론장을 통해 합당한 방안이 도출될 수 있고, 교육장으로서 기능도 한다. 하수 정책 공론화가 시급하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