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한라산의 식물 이야기] 우영사마귀풀(Murdannia nudiflora (L.) Brenan) -닭의장풀과-

명심보감에 이런 글귀가 있습니다.

天不生無祿之人
천불생무록지인

地不長無名之草
지부장무명지초

하늘은 녹 없는 사람을 내지 않고, 
땅은 이름 없는 풀을 기르지 않는다.

모든 사람의 삶은 의미가 있고 가치가 있다는 말입니다.

땅에도 이름 없는 풀을 내지 않는다고 하였으니 다 이름이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에는 귀화식물로 오랫동안 제주사마귀풀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져 왔던 식물이 마침내 우영사마귀풀이라는 명칭으로 국가식물표준목록에 등재 되었습니다.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제주사마귀풀에서 우영사마귀풀로 이름이 명명된 것과 관련하여 최초 이 식물을 발견하신 분인 김성익님께 우영사마귀풀로 이름 붙여진 유래에 대해 설명을 들어보았습니다.

제주에서 귀화식물로 알려진 이 식물이 사마귀풀과 닮아있으나, 사마귀풀은 습지나 논둑에서 자라는 식물이지만 이 식물은 밭에서 자라는 특성 때문에 제주의 집 울타리 안에 있는 작은 텃밭을 의미하는 ‘우영’을 붙이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이 반영되었다고 합니다.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023년 9월 53권(3)에 실린 논문을 다운받아 아래의 우영사마귀풀에 대한 도해도를 실어 드립니다.

A: 전초, B: 신초, C: 잎, D: 잎집, E: 꽃차례, F: 꽃, G: 옆꽃잎, H: 열매.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A: 전초, B: 신초, C: 잎, D: 잎집, E: 꽃차례, F: 꽃, G: 옆꽃잎, H: 열매.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사마귀풀은 식물체 전체를 짓이겨 바르면 신체에 난 사마귀를 제거할 수 있다는 뜻의 한자명 ‘우초’ 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는데 이 우영사마귀풀은 땅에 바짝 엎드려 옆으로 기면서 번식을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우영사마귀풀의 줄기와 잎.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우영사마귀풀의 줄기와 잎.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우리가 알고 있는 사마귀풀의 꽃은 둥근 달걀형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홍자색을 띠고 우영사마귀풀보다 꽃의 크기가 조금 큰 모습입니다.

사마귀풀 / Murdannia keisak (Hassk.) Hand.-Mazz.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사마귀풀 / Murdannia keisak (Hassk.) Hand.-Mazz.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우영사마귀풀은 꽃이 하나 피어 있는 경우도 있고 꽃대 하나에 여러 개가 피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꽃의 색깔도 흰색에 가까운 모습과 아주 연한 보라색의 색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사마귀풀 종류들의 꽃말이 ‘짧은 사랑’이라고 검색이 됩니다. 

이 우영사마귀풀도 꽃이 피는 시간이 아주 짧아 시간을 맞추어 찾아가는 불편이 있지만, 이번에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되어 기쁜 마음에 그런 불편함이 다소 희석이 되었습니다.

나를 나타내는 말이지만 남들이 자신을 부를 때 사용하기 때문에 내 것인데 남이 더 많이 쓰는 것이 바로 이름입니다. 내년에 다시 만나면 “우영사마귀야” 하고 작은 목소리로 이름을 불러 주겠다고 다짐을 해 봅니다.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사진=문성필. ⓒ제주의소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