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문화연구소, '제주의 전통음식문화를 찾아서' 세미나

제주의 전통음식과 민속주의 영양학적·사회학적 의미를 재조명해보고 이를 관광 상품화할 방안에 대한 모색이 이뤄졌다.

8일 제주시 세심재에서는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소장 조성윤) 주관으로 제주의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세미나가 열렸다.

'제주의 전통음식문화를 찾아서'란 주제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는 제주 전통음식이 한국음식문화에서 갖는 위치, 사회문화적·영양학적 의미를 알아보고 제주 전통음식의 관광상품화·세계화 전략에 대한 방안 모색 등이 이뤄졌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한국음식문화에서 제주 전통음식의 위치'(주영하·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제주전통음식의 사회문화적 의미'(허남춘·제주대), '제주 전통음식(일상식)의 영양학적 의미'(고양숙·제주대), '제주의 술'(고정삼·제주대), '제주 전통음식의 관광상품화·세계화 전략'(오영주·제주한라대) 등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토론자로는 최주락(제주대)·조성윤(제주대)·김동섭(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현승환(제주대) 교수가 참석, 제주 전통음식의 관광상품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다.

제주도의 전통음식문화는 지리적 특수성으로 밭농사가 주를 이루면서 한반도와 다른 음식문화를 형성했다.

▲ 제주의 전통적인 밥상 차림.ⓒ제주의소리
밭농사 위주의 잡곡밥, 잡곡밥을 보완하고 보다 쉽게 섭취하기 위한 다양한 국 문화, 풍부한 해물과 산채를 이용한 물회, 다양한 구황식품, 노동을 위해 형성된 간결한 일상식 조리법 등을 제주 전통음식문화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데 이는 제주의 자연환경과 결부된 독특한 음식문화를 형성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제주 전통음식문화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은 것은 된장.

거의 모든 음식에 된장을 사용했는데 이의 장점도 있지만 제주도 전래된장의 맛이 너무 강해 주재료 그대로의 맛을 감하는 단점이 있어 이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현대의 음식문화는 간단하고 단순하고 자연의 맛을 그대로 느끼는 것으로 다시 변모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 제주의 일상식과도 상통한다. 그런 의미에서 제주의 일상식 문화를 '오래된 미래'로 정의 내릴 수도 있다.

▲ 오영주 제주한라대학 교수가 '제주 전통음식의 관광상품화·세계화 전략'에 대해 주제발표하고 있다.ⓒ제주의소리
이러한 제주의 전통음식을 관광 상품화·상업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됐다.

우선 전통음식의 상업화를 위해서는 제주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인문학·사회학·영양학·조리학 등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접근,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공한 국내·외 음식 사례에 대한 탐방 조사·분석이 이뤄져야 하고 제주의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연구가 이뤄질 전문기관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있었다.

이런 사전 조사를 통해 제주 전통음식의 재료·종류·조리법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변형, 다양한 조리법 등을 사용해 어떤 것을 변화시켰을 때 상품성이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한다.

▲ 제주의 전통음식인 고사리나물, 호박탕쉬, 양애지.ⓒ제주의소리
경쟁력 있는 전통음식 선정과정을 통해 상품을 선택, 특성화 해 축제·이벤트 등과 연계하는 방법도 제안됐다.

제주의 전통음식은 재료의 중요성의 큰 만큼 환경보호를 통해 전통음식의 보존을 이루는 방법, 학교 교육의 개선과 학교 급식에서의 전통음식 제공 등도 제안됐다.

세미나 내내 강조된 것은 고유한 전통의 방식만을 고집해서는 상품화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없으며 표상적인 전통만 남을 수 있다는 우려였다.

이날 제주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토론과 더불어 제주 전통음식 전시와 시식회도 이뤄졌다. 전통음식 전시와 시식회는 고정순 교수(제주산업정보대학)가 주관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