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 ‘제주4.3 정명 관련 도민 인식조사’ 추진

제주4.3평화기념관에 누워있는 백비.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4.3평화기념관에 누워있는 백비.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항쟁’, ‘민중항쟁’, ‘통일운동’ 등 아직도 제대로 된 이름을 찾지 못해 제주4.3평화기념관에 누워있는 백비를 일으켜세울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진다. 

제주도의회에 따르면 4.3특별위원회가 주관으로 ‘제주4.3 정명 관련 도민 인식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아직 찾지 못한 4.3의 올바른 이름을 찾기 위해 첫 시작으로, 제주도민의 4.3 인식을 우선 살펴야 한다는 취지다. 

2018년 4.3 70주년을 맞아 제주4.3평화재단이 4.3에 대한 인식 조사를 벌인 바 있으며, 도의회는 5년이 지난 2023년에 4.3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을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인식조사는 4.3에 대한 인식과 4.3의 성격(이름)에 대한 인식, 역사왜곡, 진상을 알리는 방법 등을 주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도의회는 4.3 유족 100명과 중학생 이상 청소년 100명, 일반 제주도민 300명 등 총 500명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4.3 전문가를 섭외해 오는 10월까지 설문문항을 작성하고, 11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도출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한권(일도1동·이도1동·건입동) 의원은 “올해 4.3특위 출범 30주년을 맞이해 역대 위원장 간담회, 2030 미래세대 토론회 등을 개최하는 등 4.3의 미래 과제 등을 발굴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말했다. 

이어 “많은 사람들이 4.3 정명을 얘기했고, 첫 단계로 도민들과 유족, 그리고 미래 세대인 청소년들의 4.3 인식을 알아보고자 조사를 추진중이다. 인식조사를 시작으로 4.3 정명을 위해 도의회가 해야 할 역할을 성실히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화 이전만 하더라도 4.3은 남로당이 주도한 폭동으로 규정돼 수많은 제주도민들이 ‘빨갱이’ 취급을 받았다. 

수십년에 걸친 4.3 진상규명 운동을 통해 제주4.3특별법이 제정됐고, 정부 차원의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도 발간됐다. 이를 근거로 2003년과 2006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제주도민에게 과거 국가 폭력에 대해 사과했다. 

7년 넘게 이어진 4.3은 수십년동안 도민들을 괴롭혔다. 

4.3진상조사보고서에 4.3은 ‘1947년 3월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3일에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규정됐다.  

1947년 3월1일 관덕정 앞에서 진행된 3.1절 28주년 기념식에서 어린 아이를 친 기마경찰이 모른 채 지나가자 민중은 항의했고, 습격으로 오인한 경찰의 발포로 6명이 목숨을 잃는 등 1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항의 표시로 제주 전체 직장의 95%에 달하는 166개 기관·단체가 민·관 총파업에 함께했고, 당시 전체 도민의 80%가 3.10 총파업에 참여했다. 

뒤숭숭한 분위기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1948년 4월3일 남로당 제주도당의 경찰지서 습격과 남한 단독선거 반대 운동 등이 겹쳤다.

광복 이후에도 계속된 일제 부역자들의 횡포와 식량난, 콜레라, 흉년 등 장기간 진행된 4.3 속에는 여러 역사적 사건이 맞물렸다.  

이로인해 4.3은 ‘항쟁’, ‘민중항쟁’, ‘통일운동’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며, 아직 제대로 된 이름을 갖지 못해 정명(正名)이 완전한 4.3 해결의 과제로 남아있다. 

제주4.3평화기념관에 누워있는 ‘백비’가 이를 상징한다. 그 어떤 글귀조차 새겨지지 않은 백비 앞에는 ‘언젠간 이 비에 제주4.3의 이름을 새기고 일으켜 세우리라’는 안내문이 설치돼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